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교육 연구 : A Study on Intercultural Knowledge Education Using Korean Modern Poetry : focused on comparison of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리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교육상호문화교육문화 지식구성주의한국 현대시한국 문화교육개인적 지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2019. 8. 윤여탁.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가 한국 문화 지식을 구성하는 능동적인 주체가 되는 학습자 중심의 한국어 문화교육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는 인지적, 정의적, 경험적 학습 대상이라는 점에서 교사가 일방적으로 단편적인 문화 지식을 제공하는 방식의 문화교육은 지양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가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목표 문화와 상호작용하는 가운데 문화 지식을 이해하고 해석하고 자기화하는 상호문화 지식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그리고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따라 문화 지식 구성의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고 보아, 중·고급 학습자의 문화 지식 구성 양상의 차이를 밝히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지식은 앎의 대상으로서 지식뿐 아니라, 지식 구성 과정과 정의적 측면을 포괄하는 보다 확대된 지식의 개념을 전제한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 문화에 대한 정의적 접근이 활발하게 일어날 수 있도록 한국 현대시를 교육 제재로 활용하였다.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구성의 원리로는 텍스트의 이해를 통한 소통소 형성, 상호작용을 통한 문화 지식의 의미 구성, 개인적 지식으로서 문화 지식의 재구성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교육은 시적 정서 체험을 통한 한국 문화에 대한 정의적 접근, 시 텍스트의 능동적 의미 구성을 통한 자기화, 문화 간 소통을 통한 상호문화 능력 함양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의 실험은 중국인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구성주의 관점을 바탕으로 개인적 지식 구성과 개인 간 지식 구성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언어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지식 구성의 양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중급, 고급 학습자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구성 양상을 다음과 같은 범주로 살펴보았다. 첫째, 텍스트 이해를 통한 소통소 형성 양상에서 학습자는 텍스트 내적 정보를 활용하거나 텍스트 외적 요소의 활용하였다. 둘째, 상호작용을 통한 문화 지식의 의미 구성 양상에서 학습자는 텍스트의 사실적 의미를 이해하거나, 자문화 인식과 개인적 문화 인식을 공유하였다. 셋째, 개인적 지식으로서 문화 지식의 재구성 양상에서 학습자는 텍스트 의미 이해에 기반하여 문화 지식을 기술하고, 문화 간 관계 짓기를 통하여 문화 지식을 해석하고, 개인적 반응을 통하여 문화 지식을 자기화하였다.
중·고급 학습자의 상호문화 지식 구성 양상의 차이는 다음과 같다. 대체적으로 고급 학습자는 시 텍스트를 통하여 문화 지식을 이해하고 해석과 자기화로 나아간 반면, 중급 학습자는 텍스트 이해 단계에 머물러 있어 문화 지식의 해석과 자기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즉 중급 학습자는 텍스트 이해가 미흡하여 해석 단계에서 자문화 지식의 환기는 이루어졌지만 문화 간 비교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자기화 단계에서 자문화 인식을 그대로 유지하여 타문화에 대한 정의적 거리의 조정과 자문화에 대한 성찰적 인식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학습자의 양상 분석을 통해 얻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한국 현대시를 활용한 상호문화 지식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맥락 기반 시 읽기를 통한 텍스트 의미 구성, 다양한 문화 인식 공유를 통한 문화 간 비교, 타문화 지식의 자기화를 통한 문화적 정체성의 재구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텍스트 이해를 돕는 발문 제공, 비교의 풍부화를 위한 토론, 타문화 감정이입을 위한 교실 내 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문화 지식 구성의 과정적 측면을 중시하여 학습자의 실제적 자료를 바탕으로 문화 지식의 구성 과정에 따른 다양한 양상을 밝혔다는 점, 중·고급 학습자의 문화 지식 구성 양상을 비교하여 이에 따른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project Korean culture education, focused on learner, where learner becomes the active principal and forms the Korean culture knowledge. Currently the cultur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usually made in a way to present fragmentary knowledge. However, as culture is a learning object to recognize, feel and experience, it is better for the teacher not to make the culture education via one-way provision of cultural knowledge.
In this context, this study used the concept of 'inter-culture' and projected a intercultural knowledge education where the learner interacts with the target culture, based on his/her cultural identity, to understand, interpret, and personalize the cultural knowledg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possibility that the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may differ by language level, this study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in the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and design different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is study, 'knowledge' is assumed not just as the knowledge as a target but as the more expanded concept to comprise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and affective aspects. Also, in this study, Korean modern poems are used as education materials to have affective approaches to Korean culture. As the principles of inter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using Korean modern poems, 'formation of Kommunikat via understanding of the text', 'construction of the meaning of cultural knowledge via interactions', and 'reconstruction of cultural knowledge as personal knowledge' are proposed. And, this study found that the intercultural knowledge education using Korean modern poetry has educational implication as it provides personal experience of poetic emotion via which the learner can have affective approaches to Korean culture, personalize via active meaning construction of the poem's text, and foster intercultural competence via inter-culture communication.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administered for Chines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and designed to achieve both personal knowledge construction and inter-personal knowledge construction based on the viewpoint of constructivism. In addition, to compare the aspects of knowledge construction that differ by the level of language of each learner, the experiment was administered by two different groups of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The study observed following categories in the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aspects using the Korean modern poems. Firstly, in the aspect of 'forming Kommunikat via understanding of the text', learners used either the internal information of the text or external factors of the text. Secondly,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of cultural knowledge meaning via interactions', learners either understood the factual meaning of the text or shared the awareness on self-culture and personal cultural awareness. Thirdly, in the aspect of 'reconstruction of cultural knowledge as personal knowledge', learners stated cultural knowledg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interpreted the cultural knowledge via making relations between cultures and personalized the cultural knowledge via personal reactions.
The difference in the aspect of inter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learners was as follows: Most advanced level learners understood the cultural knowledge via the poem's text to proceed to interpretation and personalization. Compared to this, intermediate level learners failed to make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cultural knowledge and personalization as they stayed in the stage of understanding the text. That is, in many cases, intermediate level learners aroused the knowledge of self-culture in the stage of interpretation, however,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text, they failed to make active comparison between the cultures and kept the awareness of self-culture in the stage of personalization, which made them keep the awareness of the self-culture to keep the affective distance with other culture and failed to make reflective recognition on the self-culture.
Based on the implications from the analysis of the aspects, the study proposed the content of intercultural knowledge education using Korean modern poetry as constructing text's meaning via context-based reading of poems, comparing cultures via sharing of various cultural awareness, and reconstructing cultural identity via personalizing the knowledge on other cultures. As the educ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s, the study designed provision of a questioning that helps understanding of the text, discussion for enrichment of comparisons, and in-class conversation for empathy with other cultures.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found the processes and various aspects of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by using Korean modern poems based on actual data of learners' noticing the importance of the processes of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and, it projected the education methods necessary by each level of language by comparing the aspects of cultural knowledge construction by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 Chinese learn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2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