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김범진-
dc.date.accessioned2019-05-07T03:52:23Z-
dc.date.available2019-05-07T03:52:23Z-
dc.date.issued2019-02-
dc.identifier.other00000015470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1173-
dc.description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19. 2.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Negative expressions are used not only to deny a situation but also to express various expressive intentions of a pers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negative expressions but also to the choice of negative expressions in which various contextual factors are considered. This study revealed how negative expressions are used for expressive effects and analyzed learners selecting process of negative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this study constructed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that enable learners to utilize knowledge of negative expression actively and strategically in the phase of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Then,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 of education mentioned above.
This study focuses not on the syntactic characteristics of negative sentences but on the effect of negative expressions. Thus, the concept of negative expression, which has been defined mainly from a syntactic point of view, has been redefined as an extended concept covering a semantic perspective.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concept of grammar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on effect which aims at the teaching of grammatical knowledge that can be used to understand a text and produce established text. Through this, this study secur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negative expressions which can increase the linguistic resources that can be used as a rhetorical strategy and increase the linguistic sensitivity by paying attention to language expression. Then, the background of the expression effect of negative expression, the mechanism of context, and the context factors involved in the choice of negative expressions were examined to establish the basis for the contents of education of negative expression. In addition, the problems of the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were examined by surveying teachers' recognition of current negative education.
In chapter Ⅲ, as preliminary work to of prepare the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 this study analyzed the aspect of students selecting negative expression through on a survey of 476 students. In addition, this study compared the learners from the first grade of a middle school to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selected the grade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basis, the learner's process of selecting negative expression was analyzed based on whether the context was considered, whether it constituted the optional system and whether the expression intention was considered. According to these analyses, the learner 's process of selecting negative expressions was typified into five. And the students who were in the 3rd grade of high school or higher grade were selected for education by comparing the selection patterns of negative expressions from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apter Ⅳ, this study establishes the aims of a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and systematizes the relevant educational content based on the discussion up to chapter Ⅲ. Based on this, this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and the ac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then conducted the suggested education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this paper, it wa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 of the composition of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integrated with the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actual text based on the experience of inquiry about the effect of negative expression according to context.
For this purpose, the goal of education of negative expression is set in three stages: recognition, inquiry, use. Three direction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organization for embodying educational objectives are suggested: the contextual factor centered, the optional system centered, and the integration for reading and writing. According to these directions, this study constructed actual class and practiced the class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concrete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s were designed as contents of grammar education which can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communication 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analyzed actual texts to reveal the realization patterns of negative expressions, pointed out the learners perception of negative expressio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Organizing contents of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and practiced the class constructed based on this discussion and analyzed it is also significant.
-
dc.description.abstract부정표현은 단순히 사태를 부정하고 부인하기 위해 선택될 뿐만 아니라 언어 주체의 다양한 표현 의도를 담지하고 이를 표현하기 위해 선택된다. 따라서 부정표현 교육 연구는 부정표현의 통사적 특성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다양한 맥락 요인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이루어지는 부정표현의 선택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부정표현이 효과성 차원에서 선택되는 양상을 밝히고, 학습자가 부정표현을 선택하는 과정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가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국면에서 능동적이고 전략적으로 부정표현에 대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부정표현 교육 내용을 구안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부정문의 통사적인 문형 특성이 아닌 부정의 표현 효과에 주목하는 연구로서, 기존에는 주로 통사론적 관점에서 정의되어온 부정표현의 개념을 의미론적 관점을 포괄하는 확장적인 개념으로 재정립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언어적 문제 상황을 마주하였을 때,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신장하는 것을 문법교육의 목표로 상정하였다. 이에 따라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국면에서 수행적 지식으로 전이될 수 있는 문법 지식의 교육을 목표로 하는 표현 효과 중심의 문법교육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이러한 교육적 관점을 통해, 수사적 전략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언어 표현 자원을 증대시키고, 언어 표현에 대한 주목을 통해 언어적 민감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부정표현의 교육적 의의를 확보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사 인식 조사를 통해 현행 부정표현 교육의 실태와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부정표현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한 사전 작업으로서 중·고등학교 학습자 476명의 부정표현 선택 과정을 분석하고, 학습자의 부정표현 선택 양상을 학년별로 비교하여 교육 대상 학년을 선정하였다. 학습자의 부정표현 선택 과정은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맥락 고려 여부, 선택항 체계 구성 여부, 표현 의도 고려 여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학습자의 부정표현 선택 과정은 총 다섯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이와 더불어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2학년까지의 학습자들의 부정표현 선택 양상을 학년별로 비교하여 중학교 3학년 이상의 학습자를 교육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부정표현 교육의 목표와 체계를 설정하고 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과 실제를 제시한 뒤 수업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고에서는 부정표현 교육 내용 구성 방향이 맥락에 따른 부정표현의 의미와 기능에 대한 인식 및 표현 효과에 대한 탐구 경험을 바탕으로, 궁극적으로는 실제 텍스트의 이해 및 생산과 통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부정표현 교육의 목표는 인식, 탐구, 사용의 세 차원에서 부정표현이 필자의 표현 의도를 효과적이고 전략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언어적 자원임을 인식한다., 텍스트를 둘러싼 여러 맥락 요인들을 고려하여 부정표현의 의미기능이 달라지는 양상을 탐구한다., 텍스트의 이해와 생산의 국면에서, 다양한 맥락 요인들을 고려하여 부정표현에 담긴 필자의 표현 의도를 파악하고,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한 수사적 전략의 자원으로서 부정표현을 사용할 수 있다.로 설정하였다.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은 맥락 요인 중심의 구성, 선택항 체계 중심의 구성, 텍스트 이해 및 생산을 위한 통합적 구성의 세 방향으로 구분하여 교과서 및 교수·학습 활동 차원에서 적용 가능한 교수·학습의 실례(實例)를 보이고, 이를 실제 교수·학습 국면에서 실행하여 교수·학습의 실제성과 효과를 담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문법교육 내용으로서 부정표현의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텍스트를 분석하여 부정표현의 선택 양상을 밝힌 점, 실증적 조사를 통해 부정표현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밝힌 점,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구성된 수업을 실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사 6
2.1. 생성적 지식에 주목한 문법교육에 관한 연구 6
2.2. 부정표현에 관한 연구 10
3. 연구 대상 및 방법 13
Ⅱ.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을 위한 이론적 토대 19
1. 부정표현의 확장적 개념 정립 19
1.1. 부정에 대한 새로운 관점 19
1.2. 부정표현의 확장적 개념 정립 24
2. 표현 효과 중심의 문법교육의 개념 정립 32
2.1. 표현의 구성 요소와 표현의 선택 과정 34
2.2. 표현의 선택에 관여하는 맥락의 특성 39
2.3. 텍스트의 대화적 특성 45
2.4. 표현 효과 중심의 문법교육의 개념 정립 54
3. 부정표현의 표현 효과 57
3.1. 표현 효과 발현의 배경: 공통기반 57
3.2. 표현 효과 발현의 기제: 전경과 배경 64
3.3. 부정표현의 선택 고려 요인 69
(1) 표현 태도 요인에 따른 선택 양상 70
(2) 텍스트 요인에 따른 선택 양상 81
4. 기존 부정표현 교육에 대한 반성적 검토 85
5.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의 의의 91
5.1. 상호조율 수행 능력의 신장: 수사적 전략을 위한 언어적 자원의 증대 91
5.2. 언어적 민감성 신장: 언어 표현에 대한 주목을 통한 문법적 감식안 확장 94
Ⅲ. 학습자의 부정표현 선택 과정 분석 99
1. 자료 수집 및 분석 방법 100
1.1. 자료 수집 방법 100
(1) 연구 대상 100
(2) 연구 절차 101
1.2. 자료 분석의 기준 및 방법 105
(1) 자료 분석 기준 105
(2) 자료 분석 방법 112
2. 학습자의 부정표현 선택 과정 유형 113
2.1. 맥락을 고려하지 못한 선택 113
(1) 유형1 : 언어적 직관에 의존한 선택 115
(2) 유형2 : 불완전한 선택항 체계 구성에 의한 선택 117
2.2. 선택항 체계 미구성에 따른 선택 119
(1) 유형3 : 단일 표현의 효과성에 주목한 선택 119
2.3. 완전한 선택항 체계 구성에 의한 선택 121
(1) 유형4: 표현 의도를 고려하지 못한 선택 123
(2) 유형5: 효과성 차원의 선택 124
3. 학습자의 학년 간 비교를 통한 교육 대상 학년 선정 128
4. 학습자 부정표현 선택 과정 분석의 시사점 134
4.1. 부정표현의 표현 효과 인식 및 탐구의 필요 134
4.2. 맥락 고려에 기초한 선택항 체계 구성의 필요 136
4.3. 수행적 지식으로의 확장적 전이 필요 138
Ⅳ.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의 실제 141
1.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의 목표 141
2.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의 내용 구성 144
2.1.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의 체계 144
(1)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 체계 구성의 원리 145
(2)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 선정 151
2.2.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의 두 측면 157
3.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내용의 실제 159
3.1. 맥락 요인 중심 구성의 실제: 맥락 요인 인식하고 표현 효과 탐구하기 159
3.2. 선택항 체계 중심 구성의 실제: 맥락 요인 고려하여 선택항 체계 구성하기 161
3.3. 텍스트 이해 및 생산을 위한 통합적 구성의 실제 163
4.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수·학습의 실행 및 효과 169
4.1. 효과 검증을 위한 교수·학습의 실행 개요 169
(1) 실험 집단 171
(2) 비교 집단 171
4.2.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수·학습의 실행 172
(1)맥락 요인 인식하고 표현 효과 탐구하기의 학습자 수행 양상 172
(2)맥락 요인 고려하여 선택항 체계 구성하기의 학습자 수행 양상 176
(3)텍스트 이해하기 및 텍스트 생산하기의 학습자 수행 양상 178
4.3. 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수·학습의 효과 182
(1) 부정표현 선택 과정 유형 변화 184
(2) 맥락의 적절한 고려 여부의 변화 185
(3) 선택항 체계 구성 여부의 변화 186
(4) 표현 의도 고려 여부의 변화 189
Ⅴ. 결론 192
참고문헌 197
부록 217
Abstract 23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0.7-
dc.title표현 효과 중심의 부정표현 교육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Negat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Expressive Effec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Kim, Beomjin-
dc.description.degreeMaster-
dc.contributor.affiliation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19-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470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26▲000000000039▲00000015470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