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에 대한 초·중·고등학교 교사의 인식 연구 :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f Ways to Support At-Risk Learn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동일; 임희진; 김주선; 김희은; 문성은; 이연재; 장혜명; 조은정; 안제춘

Issue Date
2019-03
Publisher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Citation
아시아교육연구, Vol.20 No.1, pp. 25-46
Keywords
교육사각지대 학습자지원 방안교사 인식개념도At-Risk LearnersSupport ServicesTeacher PerceptionsConcept Mapping
Abstract
교육사각지대에 놓인 학습자를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법과 정책이 시행되어 왔으나, 여전히 교육과 지원이 아닌 장애와 진단을 강조하는 접근으로 인하여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실제로 학생의 문제나 요구를 파악하고, 교육과 지원을 제공하는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초·중·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 방안의 내용, 차원과 군집,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봄으로써 교육사각지대 학습자 지원을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교사 12인이 참여한 인터뷰 결과 45개의 진술문이 도출되었다. 둘째, 초·중·고등학교 교사 26인이 참여한 유사도 평정 결과 이러한 진술문은 교육청 및 지역사회-학교 및 가정 및 직접적 교육 지원-관련 서비스의 2차원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시스템 구축의 세 군집으로 가장 잘 설명되었다. 셋째, 중요도 평정 결과 교사의 주체적 지원, 행·재정적 교육청 지원, 학교 내 시스템 구축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학교급별 차이가 존재하였다.
Many laws and policies have been put in place to support at-risk learners including students with learning difficulties, borderline intelligence and dyslexia. However, the current approach, which is focused more on disability and its diagnosis rather than education and support, has been problematic due to the lack of supportive systems for certain disabilities and considerations for comorbidity.
It is crucial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s on this issue because they serve an important role in detecting problems at an early stage and delivering appropriate educational services. In this study, teachers perceptions of ways to support at-risk learners was explored using the concept mapping method. The interview transcripts of 12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and 45 statements were extracted. These statements were sorted and rated by 26 elementary to high school teachers, which then were used to analyze the similarity and importance of the statements. The results could be best interpreted in two dimensions, first the education office and community-school and family axis and second the direct educational support-related services axis, and three groupings, which are teacher initiated support,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of education offices and supportive systems at schoo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eacher initiated support was the highest, and other two were quite similar.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ISSN
1229-9448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4896
DOI
https://doi.org/10.15753/aje.2019.03.20.1.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