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기반 메신저 대화 교육 연구 : A Study on Education of Chinese Learners' Korean Conversations through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민현식-
dc.contributor.author구장평-
dc.date.accessioned2018-12-03T02:33:48Z-
dc.date.available2018-12-03T02:33:48Z-
dc.date.issued2018-08-
dc.identifier.other00000015272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44778-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18. 8. 민현식.-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의 한국어 모바일 메신저 대화 양상을 대조 분석하고 그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어 모바일 메신저는 학습자들이 현재 비교적 자주 사용하는 의사소통 수단이다. 특히 공적인 상황에서 격식 있는 한국어 메신저 대화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적절한 한국어 메신저 대화 방법을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주요 원인으로는 모국어의 영향, 모바일 메신저의 특성, 학습자의 심리적 요인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이와 같은 중국인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한국어 메신저 대화를 더욱 적절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관련 이론 연구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모바일 메신저 대화의 개념을 통신기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언어를 문자로 주고받는 대화로서 문자, 사진, 음성 메시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한 온라인 상호작용 과정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바일 메신저 대화의 개념 및 특징, 그리고 한 · 중 메신저 대화가 보이는 각각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이어서 모바일 메신저 대화 분석에 관한 대화분석 이론 그리고 간접 · 보조화행, 체면 위협 이론 등 화용이론을 탐구하였다. 더불어 모바일 메신저 대화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교수법을 살피고 본 연구에 적용할 수 있는 의사소통 교수 이론과 방법을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의 논의를 기반으로 중국인 학습자의 모바일 메신저 대화 사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문법적 측면(어휘, 문장), 화용적 측면(대화구조, 공손표현)과 디지털 매체적 측면이라는 세 가지 범주를 바탕으로 수행되었으며, 주로 한국어 모어 화자의 메신저 대화 양상과 대조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문법 요소에 대한 부적절한 생략 및 사용은 중국인 학습자들의 모바일 메신저 대화에서 정보 전달 문제와 공손 문제를 일으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의 모바일 메신저 대화 구조, 공손표현 사용 양상에 있어서는 중국식 통신 관습의 전이가 드러났으며, 공손성이 부족한 도입부 설명 누락, 종결행의 누락, 통신언어로 대화 종결 등 화용적 문제들이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공적인 메신저 대화에 초점을 맞추어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문법적, 화용적, 디지털 매체적 범주의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모바일 대화에 내포된 한 · 중 통신 문화 비교를 교육 내용에 포함하여 각 교시의 주제와 함께 교수 · 학습한 후 그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디지털 매체 환경 속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내용과 그 실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주요어 : 한국어교육, 중국인 학습자, 모바일 메신저, 대화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collected the Chinese learners Korean conversations through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and analyzed them, then tried to build an education plan to help the Chinese learners to communicate properly online in Korean.

With the Webs evolution, mobile messaging conversation has been an important way for Chinese learners to communicate with Korean. Compared with face-to-face talk, there is no body language and paralanguage(pitch, tone, facial expression etc). Many Chinese learners do not know how to make polite and appropriate mobile conversation in Korean. The main reasons related to this phenomenon would be the absence of education about Korean mobile conversations specific knowledge, the interference from mother language and the difference of Chinese and Korean mobile conversation.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concept and the meaning of Mobile Instant Messenger, related theories like the theory of Conversation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ies above, this study has compared Chinese learners formal conversations with people with further social distances(like teachers) and Korean peoples similar conversations extracted from DCT questionnaire and actual KakaoTalk dialogues. Then, I analyzed inappropriate use of the components in Chinese learners conversations in terms of grammar, pragmatics and digital media. Futhermore, I discussed situations when conversations are not started, proceeded and closed properly. Reasons of the inappropriate use are also examined in terms of grammar, pragmatics and digital medi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dialogue produc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has provided a teaching plan about Korean mobile conversation for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t was designed for three classes, including grammatical, pragmatic, digital media expressions and constructing students own messaging conversation database. Comparison of Korean and Chinese culture would also be taught with other contents above. Effect verification has been carried out and the teaching plan is proved to be effective while some details of the plan need to be improved.

Overall,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below. Firstly, I collected and analyzed the Korean mobile conversation that Chinese learners had really made with Korean people. Secondly, the mobile conversation analysis in this study dealt a lot of speeches and situation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a certain speech or to a certain situation. It would be more helpful to the Chinese learners when they conduct a variety of Korean mobile conversations. Thirdly, I compared the digital communication cultures involved in mobile conversations between Korean and Chinese.



keywords : Korean language education, Chinese learners, mobile messaging application, convers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연구 3

2.1. 메신저 대화에 관한 언어학적 연구 3

2.2. 메신저 대화에 관한 사회 · 문화적 연구 5

2.3. 메신저 대화에 관한 교육학적 연구 8

3. 연구 대상 및 방법 10

3.1. 연구 대상 10

3.2. 연구 방법 11





Ⅱ. 모바일 메신저 대화 교육을 위한 이론적 고찰 17

1. 메신저 대화의 이해 17

1.1. 메신저 대화의 개념 및 특징 17

1.2. 한 · 중 주요 메신저의 특성 비교 21

2. 메신저 대화 분석에 관한 이론 27

2.1. 문법 정확성 이론 27

2.2. 대화분석 이론 28

2.3. 화용이론 37

2.4. 문화 이해와 문화 교육 44

3. 메신저 대화 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교수법 46

3.1. 의사소통 교수법의 개념 46

3.2. 의사소통 교수 · 학습 방법 47



Ⅲ. 중국인 중 · 고급 학습자의 모바일 메신저 대화 양상 분석 51

1. 분석 내용 및 분석틀 51

2. 메신저 대화의 양상 분석 결과 54

2.1. 문법적 측면 54

2.1.1. 어휘의 사용 54

2.1.2. 문장의 사용 63

2.2. 화용적 측면 65

2.2.1. 대화의 구조 66

2.2.2. 공손표현의 사용 79

2.3. 디지털 매체적 측면 93

2.3.1. 디지털 매체의 사용 효과 93

2.3.2. 디지털 매체의 특성 이해 95

2.3.3.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활용 97

3. 학습자 메신저 대화의 문제 원인 분석 98

3.1. 문법적 측면 98

3.2. 화용적 측면 100

3.3. 디지털 매체적 측면 101



Ⅳ.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모바일 메신저 대화 교육 방안 103

1. 메신저 대화의 교육 목표 103

2. 메신저 대화의 교육 내용 104

2.1. 어휘와 문법 사용의 정확성 105

2.2. 화용적 적절성 및 공손성 110

2.3. 디지털 매체 환경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115

3. 메신저 대화의 교육 방안 116

3.1. 미니레슨을 통한 모의 메신저 대화 활동 116

3.2. 한국어 모어 화자의 모범 메신저 대화 제공 120

4. 메신저 대화 교육의 효과 검증 122

4.1. 실험 대상 122

4.2. 실험 설계와 절차 123

4.3. 실험 결과 분석과 의의 131



Ⅴ. 결론 139



참고문헌 143

부록 155

Abstract 181
-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mediumapplication/pdf-
dc.language.isoko-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0.7-
dc.title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모바일 기반 메신저 대화 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Education of Chinese Learners' Korean Conversations through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dc.typeThesis-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QIU ZHANGPING-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8-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