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 양상 연구 : Identity Formation of Adolescents in Young Adult Novel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주연

Advisor
김종철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 소설정체성 형성 서사자의식주도권진로 설정조력자반대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19. 8. 김종철.
Abstract
In this study, the identity patterns of adolescent protagonists in young adult novels are analyzed by focusing on the specific growth narrative containing an adolescent identity that resembles that of contemporary adolescent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contents of education that triggers positive identity formation in adolescence. Specifically, the identity formation narrative in young adult novels, identity crises of contemporary adolescents, and positive identity as the ultimate goal of identity formation are analyzed in this study.
This thesis defines the young adult novel, a genre mainly projecting adolescent readers, as a novel that describes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from the adolescent protagonists perspective. Therefore, the content of the young adult novel includes adolescents experience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olescent protagonist. Regarding content, the young adult novel shows how an identity crisis in adolescence proceeds to social suture through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Regarding form, the identity formation process of the adolescent protagonist is represen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agonist and opponents or assistants.
In addition, identity is a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that is also related to ones response to the environment. Individuals form their identities by organizing their own experiences at the psychosocial level. Therefore, to understand identity among contemporary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ir psychosocial level and the way they organize their experiences. At this level, adolescents have developmental tasks, including adapting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e.g., maturity of their bodies), developing value orientations that are independent from those of the older generation, and planning their careers according to their value orientations and future realities. The study on the self–perceptions of high school students indicated that adolescents were experiencing negative self-consciousness, the loss of initiative by the older generation, and helplessness resulting from academic stress. This article includes a proposed theoretical framework for Erik Eriksons view of identity for analyzing adolescent identity crises. The three categories of issues that constitute the identity of an adolescent are the issue of self-consciousness, the issue of intergenerational initiative, and the issue of career planning. These categories form the basis for classifications of identity formation patterns in young adult novels (Chapter III). Meta–analyses of biographies of Gandhi and Luther reconstructed by Erikson are included in this study, and the ego-expansion experience that forms positive identity—including self–transcendence, consciousness of generation succession, and an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the ego—is developed. A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ego-expansion is embedded in the positive identity of the adolescent protagonist presented at the end of the young adult novel.
In Chapter III, the patterns of identity formation among adolescent protagonists in nine young adult novels are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ntity formation narrative and the structure of identity formation in adolescence. Section 1 explores the development and constitution of the identity formation narrative, infer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narrative according to three identity issues. The issue of self-consciousness deepens into an issue-oriented conflict, and it is resolved with the narrative connection between the narrative of self-consciousness and the narrative of other-consciousness. The issue of intergenerational initiative deepens into a balance-destructive conflict, and it is resolved with the embedded narrative of the life history of the opponent, a member of the older generation. The adolescent protagonist comes to understand the opponent and embraces him/her. The issue of career planning deepens into a structure-oriented conflict that questions the exclusiveness of contemporary society. Therefore, the narrative of the career plan extends to insight regarding social structure and intersects with the narrative depicting an alternative society.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aspects of identity formation in young adult novel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dentity categories extracted from the development and constitution of the narrativ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protagonists, opponents, and assistants are also examined in this the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adolescent protagonist ha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desires of the self. Based on the definition of an identity crisis as a conflict between inner desires, the adolescent protagonists psychology during an identity crisis were investigated. One protagonist experiencing a crisis of self–consciousness displayed avoidance; one experiencing the crisis of initiative exhibited anxiety, and one experiencing the crisis related to career planning showed confusion when faced with a dilemma.
Young adult novels depict opponent and assistant character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olescent protagonist. The opponent character symbolizes the ideology that suppresses the protagonist and is portrayed critically through direct depiction by the adolescent protagonist. The confrontation with the opponent represents the protagonists recognition of social status and identity in adolescence. However, the assistant character is portrayed through indirect depiction, so his/her personality is gradually formed according to the psychology of the adolescent protagonist. The assistant mediates identity formation by satisfying what is lacking in the adolescent protagonists ego. Communication with the assistant represents the process of identity formation.
In Chapter IV, the investigation includes ways of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positive identities among adolescent learners through the acceptance of young adult novels. Section 1 clarifies the meaning of educational acceptance of the young adult novel, referring to the principles of self–psychological art therapy and literary therapy. Accordingly, this study cites four kinds of experiences that are needed to form the positive identity of the adolescent reader who accepts the young adult novel: self–awareness, self–soothing, tolerance for the tension embedded in identity, and the formation of a positive identity.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accepting the young adult novel is to build up adolescent experiences that form a positive identity.
Section 2 describes an analysis of actual experiences of adolescent learners in conjunction with their acceptance of young adult novels, which embody the contents of education. Findings indicated that the adolescent learners either sympathized with the identity crises of adolescent protagonists and soothed themselves or explored strategies for overcoming such crises described in the novels, which they applied to their own problems. Alternatively, they tried to form positive identities by modeling the traits of assistant characters. However, the learners failed to organize their reading experiences in order to form positive identities because they were unaware of adolescent social experiences. Further, the absence of aesthetic distance and inconsideration of reality also hindered positive identity formation. This study makes up for such weak points with a proposal that the contents of young adult novel education aim specifically for the formation of the positive identity of adolescent learn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young adult novels, for which standards of creation and criticism have not been established, by providing the standard for the identity formation narrative as a genre. As young learners cannot treat their ego defects, though they compete fiercely on entrance exams, finding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with regard to the search for the therapeutic effect afforded by the acceptance of young adult novels that suit the psychosocial level of adolescent learners.
However, this study limits the validity of the young adult novel's effect on the positive identity formation of adolescent learners. Young adult novel education aimed at positive identity formation presupposes a strong empathic relationship with adolescent learners compared to that possible through the adult novel. Therefore, empirical research on the literary/therapeutic effects of young adult novels should be performed in subsequent research.
이 연구는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성장 서사가 현대 청소년이 청소년이기에 경험하는 특수한 정체성 형성 과정을 담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청소년의 정체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학습자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촉발하는 교육 내용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청소년 소설의 정체성 형성 서사로서의 특성과 현대 청소년의 정체성 위기. 자아 발달의 궁극적 목표로서의 긍정적 정체성을 분석하는 데에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청소년 소설은 청소년이라는 독자를 중심으로 기획된 장르로, 본 연구는 청소년 소설의 텍스트 내적 구조에 따라 청소년 소설을 청소년의 경험을 다루며, 이를 청소년 인물시각에서 서술하는 소설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청소년의 경험은 청소년 소설의 내용이 되고, 청소년 인물시각은 형식이 되는데, 내용면에서 청소년 소설의 정체성 형성 서사는 청소년의 정체성 위기가 정체성 형성을 거쳐 사회적 봉합으로 귀결되는 특성이 있다. 그리고 형식면에서는 청소년 인물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반대자 및 조력자 인물 관계 속에서 표상하는 특성이 있다.
또한, 정체성은 자기만의 고유한 특성이자, 환경에 대응해 자기만의 특성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개인은 자신이 속한 심리-사회적 단계에서 발생하는 경험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의미화 함으로써 정체성을 형성한다. 따라서 현대 청소년의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단계와 청소년이 자신의 경험을 의미화 하는 방식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단계에서 청소년은 신체의 성숙을 비롯한 자기의 특성에 적응하는 것, 기성세대의 논리로부터 독립적인 가치체계를 실천하는 것, 가치체계와 미래의 현실성을 고려해 진로를 설정하는 것을 발달과업으로 가진다. 또한 청소년의 자아 인식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현대 청소년은 세 가지 발달과업아 관련해 자의식의 과잉, 기성세대에 의한 주도권 상실, 대입 스트레스로 인한 무기력을 경험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E. Erikson의 정체성 이론을 분석틀로 삼아 청소년기의 정체성 위기를 분석하고, 청소년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세 가지 문제 범주를 자의식의 문제, 세대 간 주도권의 문제, 진로 설정의 문제로 분류하였다. 이 세 가지 문제 범주는 III장에서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분석 범주로 사용되었다. 또한 본 연구는 에릭슨이 재구성한 간디와 루터의 전기를 메타적으로 분석하여, 긍정적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경험인 자기 초월, 세대의 계승에 대한 의식, 세계와 자아의 관련성 이해를 도출하였다. 긍정적 정체성에 내재한 자아의 확장은, 청소년 소설의 결말에 제시된 청소년 인물의 긍정적 정체성을 분석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청소년 소설의 서사가 갖는 특성과 청소년기 정체성 형성의 구조를 기반으로, 이 연구는 III장에서 9편의 청소년 소설을 대상으로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 양상을 분석하였다. 우선 정체성 분석 범주별로 나타나는 서사의 특성을 추론하기 위해, 본 연구는 1절에서 정체성 형성 서사가 전개되고, 구성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자의식의 문제는 논쟁 지향적 갈등으로 심화되며, 결말에서 타인에게 보이는 나의 서사와 내가 보는 타인의 서사의 연쇄가 나타났다. 세대 간 주도권의 문제는 균형 파괴적 갈등으로 심화되다가, 기성세대의 생애사가 삽입됨으로써 청소년 인물이 기성세대의 삶을 이해하고, 그를 포용함으로써 갈등이 해소되는 결말을 보였다. 진로 설정의 문제는 배타적인 사회구조를 문제 삼는 구조 지향적 갈등으로 심화된다. 때문에 진로 설정의 서사는 사회구조에 대한 통찰로 확장되고, 대안적 사회상을 그리는 서사와의 교차를 보였다. 본 연구는 서사 전개 및 구성을 통해 귀납한 정체성 범주별 특성을 바탕으로 청소년 소설에 나타난 정체성 형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청소년 소설에서 청소년 인물, 반대자 인물, 조력자 인물을 제시하는 양상을 분석해 각 인물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우선 청소년 인물은 자아의 욕구를 추구하는 심리적 특성을 갖는데, 본 연구는 정체성 위기를 내적 욕구 간 대립 상황으로 정의하고, 정체성 위기 상황에서 청소년 인물이 보이는 심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의식의 문제로 갈등을 겪는 청소년 인물은 회피적 태도를, 주도권의 문제는 불안을, 진로 설정의 문제는 딜레마적 상황에서 오는 혼란스러운 심리를 보였다.
한편, 청소년 소설은 청소년 인물시각을 통해 반대자 인물과 조력자 인물을 묘사한다. 반대자 인물은 청소년 인물을 억압하는 이념을 상징하고, 청소년 인물시각은 반대자 인물의 이념적 특성을 직접묘사를 통해 비판적으로 제시한다. 반대자와의 대립은 청소년 인물의 사회적 지위 및 정체성 인식 과정을 표상한다. 반면, 조력자 인물은 간접묘사로 제시되어 청소년 인물의 심리에 따라 점차적으로 성격이 구성된다. 조력자 인물은 청소년의 결핍한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정체성 형성을 매개하는 기능을 하며, 조력자 인물과의 소통은 청소년 인물의 정체성 형성 과정을 표상한다.
이 연구는 IV장에서 청소년 소설 수용이 청소년 학습자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기여할 방법을 모색한다. 이에 본 연구는 1절에서 자기심리학적 예술치료 및 문학치료 원리를 참고해 청소년 소설의 교육적 수용의 의미를 밝혔다. 또한 청소년 독자의 긍정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필요한 네 가지 청소년 소설 수용 경험을 추출했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청소년 소설 수용 교육의 목표를 학습자가 자아 인식 경험, 자기위로 경험, 긴장 용인의 경험, 긍정적 정체성 형성의 경험을 축적하는 것으로 설정했다.
2절에서 본 연구는 교육 내용을 구체화하기 위해 실제 청소년 학습자의 청소년 소설 수용 양상을 분석하였다. 청소년 학습자는 청소년 인물의 정체성 위기에 공감해 자기를 위로했고, 소설로부터 정체성 위기 극복 전략을 탐색해 자기 문제에 적용했으며, 조력자 인물을 모델 삼아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시도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학습자는 청소년 소설 수용 과정에서 청소년의 사회적 경험에 대한 인식, 미적 거리두기, 현실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던 탓에 독서 경험을 긍정적 정체성으로 의미화하지 못했다. 수용 양상에서 보인 문제점을 보완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 학습자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청소년 소설 교육 내용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는 창작 및 비평의 기준이 확립되지 못한 청소년 소설에 청소년의 정체성 형성 서사로서의 장르적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청소년 소설의 질적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치열한 대입 경쟁 속에서 자아의 결함을 돌보지 못한 청소년 학습자가, 자신의 심리-사회적 단계 및 문학 능력에 알맞은 소설을 수용함으로써 보다 편하게 긍정적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문학 치료 방법을 모색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청소년 학습자의 긍정적 정체성 형성에 대한 청소년 소설의 효과를 검증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긍정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청소년 소설 수용 교육은 청소년 소설이 성인 소설에 비해 학습자와 강력한 공감적 관계를 이룰 것을 전제한다. 따라서 청소년 소설의 문학 치료적 효과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후속 연구를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1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2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