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학교 문학 교실에서의 수필 쓰기 교육 연구 : A Study on Essay Writing Education in Junior High School Literature Classroom: Focused on Literary Forming of Daily Experience
일상적 경험의 문학적 형상화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드레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2020. 2. 윤대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able learners to actively understand their daily experiences and to create essays as an internal literary form based on the principles of essay.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will focus on the essay writing aspects of the learners and review the significant parts of the essay writing and the parts requiring educational treatment. Based on the results, we will design and present the educational plans of the learners.
An essay is a reflection of oneself and the world surrounding him, using his or her own voice as a narrator based on his or her experience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is is a genre that induces the sympathy to the reader by forming the artist's personality and emotion.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essays, this study intends to derive the scenes that internalize the experience through writing essays and the scenes that express them in detail and activate the communication with potential readers as the essays within the form.
In designing essay writing education, this study limited the scope of research to literary essays commonly used in Korean language classrooms. In particular, the essays referred to in this study are revealed in the activities of reflecting the learners' daily experiences in the curriculum and expressing them in a complete text. Learners usually perform a variety of everyday experiences with no particular consciousness of everyday life. However, through essay writing, the learner consciously looks at the everyday world, focuses on the inner shock, discovers the cracks in everyday life, and looks at it in relation to his overall life. Meanings can be harvested independently. Therefore, this study judges that the principle of essay is derived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l form, not the external form, demonstrates the premise that essay writing activities actively drive the meanings of their lives, intends to design an essay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derive the internal form of the essay, this study inductively examines the element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essay through the theories of essay genres, and on the one hand, based on theories of experience and everyday life, the essay theory and essay writing of the actual essay writers are examined as analytical data. The principles of essay writing focused on daily experience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research and grounded theory. The principle is first, perception of everyday world as Stimmung(mood), second, construction as narrative imagination, and third, meaning as formation of experience. These writing principles are not sequential or exclusive concepts, but are sometimes overlapping and cyclical areas. In the process of essay writing by real learners, they can unite with one another.
Based on this, the aspects of the learner's data were categorized. First, through the experiment, the recognition aspect of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the essay genre was analyzed and categorized. First, narrative description, second, expression of emotion, third, self-reflection Appeared. As a preference for essay writing, positive recognition of internalizing the meaningful parts of the experience and reflecting on one's life was revealed through essay writing, while in the essay writing education, many learners have difficulty in writing 'what' and 'how'. Some responded that they were suffering.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liminary activity of planning the beginning, middle, and end of the essay as the method suggested in the current curriculum does not provide an effective educational guide for writing the essay. The practical difficulties these learners face in their essay writing activities can be pointed out as educational points.
The categorization of learners writing essays is as follows: Firstly, the formation of experiences through emotional relationships was triggered by moods of behavior and depicted impressions of objects. Secondly, the association of experiences through narrative composition appeared as a reorganization of experiences as narratives and the incorporation of rhetorical imagination. Third, the evaluation of experience through semanticization appeared to give meaning through self-reflection and communication-oriented attitude to open and open these meanings. Among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found some points where learners could not form experiences through essay writing, could not combine various experiences into meaningful relationships, and did not properly process the value of these experiences. These points soon lead to the problem of argumentation through objective information, listing experiences in chronological order, and hasty generalization of personal meaning.
In order to improve the problem situation and to effectively work on essay writing, learners must create the subjective meaning of experience, expand the possibility of creative shaping, and cultivate an active attitude in communication. Under the goal of these essay writing education the content of the essay writing education derives concrete experiences from various levels, and reconstruct this experience through subjective relationships with learners. It also suggested that values ​​should interact as sympathetic interpretations with the intention of such writing. Teaching methods for such educational contents include identifying the components of experience, organically combining experiences, forming relationships with specific objects in experiences, connecting senses and moods, and embodying the above processes through reflection. Finally, the investigator proposed an activity to accept values in the community.
This study sees learners as active producers who can reflect and express the meaning of their own experiences, analyzes the phenomena of essay writing in the literature classroom by using the essay texts of actual learners. Through this, the method of essay writing is embodied as an internal form based on the learner's life, and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the learner to internalize the value of the experience and to communicate empathically.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수필의 원리를 바탕으로 자신의 일상 속 경험을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내적인 문학 형식으로서의 수필을 창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들의 수필 쓰기 양상에 주목하여 수필 쓰기의 유의미한 부분 및 교육적 처치가 필요한 부분을 검토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교육 방안을 설계하여 제시할 것이다.
수필이란 개인이 직·간접적으로 겪었던 경험, 즉 실제의 일을 바탕으로 하여 자신의 목소리를 서술자로서 직접 내세워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계를 성찰하고, 이를 통해 작자의 인격적 개성과 정서를 형성하여 독자에게 공감을 유도하는 장르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수필의 특성에 주목하여, 수필 쓰기를 통하여 경험을 내면화하는 장면과 이를 구체적으로 외현하여 잠재 독자와의 소통을 활성화하는 장면을 수필 내적인 형식으로서의 원리로 도출하고자 한다.
수필 쓰기 교육을 설계함에 있어 본 연구는 연구범위를 중학교 문학 교실 안에서 통용되는 수필로 한정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수필 쓰기는 교육과정상 학습자의 일상 속 경험들을 성찰하여 하나의 완결된 글로 표현하는 활동들로 나타난다. 학습자는 보통 일상생활을 특별히 의식하지 않은 채 다양한 일상적 경험들을 수행한다. 그런데 수필 쓰기를 통하여 학습자는 일상세계를 의식적으로 돌아보며 내면의 깊은 곳에서의 충격에 집중하며 일상의 균열을 발견하고, 이를 자신의 전체적인 삶과 연관하여 조망해 봄으로써 학습자는 자신이 직접 겪은 경험의 특별한 의미들을 주체적으로 내면화하고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수필의 원리가 외적 형식이 아닌 내적 형식의 특성에서 비롯된다는 것으로 판단하고, 수필 쓰기 활동이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의 의미들을 견인한다는 전제를 입증하고, 이를 통한 수필 쓰기 교육을 설계하고자 한다.
수필의 내적 형식을 도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수필 장르들에 관한 이론들을 통하여 수필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요소들을 귀납적으로 살피고, 한편으로는 경험과 일상에 관한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실제 수필 작가들의 수필론 및 수필 작법을 분석 자료로 삼아 검증한다. 이를 바탕으로 문헌연구와 근거이론으로써 일상 속 경험을 중심으로 한 수필 쓰기의 원리를 도출하는데, 그 원리는 첫째, 기분으로서의 일상세계 인식, 둘째, 서사적 상상으로서의 구성, 셋째, 체험의 결성으로서의 의미화이다. 이러한 쓰기의 원리들은 순차적으로 일어나거나 배타적인 개념이 아니며 때로 중첩하여 동시적이고 순환적으로 일어나는 영역으로, 실제 학습자들의 수필 쓰기의 과정에서는 상호적으로 연합할 수 있다.
이를 토대로 학습자 자료의 양상을 범주화하였는데, 먼저 실험을 통해 수필 장르가 어떠한 장르적 특질을 지니는지에 대한 인식 양상을 분석하여 범주화였을 때 첫째, 경험 서술하기, 둘째, 정서 표현하기, 셋째, 자아 성찰하기로 나타났다. 수필 쓰기의 선호로서 수필 쓰기를 통하여 경험의 의미 있는 부분들을 내면화하고 자신의 삶을 성찰하였다는 긍정적 인식도 드러난 한편, 수필 쓰기 교육 상황에서 다수의 학습자들은 무엇을, 어떻게 써야 할지 어려움을 겪는다고 응답하기도 하였다. 또한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제시되는 방식으로서 수필의 처음-중간-끝을 계획하는 사전 활동은 수필 쓰기에 효과적인 교육적 지침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학습자들이 수필 쓰기 활동에서 겪는 실제적인 어려움을 교육적으로 처치해야 할 지점으로 삼을 수 있다.
학습자들이 수필을 쓰는 양상을 범주화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정서적 관계를 통한 경험의 형성은 행위에 대한 기분으로 촉발되고 대상에 대한 인상을 묘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서사적 구성을 통한 경험의 연합은 서사로서 경험을 재배치하는 것과 수사적 상상력이 개입된 형상화로서 나타났다. 셋째로 의미화를 통한 경험의 평가는 자아성찰을 통한 의미부여와 이러한 의미를 개방하여 열어놓는 소통 지향적 태도로 나타났다. 분석 내용 가운데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수필 쓰기를 통하여 경험을 구체적으로 형성하고, 다양한 경험들을 의미 있는 관계로 연합하고, 이러한 경험의 가치를 평가하는 과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지점들도 발견하였다. 이러한 지점들은 곧 각각의 양상에서 객관적인 정보를 통한 논증, 시간 순대로 경험 나열, 개인적 의미의 성급한 일반화라는 문제로 도출되었다.
문제 상황을 개선하고 수필 쓰기의 활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경험의 주체적 의미를 생성하고, 창조적 형상화의 가능성을 확장하며, 작품 소통의 적극적인 태도를 함양해야 한다. 이러한 수필 쓰기 교육의 목표 하에 수필 쓰기 교육 내용으로 다양한 층위에서 구체적인 경험을 도출하고, 이 경험을 학습자와의 주관적인 관계를 통하여 재구성하며, 또한 그러한 쓰기의 지향성으로 공감적 해석으로서 가치가 상호작용하여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경험의 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경험을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또한 경험에서 특정한 대상과 관계를 형성하고, 감각과 기분을 연결하고, 이상의 과정을 성찰을 통하여 의미화하고, 최종적으로 공동체 내 가치의 수용하는 활동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를 스스로 자신의 경험의 의미를 성찰 및 표현할 수 있는 능동적인 생산자로 보고, 실제 학습자의 수필 텍스트를 분석 자료로 하여 문학 교실 내 수필 쓰기의 현상을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수필 쓰기의 방법을 학습자의 삶을 기반으로 내적인 형식으로서 구체화하여, 학습자가 경험의 가치를 내면화하고 또한 공감적으로 소통할 수 있도록 기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4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