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정서적 문식성 중심의 시 감상 교육 연구 : A Study on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cused on Emotional Litera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민지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20. 2. 윤여탁.
Abstract
This Study introduces 'Emotional Literacy' as a concept to explain the learner's emotional response to poetry, based on the belief that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pay attention to the learner's emotional response process, and aims to project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for developing emotional literacy.
The act of appreciating poetry is not only an act toward the other implied in the poem but also toward the inside of the self. Thus, the learners as the reader can figure out in depth the emotion of the text through experiencing the others and their own emotions, and understanding how that experiences are related with subject's perception and way of life. This way of poem reading is made possible through the process of constant communication between the other and the learners, and the emotions provoked in the appreciation process can be internalized in learners through self-reflection on their own reaction.
Therefore, This study conceptualizes the 'Emotional Literacy' as learner's ability to perceive, understand, express, and self-reflect about the emotion in the process of poetry appreciation, and aims to design the poetry appreciation education by analyzing the types and problems of the real learners practice of emotional literacy.
In order to examine the types of emotional literacy of the learners, this study selected the modern poetry texts according to the criteria for activating the emotional response. After that, based on the theory of the appreciation of works of art, presented principle as 'Perception of expressed emotions in the text', 'Communication for understanding emotions subjectively', and 'Self-reflection of emotional response for expressing emotions'. This study assumed these categories as having a circular and complementary nature rather than a linear process or stages. Based on this, this study categorized the real practicing aspects by analysing the learners reports.
The aspects of learners emotional literacy practicing were categorized as follows by data analysis. First, Understanding informations of the text and Perceiving of expressed emotions in the text was presented as capturing emotions through discovery of emotional marks, suggesting emotional situations through text citations, and inferring emotions through context reconstitution. Second, as the result of categorizing by similarity of experiences that learners use as a communication mechanism to build a communic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nd others, Communication between self-other and Subjectivization of emotions was presented as empathic understanding of emotions through recollecting similar experiences, relative understanding of emotions through referring adjacent experiences, and concretization of own emotions through comparing with others. Third, Self-reflecting of emotional response and expression of emotions was divided into two aspects according to the learner's reflection process on self-expression, it was found to recognize the effect of other's emotional expression and to reconstruct emotional expression through reflective comparison. Lastly, the problem situations and the cause of that which were exposed in the process of practicing learners emotional literacy were analyzed in each aspect of perception, understanding, and self-reflection. It was arranged as the delay in perceiving emotions by non-associative understanding of informations, the failure for subjectivization of emotions by passive communication, and the lack of self-reflection due to deactivation of meta-cognitive.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in order to enhance the learners emotional literacy by analyzing the learners cases and problem situations. Concretely, this study introduced the methods that using text reconstruction guides to effectively synthesize emotional information in texts, providing scaffolds for focused comparisons, revitalizing communication in the process of emotional understanding by going through conversations in the classroom, and suggesting appropriate questioning to induce the self-reflection.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about emotional response by assuming the emotional literacy as learners appreciation ability that can be confirmed and extended in the process of poetry appreci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an form a communicative self, secure active attitude of learner as the emotional subject, deepen the learners appreciation and enhance their ability to express emotions, by designing concrete educational methods through analyzing the aspects of actual learners.
본 연구는 시 감상 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 과정에 주목해야 한다고 보고, 시에 대한 학습자의 정서적 반응을 설명할 수 있는 개념으로정서적 문식성을 도입하여 정서적 문식성의 신장을 위한 교육을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시를 감상하는 행위는 시에 내포된 타자를 향하는 행위임과 동시에 자신의 내면을 향하는 행위로, 독자인 학습자는 시를 읽으며 타자 및 자기의 정서를 체험하고 그러한 체험이 주체의 인식 및 삶의 방식과 어떻게 관계되는 지를 파악함으로써 정서를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시 읽기는 타자와 학습자 간의 끊임없는 소통의 과정을 통해 가능해지며, 자기 자신의 반응에 대한 성찰을 통해 감상 과정에서 촉발된 정서가 내면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 감상 과정에서 정서를 인식하고 이해하며, 성찰하고 표현하는 이러한 학습자의 능력을 정서적 문식성으로 개념화하고, 실제 학습자의 정서적 문식성 실행의 양상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시 감상 교육을 설계하고자 한다.
학습자의 정서적 문식성이 실행되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반응의 활성화를 위한 기준에 따라 현대시 텍스트를 선정한 후, 예술작품의 감상에 대한 이론에 근거하여 정서적 문식성 실행의 원리를 시 텍스트의 표현된 정서 인식, 주관적 정서 이해를 위한 소통, 정서 표현을 위한 반응 성찰로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범주를 선형적 과정이나 단계로 상정하기보다는 순환적이고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띠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이에 따라 학습자의 감상문을 분석하여 실제 실행의 양상을 분류하였다.
정서적 문식성 중심의 시 감상 양상은 자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첫째로 텍스트 정보 이해와 표현된 정서의 인식은 학습자가 어떠한 정보 활용 전략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정서 표지의 발견을 통한 정서 포착, 텍스트 인용을 통한 정서적 상황 제시, 상황 재구성을 통한 정서 유추로 나타났다. 둘째로 자기-타자 정서의 소통과 정서의 주관화는 학습자가 자신과 타자의 소통적 관계 형성을 위해 소통의 기제로 삼은 경험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유사 경험 환기를 통한 공감적 정서 이해, 인접 경험 조회를 통한 상관적 정서 이해, 타자와의 비교를 통한 자기 정서 구체화의 양상으로 나타났다. 셋째로 정서적 반응의 성찰과 정서의 표현은 자기 표현에 대한 학습자의 반성적 성찰 과정의 유무에 따라 타자 정서 표현의 효과 인식, 반성적 비교를 통한 정서 표현의 재구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는 인식, 이해, 성찰의 각 측면에서 학습자의 정서적 문식성의 실행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 상황과 그 원인을 비연합적 정보 이해에 의한 정서 인식의 지연, 소극적 소통에 의한 정서 주관화의 실패, 메타 인지 비활성화에 의한 성찰의 부재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학습자의 양상 및 문제 상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정서적 문식성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으로는 텍스트 재구성 가이드를 활용하여 텍스트의 정서적 정보를 효과적으로 종합할 수 있도록 하며, 초점화된
비교를 위한 비계를 제공하고 교실 내 대화의 과정을 거침으로써 정서 이해 과정에서 소통을 활성화하고, 적절한 발문을 제시하여 성찰을 유도하고 정서 표현을 수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시 감상 과정에서 확인하고 신장시킬 수 있는 학습자의 감상 능력을 정서적 문식성으로 상정하여 정서적 반응에 대한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실제 학습자의 양상 분석을 통해 구체적인 교육 방안을 설계함으로써 관계
적 자아를 형성하고, 정서 체험의 주체로서 학습자의 능동적 태도를 확보하고, 정서 이해 및 표현 능력의 신장을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37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