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ctual Use of Corpus with Online Dictionaries in English Writing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양하늬

Advisor
김진완
Major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12. 2. 김진완.
Abstract
Along with the growing interests in corpus linguistics and its influence on language education, the present study aims to analyze the actual use of corpus with online dictionaries in the EFL writing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composition and revision processes. Three research questions are discussed to accomplish this aim: (1) How do Korean learners of English use corpus technology in EFL writing, in terms of the frequency, purposes, and success ratios? (2) How differently do the successful and unsuccessful corpus users utilize corpus? (3) What are the responses of Korean learners of English to the use of corpus with online dictionaries for EFL writing?
To investigate the three questions, six participants wrote ten essays and revised them with the feedback provided in the form of underlining, using Brown corpus and online dictionaries. The analysis of the students writing products, corpus use logs, interviews and surveys produced the following results for each research question.
First, the participants utilized the corpus for composition and revision in different ways. While they focused their corpus use on the search for a few categories of linguistic information during composition, a wider range of linguistic information was retrieved more frequently for revision. The success ratios of using corpus, interestingly, were higher in the composition than in the revision process, but the learners experienced success in a greater range of linguistic categories during the revision process.
Second, the student writers corpus use strategies and behavior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their successfulness. While the successful group of students utilized the corpus complementarily with online dictionaries, clearly acknowledging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using corpus, the unsuccessful group tended to rely on one resource at a time for their linguistic decisions, either online dictionaries or corpus. The successful users also employed varied strategies according to their needs,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opposite group, who often abandoned the results when faced obstacles. Other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also appear to have influenced the frequency and successfulness of their corpus use.
Third, most participants found dictionary use more beneficial in composition and corpus use in revision proces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two reference sources by the participants also indicate that many of them recognized that online dictionaries and corpus could play their own roles to enhance their writing.
The results above offer pedagogical implic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corpora into EFL writing classes. Student writers need to be encouraged to utilize corpora complementarily with other writing resources,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courses. The explicit instruction on the effective corpus use strategies would enable learners to benefit from corpora and concordance tools. Other individual affective and cognitive factors should also be considered for successful incorporation of corpus technology.
코퍼스 언어학과 이의 언어교육에의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는 연구 동향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한국 고등학생들의 영어글쓰기에서 나타나는 코퍼스와 온라인 사전의 사용을 작문과 수정의 과정에서 각각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1)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글쓰기를 위해 코퍼스를 얼마나 자주, 어떤 목적을 가지고, 얼마나 성공적으로 사용하는가? 2) 성공적으로 코퍼스를 사용한 학생들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은 글쓰기 과정에서 어떻게 다르게 코퍼스를 사용하는가? 3) 한국 영어학습자들은 글쓰기를 위한 온라인 사전과 코퍼스의 사용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본 연구를 위해 여섯 명의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이 브라운 코퍼스와 온라인 사전을 사용하여 10회에 걸쳐 에세이를 쓰고 밑줄의 형태로 피드백을 제공 받은 후 이를 수정하였다. 글쓰기의 결과물과 코퍼스 사용일지,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분석한 결과 각각의 연구문제에 대한 다음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은 작문과 수정과정에서 각각 다르게 코퍼스를 사용하였다. 작문 과정 중에는 몇 가지 언어 정보를 위해 코퍼스를 집중적으로 사용하는 반면, 수정 과정 중에는 보다 넓은 범위의 정보를 더욱 자주 검색하는 모습을 보였다. 흥미롭게도 코퍼스 사용의 성공률은 작문 과정에서 더욱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수정하는 동안 더 다양한 범위의 카테고리에서 성공을 경험하였다.
둘째, 학습자들의 검색 전략이나 행동이 그들의 코퍼스 사용 성공률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이 나타났다. 성공적 코퍼스 사용자들은 코퍼스의 장단점을 분명히 인식하여 온라인 사전과 상호보완적으로 코퍼스를 사용하는 양상을 보였으나, 비성공적 코퍼스 사용자들은 언어적인 결정을 내릴 때 한 가지 자료에만 의존하는 성향을 보였다. 또한 성공적 학습자들은 자신의 검색 필요에 따라 여러 효과적인 전략을 구사하고 이를 실행하는 모습을 보여 검색 결과가 만족스럽지 않을 때 마다 코퍼스 검색 결과를 무시하는 비성공적 사용자들의 모습과 대조를 이루었다. 다른 정서적, 인지적 요인 또한 코퍼스 사용의 빈도와 성공률과 관련이 있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작문 과정에서는 온라인 사전이, 수정 과정에서는 코퍼스가 더 유용하다고 반응하였다. 학생들이 언급한 두 자료의 장단점은 각 자료가 글쓰기 향상을 돕기 위해 다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위의 연구 결과는 제 2언어 쓰기능력 향상을 위한 코퍼스의 도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적절한 훈련을 통해 학생들이 코퍼스를 다른 전통적인 쓰기 자료들과 상호보완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장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보다 명시적인 코퍼스 사용 전략에 대한 지도는 학생들이 코퍼스와 콩코던스 프로그램을 최대한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것이다. 마지막으로 보다 성공적인 코퍼스의 도입을 위해 학생 개개인의 정서적 인지적 요인이 충분히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272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56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