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의지 표현 교육 내용 연구 : 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Korean Volitive Expressions: Focusing on Mechanism of Choosing Grammar
문법 선택 기제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박선영-
dc.date.accessioned2020-05-07T04:32:30Z-
dc.date.available2020-05-07T04:32:3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6077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77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2020. 2. 구본관.-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ate the semantic category-based teaching contents of Korean volitive expressions that are used frequently in spoken Korean. The present Korean grammar education focuses more on communicative functions rather than the genuine meaning of grammars in approach to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Therefore, learners use the grammar without concentrating on the meaning of it. However, advanced learner's need is centered in choosing appropriate grammar over accuracy. Meaning-centered education enriches the grammatical knowledge of learners because it relates the individual grammar with their meanings. Hence, it has an advantage to enable learners to select the appropriate grammars according to their intentions. Furthermore, this study aims to accomplish the learner-centered teaching by designing the teaching content with consideration to learners' interpreta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systematized the meaning of 8 grammar items in the volitive category, including literature analysis in chapter Ⅱ. Mechanism of choosing grammar is a cognitive linguistic concept in which the speaker's intention influences their choice of grammar. This study regarded the specific meanings that the volitive expressions have as the features for choosing grammar, since the discussion was based on modality.
In order to explore the learners' perception, within the system for choosing the volitive expressions established in chapter Ⅱ, an instrumental case study was implemented as a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6 advanced Korean learners whose mother tongues vary 3 languages(Chinese, English, and Kazakh) and who have learned Korean in different settings served as participants for this instrumental case study. The data collected from the individual interviews was interpreted comparing participants with one another and the system of Korean volitive expres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some pedagogical implications as follow. First, learners are unaware of the spoken forms of the grammar items that they learned in advance such as 'V-kiroheyo', 'V-eusilgeyo', 'V-a/eoyaji', 'V-euryeogo'. The lack and the instability of the knowledge lead the participants not to use the expressions. Second, it was limited for the learners to use the volitive expressions due to their lack of knowledge on the grammatical features in the volitive category. Third, the learners' cognitive way of choosing grammar could be utilized pedagogically since the learners employed the grammatical features in various ways to understand the abstract meaning of the volitive expressions. For instance, they understand the meaning of volition through wish and deontic expressions, and also subdivide volition into internal and external volition according to the origin of making decision.
Teaching Korean volitive expressions needs to depend on the mechanism of choosing grammar, since it enables learners to relate the knowledge of 8 individual types of grammars to each other in a category. Systematizing the volitive expressions promotes the ability of choosing grammar for speaker's intention. Hence, in chapter Ⅳ, the teaching content of volitive expressions was designed based on the implications discussed above. The teaching content was elaborated in order to avoid damaging the scholarly knowledge of chapter Ⅱ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to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present study has the pedagog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utilizing the learners' perception shown in chapter Ⅲ when designating teaching content.
-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구어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한국어 의지 표현의 의미 중심 교육 내용을 구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기존의 한국어 문법 교육은 문법의 고유 의미가 아닌 의사소통 기능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 의사소통 중심 교육은 문법의 의미를 강조하기보다는 다양한 의사소통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학습자는 의미에 집중하지 않고 문법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고급 학습자로 갈수록 문법의 정오를 넘어서 가장 적절한 문법을 선택할 수 있는 문법 선택 능력이 요구된다. 의미 중심 교육은 개별 문법 항목을 의미로 연결시켜 학습자의 문법 지식을 풍부하게 하므로 학습자가 발화 의도에 따라서 적절한 문법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고는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고려하여 교육 내용을 마련함으로써 본질적인 학습자 중심 교육을 실현하고자 하였다.
의지 표현의 의미 중심 교육 내용을 구안하기 위해 Ⅱ장에서 의지 범주에 해당하는 8가지류의 문법 항목들의 의미를 분석하여 의지 표현의 체계를 마련하였다. 문법 선택 기제란 특정 문법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화자의 발화 의도가 선택의 기제로서 작동한다는 인지언어학적 개념이다. 본고는 명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양태적 의미를 중심으로 분석하였기 때문에 의지 표현이 내포하는 세부 의미들을 문법 선택 기제로 상정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확립한 의지 표현의 문법 선택 기제 체계를 기반으로 고급 학습자의 의지 표현 인식 양상을 탐구하기 위해 도구적 사례 연구를 실행하였다. 도구적 사례 연구에서는 3가지 언어(중국어, 영어, 카자흐어)를 모어로 하고 학습 배경이 상이한 고급 학습자 6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본고는 학습자들과의 인터뷰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자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 한국어 의지 표현 체계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구적 사례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교육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들은 이미 학습한 의지 표현의 구어체 활용형인 V-기로 해요, V-(으)실게요, V-아/어야지, V-(으)려고에 대한 지식이 부재하거나 불안정한 양상을 보여 사용을 지양하는 경향이 있다. 둘째, 학습자들은 의지 범주 내의 다양한 문법 선택 기제를 일부만 인식하고 있어 의지 표현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셋째, 학습자는 추상적인 의지 표현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 다양한 문법 선택 기제를 활용하는데,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가령, 학습자들은 자발성의 의미를 획득하기 위해 인접한 의미 범주인 희망 및 의무 표현을 활용하거나, 의지의 근원을 기준으로 자발성을 내부 자발성과 외부 자발성으로 세분화하였다.
문법 선택 기제 중심의 의지 표현 교육은 학습자가 8가지류의 개별 문법 지식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의지 범주로 체계화하도록 돕는다. 의지 표현의 체계화는 화자 의도에 따른 문법 선택 능력을 촉진시킨다. 따라서 Ⅳ장에서는 이상의 교육적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법 선택 기제 중심의 의지 표현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Ⅱ장에서 다룬 의지 표현의 세부 의미에 대한 학문적 지식을 교수학적 내용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으로 전환할 때, 학문적 지식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교육 내용을 정교화하였다. 본 연구는 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Ⅲ장에서 도출한 학습자의 의지 표현 인식 양상을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교육학적 의의가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선행 연구 검토 3
2.1. 국어학에서 의지 표현 연구 3
2.2. 한국어교육학에서 의지 표현 연구 7
2.3. 한국어 문법서 및 교재 분석 12
3.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16

Ⅱ. 의지 표현 교육 내용의 이론적 기반 19
1. 양태의 개념 및 범주 19
1.1. 양태의 개념 및 하위분류 19
1.2. 행위 양태로서의 의지의 개념 및 특성 21
2. 의지 표현의 특성 24
2.1. 개별 의지 표현의 특성 26
2.1.1. -겠-류 27
2.1.2. -(으)ㄹ 것이-류 30
2.1.3. -(으)ㄹ게류 32
2.1.4. -(으)ㄹ래류 34
2.1.5. -(으)려고 하-류 36
2.1.6. -아/어야지류 39
2.1.7. -기로 하-류 44
2.1.8. -고자 하-류 46
2.2. 의지 표현에 관여하는 선택 기제 48
2.2.1. 문법적 의미에 따른 분류 52
2.2.1.1. 정도성(Degree of intention) 52
2.2.1.2. 현장성(Resolution time) 55
2.2.1.3. 즉각성(Immediacy) 59
2.2.1.4. 자발성(Volition) 61
2.2.1.5. 개연성(Probability) 64
2.2.2. 화용적 의미에 따른 분류 67
2.2.2.1. 공손성(Politeness) 68
2.2.2.2. 격식성(Formality) 74
2.2.2.3. 문어성(Literary style) 77

Ⅲ. 고급 학습자의 의지 표현 인식 양상 81
1. 연구 대상 및 연구 방법 81
1.1. 연구 대상 선정 및 정보 81
1.2. 연구 방법 및 내용 84
2. 학습자별 의지 표현 인식 양상 89
2.1. 연구 참여자 A 89
2.2. 연구 참여자 B 105
2.3. 연구 참여자 C 122
2.4. 연구 참여자 D 136
2.5. 연구 참여자 E 148
2.6. 연구 참여자 F 166
3. 고급 학습자의 의지 표현 선택 기제 인식 양상 182
3.1. 문법적 의미 인식 양상 183
3.1.1. 정도성 인식 양상 183
3.1.2. 현장성 인식 양상 185
3.1.3. 즉각성 인식 양상 186
3.1.4. 자발성 인식 양상 188
3.1.5. 개연성 인식 양상 192
3.1.6. 중요성(Importance) 인식 양상 194
3.2. 화용적 의미 인식 양상 196
3.2.1. 공손성 인식 양상 196
3.2.2. 격식성 인식 양상 203
3.2.3. 문어성 인식 양상 204

Ⅳ. 의지 표현의 교육 내용 설계 206
1. 의지 표현 교육의 목표 206
2. 의지 표현 교육 내용의 체계화 208
2.1. 교육 내용 구성의 원리 208
2.1.1. 의지 표현 문법 항목 위계화의 원리 208
2.1.2. 의지 표현 교육 내용 선정의 원리 212
2.2. 의지 표현 교육 내용의 구성틀 216
2.2.1. 교수학적 내용 지식 구성 216
2.2.2. 문법 선택 기제 중심의 교육 내용 구성 220
3. 문법 선택 기제 중심의 의지 표현 교육 내용의 실제 224
3.1. -겠-류의 교육 내용 225
3.2. -(으)ㄹ 것이-류의 교육 내용 228
3.3. -(으)려고 하-류의 교육 내용 230
3.4. -(으)ㄹ게류의 교육 내용 234
3.5. -(으)ㄹ래류의 교육 내용 239
3.6. -기로 하-류의 교육 내용 243
3.7. -고자 하-류의 교육 내용 246
3.8. -아/어야지류의 교육 내용 249

Ⅴ. 결론 256

참고문헌 261
부록 273
Abstract 28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10.7-
dc.title한국어 의지 표현 교육 내용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eaching Contents of Korean Volitive Expressions: Focusing on Mechanism of Choosing Grammar-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Park, Sunyoung-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title.subtitle문법 선택 기제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6077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6077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