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강연의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을 위한 메모하며 듣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Notetaking and Listening for Increasing the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of a Lec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동섭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20. 2. 민병곤.
Abstract
In the field of education, most teachers perceive that notetaking is not a skill that needs to be taught or learned, and they often provide completed notes to students. However, notetaking while listening is a means for learners to understand a text on a deeper level, and functions as a learning tool to organize the comprehensive knowledge gained through learning. Therefore, it is not possible to maximize text comprehension through notetaking according to a certain form. To help learners achieve maximum learning outcomes and actively take notes in listening situations, systematic notet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to improve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sign notet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to improve the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of lecture content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design was established. First, the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process of listening comprehension. In related to Kintsch, the comprehension of text is a process of expanding the mental representation from the surface structure of a text to the text-based and situational model. In conclusion, the study confirmed that notetaking while listening helps construct a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text. Next,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function of notetaking in the lecture listening process and its characteristic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process function, one of the functions of notetaking for improving comprehension and recollecting text contents in listening, leads to a deeper level of understanding. Based on this, the study then discussed the dynamic and cyclic process of lecture listening with notetaking, and explored the factors of the comprehender, notetaking, and text involved in this process. The comprehender factors are awareness of the utility of notetaking, working memory, background knowledge, and metacognition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notetaking factors are note form, note contents, and note expressions. The text factors ar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ecture text and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lecture text.
In chapter III, the notetaking and lecture listening education was designed.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previous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notetaking and listening. The studys design was based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and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In terms of educational design, text-centered comprehension, emphasis on the metacognitive aspect, process-oriented gradual and procedural approach, and integration of listening and notetaking were set. Based on the design direction, the goal of notetaking and lecture listening education was set, and the study presented the contents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 goal. The propositional and procedual knowledge were set as the system of contents, and the educational content elements were presented according to the system. As a design principle of the method, explicit instruction based on the principle of gradual release of responsibility was set,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notetaking and lecture listening was modeled and presented based on the principle. The purpose of this teaching and learning is to induce learners to learn the knowledge necessary for notetaking and lecture listening by repeating activity performance and to gradually proceed with learning.
In chapter IV, the study verifi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education designed in chapter Ⅲ.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was designed for 27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26 students in the comparative group, who were all second-grade middle-school students. The experiment included a pre-test to confirm whether the two groups were homogeneous and a post-test to verify the effect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notetaking and lecture listening education designed in this study,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given the notetaking and listening education based on the previous curriculum and textbook contents. The verification of educational effects was conducted in terms of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of lecture contents and quality of notes. For the analysis, the study collected learners' notes, free recall writing, response data for O/X and short answer questions, and the response data for learner's background variable survey. As a result of the data analysis, in the pre-te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omprehension, recollection, and quality of notes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in the post-tes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better results in the comprehension, recollection, and quality of notes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rough this,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designed in this study was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omprehension and recollection of lecture contents, and the quality of notes while listening to the lecture than that used on the comparative group.
기존에 메모하기 능력은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으므로 따로 교수·학습이 불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하게 존재하였고, 교육 현장에서는 현실적인 여건상 교사가 일방적으로 학습자에게 조직화된 메모를 베껴 적을 수 있는 형태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듣기에서 메모하기 활동은 이해 과정에서 더 깊은 처리 과정을 거치게 하는 수단이자 깊은 수준의 지식을 구성하고 학습 내용을 자신의 지식과 관련지어 재조직할 수 있는 학습 도구로 기능하므로, 단순히 정해진 양식에 맞추어 텍스트 내용을 받아 적는 메모하기를 통해서는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없다. 학습자가 최대한의 학습 성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그리고 듣기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메모할 수 있도록, 메모하며 듣기 활동을 보다 입체적으로 주목하여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을 위한 체계적인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으로부터 출발하여 강연의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을 위한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교육 설계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구축하였다. 먼저, 듣기 이해의 개념과 과정을 탐색하였다. 그리고 이해의 수준을 킨취(Kintsch)의 논의를 빌려 텍스트의 표면구조에서 텍스트 기반, 상황 모형으로 나아가는, 정신 표상을 확장적으로 구성해 가는 과정으로 보았다. 이러한 논의에 터하여, 듣기 상황에서 메모하기가 텍스트에 대한 정신 표상을 구성해 가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하였다. 이후 듣기에서 메모하기의 개념과 기능, 메모하며 강연 듣기의 과정과 특성을 고찰하였다. 듣기에서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을 위한 메모하기의 기능 중 과정 기능이 듣기 중 메모하기를 통해 더 깊은 수준의 이해로 견인하는 기능임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메모하며 강연 듣기의 역동적이고 순환적인 과정에 대하여 논의한 뒤, 이 과정에 관여하는 이해자, 메모, 텍스트 요인들을 각각 탐색하였다. 이해자 요인으로는 메모하기의 효용성 인지, 작업 기억, 배경 지식, 상위인지 및 자기 조절 능력이 있고, 메모 요인으로는 메모 양식, 메모 내용, 메모 표현이 있으며, 텍스트 요인으로는 강연 텍스트의 구조 특징, 강연 텍스트의 표현 특징이 있음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강연 듣기에서 메모하기 교육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이에 메모하며 듣기와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을 분석하여 기존의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반성적으로 검토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문헌 연구와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바탕으로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을 토대로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설계하였다. 교육의 설계 방향으로 텍스트 중심의 이해와 수용, 상위인지적 측면의 강조, 과정 중심의 점진적·절차적 접근, 듣기와 메모하기의 통합적 제시를 설정하였다. 설계 방향을 견지하여 강연의 내용 이해와 회상 증진을 위한 메모하며 듣기 교육의 목표를 세우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내용과 방법을 제시하였다. 내용의 체계로 명제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을 설정하였고 해당 체계에 따라 교육 내용 요소를 제시하였다. 방법의 설계 원리로 책임 이양 원리가 적용된 현시적 교수법을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모하며 강연 듣기 교수·학습 과정을 모형화하여 제시하였다. 해당 교수·학습의 목적은 메모하며 강연 듣기의 과정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식을 일련의 과정에 따라 반복적인 활동의 수행을 통해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점진적으로 학습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설계한 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중학교 2학년 학습자 실험 집단 27명, 비교 집단 26명을 대상으로 준실험연구를 설계하였다. 실험에는 집단별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한 사전 검사와 교수·학습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후 검사가 포함되었으며, 교수·학습 시에는 실험 집단에는 본 연구에서 설계한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비교 집단에는 기존의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용 중심의 메모하며 듣기 교육을 처치하였다. 교육 효과의 검증은 강연 내용 이해 및 회상, 메모의 질 측면에서 이루어졌으며, 분석을 위하여 학습자 메모와 자유 회상문, O/X 및 단답형 문항에 대한 응답 자료, 학습자 배경 변인 설문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사전 검사에서는 두 집단이 내용 이해 및 회상, 메모의 질 측면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검사에서는 실험 집단이 비교 집단보다 내용 이해 및 회상, 메모의 질 측면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설계한 교육 내용이 비교 집단의 그것보다 강연 듣기에서 내용 이해와 회상의 증진, 메모의 질 향상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