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지역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들의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 인식에 관한 설문조사 : A survey of the working scope understanding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chair-side dental assistants among dental students in Seou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경준

Advisor
진보형
Major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Issue Date
2019-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치의학대학원 치의학과, 2019. 2. 진보형.
Abstract
1. 목적

치과의사는 구강진료에 참여하는 인력들이 각자 수행하는 진료영역의 범위를 확실하게 알고 있어야 하며, 이와 관련된 환자나 보호자의 질문에 대해 정확하게 설명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치과의사들이 의료법이나 의료기사법에 따른 정확한 진료영역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에게 올바른 진료를 지시한다면 환자들의 알권리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만족도 높은 정확한 진료 서비스까지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서울지역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재학생들의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에 대한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정확한 법정 진료영역을 파악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치과의사의 역할 수행 시 의료 서비스와 관련한 환자들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고, 환자에게 질 높은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를 수 있게 한다.

2. 방법

이번 연구는 서울지역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인 치의학과 학생 950여 명을 대상으로 직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연구 취지를 듣고 참여에 동의한 사람에 한해 2018년 1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답변이 완료된 설문지 회수 후 응답 내용이 불성실한 설문을 제외한 461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조사 내용으로는 의료인 명찰패용 의무화,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시행에 따른 행위 분류표에서 제시하고 있는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행위별 업무 가능 여부 및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관련 교육내용 유무 등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응답 내용은 전산 입력 후 SPSS 통계 패키지 Version 25.0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3. 결과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상이한 업무 범위에 대해서는 많은 응답자가 인지하고 있었으나, 의료인 등의 명찰표시내용 등에 관한 기준 고시 제정령안(의료인 명찰패용 의무화법)의 시행 여부에 대해 알고 있는 응답자는 적었다. 또한, 이 내용을 습득한 경로는 의료계 관련 종사자,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 교육과정, 일반·전문 언론매체 순으로 조사되었다.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행위별 업무 가능 여부는 치과위생사보다 간호조무사 업무의 정답률이 낮은 편이었고, 간호조무사 업무 가능 행위 중 임시부착물 접착용 시멘트 혼합, 치아본뜨기 트레이 시적, 인상재료 혼합 준비, 초기 경화 후 트레이 유지와 제거, 교정용 결찰용 호선 제작, 구강 내 필름 고정시키기, 방사선 사진(아날로그, 디지털) 출력과 저장 관련 업무에서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응답자의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전체 조사 내용의 인지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관련 교육과정의 존재 유무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대부분은 치과대학·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 치과위생사와 간호조무사의 업무 범위와 관련한 내용이 교수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주로 3, 4학년(원내 임상실습과정) 때 개설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응답했다.

주요어 : 의료인 명찰패용 의무화법, 치과위생사, 간호조무사, 업무 범위, 치과대학, 치의학전문대학원
학 번 : 2014-23007
1. Purpose

A dentist should be fully understanding the scopes of work of the dental health care personnel, and be able to accurately explain them to the patients.
If a dentist properly knows the legal work scopes of dental hygienists (DH) and chair-side dental assistants (DA) in accordance with the Medical Law, and thereby is able to instruct them accordingly, he or she can not only meet the patients wants to know, but also provide satisfactory dental treatment serv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the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dental colleges/schools in Seoul, of the work scopes of DH and DA. Through this study, we intend for the subject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legal work scopes of the dental health care personnel. As a result, the subjects can develop appropriate capacities to provide high-quality dental services and treatments as prospective dentists.

2. Method

A direct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f about 950 students who currently attend dental colleges/schools in Seoul. The survey was taken between the 1st of January and 31st of March, year 2018, and we were able to use a total of 461 samples for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inappropriate ones.
The contents of this structuralized survey included the obligation of proper name badge use for dental health care personnel, the legal work scopes of DH and DA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execution of the Legal Acts on Medical Technicians, and the in/exclusion of such contents from dental colleges/schools curricula. The results were digitally input and statistically analyzed via the SPSS statistical package version 25.0 (SPSS Inc. Chicago, IL, USA).

3. Results

Many subjects were aware of the different work scopes of DH and DA, but not their legal obligation to wear appropriate name badges in accordance with the Proposal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me Badge Standards for Healthcare Practitioners. Also, the students answered to had acquired such information through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school curricula, general/specialized media, in their according order.
The subjects generally showed higher comprehension of the work scopes of DH than those of DA, especially showing low correction rates in DAs following work scopes: mixing temporary dental cements
trially adapting impression trays
preparing the mixing of impression materials
retaining and removing impression trays after initial setting
making orthodontic ligature wires
holding intraoral radiographic films
and saving and printing analogue and/or digital radiographs.
Accurate responses tended to increase with the students seniority, however this was found to be irrelevant with the existence of corresponding curriculum.
Most students agreed with the need of a class teaching the work scopes of DH and DA to be included in their school curricula. Many responded that such class would be most appropriate to be taught in the third and fourth years during which the students engage in clinical training and practice in actual dental hospitals.

Keywords : dental hygienist, chair-side dental assistant, working scope, dental student
Student Number : 2014-23007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16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