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추가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자녀수를 고려하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형준

Advisor
조영태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혼여성가정 내 지위추가출산의도가족실태조사저출산양성평등이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2019. 8. 조영태.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자녀수에 따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전 수행된 출산력 연구들은 대부분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본 연구는 McDonald(2000)의 양성평등이론에 근거하여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출산율 반등 현상의 주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여성의 가정 내 지위와 자녀수에 주목한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저출산 현상에 대한 문화적 접근, 그리고 자녀수에 따른 차별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2015 가족실태조사」를 원자료로 삼아 25세∼44세에 해당하는 기혼여성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녀수에 따라 출산의도에 차이가 있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과 12세 미만의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를 통해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가정 내 지위를 파악하였으며,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는 요인분석을 통해 총 4개의 변수로 변수화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출산의도와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가정 내 지위 간 독립성을 확인하고자 교차분석을 통한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출산의도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경우, 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혼인 기간과 가정 내 지위 중 경제권 변수였다. 혼인 기간이 5년 미만인 기혼여성이 출산의도를 가질 확률은 준거집단에 비해 13.297배 높았다. 가정 내 지위 중 경제권의 경우, 여성에게 경제권이 주어질 때 2.098배 높은 확률로 출산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연령과 혼인 기간, 고용상태가 추가출산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기혼여성의 연령이 상승할수록 추가출산의도를 가질 확률은 0.838배 줄었으며, 혼인 기간이 5년 미만인 기혼여성이 추가출산의도를 가질 확률은 준거집단에 비해 3.418배 높았다. 직업이 없는 기혼여성이 추가출산의도를 가질 확률은 준거집단에 비해 1.622배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자녀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자녀가 없는 기혼여성의 경우에는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가 향상될수록 출산의도를 가질 확률이 높아졌다. 이에 반해 자녀가 있는 기혼여성의 경우, 기혼여성의 가정 내 지위는 추가출산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저출산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자녀수에 따른 차별적인 정책적 접근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출산 연구에 있어 사회·경제적 접근뿐만 아니라 여성의 가정 내 지위를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married women`s status within the household has on childbearing intentions using a parity specific approach. The data from 「2015 The family fact-finding survey」, which was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was used. The final sample included 956 married women aged between 25 to 4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separately run stratified by parity, as for childless couples and couples with more than one child aged less than 12 years old. At parity zero, duration of marriage and economic decision-making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fertility intentions. In the case of the other group(parity more than one), the variables that affect intentions to have more children are age, duration of marriage, and employment status of married women. The effect of that married women`s status within the household on childbearing intentions is parity-specific following this study. At parity zero, the probability of having a child was higher if women`s status within the household was stronger. But this effect was disappeared if married women had more than one child and her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ffected significantly fertility intentions. Follo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hed light on the parity specific approaches to low-fertility phenomena. Also, women`s status within the household needs to be considered key-factors as much as other on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26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5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