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교육 연구 : A Study of Reflective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조선족 학습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JIN MEISHAN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찰적 이해조선족 학습자타자 이해자기 이해시 교육reflective understandingethnic Korean learnerseducation of understanding poetryunderstanding the otherself-understandingexperienceempathymeta-refle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0. 8. 윤여탁.
Abstract
본 연구는 조선족 학습자가 타자를 이해하고 자기의 내면에 대해 적극적으로 탐구함으로써 내적 변화와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시 교육을 구안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시를 읽는다는 것은 이질적인 타자와 마주하는 일이며 그와의 관계 속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일이다. 학습자는 타자와의 상호소통 속에서 자신의 경험을 구체화할 수 있고, 타자와 자신을 비교 및 평가하며 새로운 자기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가 대상을 어떻게 경험하고 인식하느냐에 따라 대상의 의미가 달라질 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삶의 가치와 방향 또한 달라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 이해 과정에서 대상을 파악하고, 그 속의 참된 의미를 깨달음으로써 자신을 이해하고 내면의 성장을 도모하는 학습자의 성찰적 이해의 개념에 입각하여,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교육을 설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학습자와 더불어 소통할 구체적 매개체로서 자아성찰 시를 선정하였다. 자아성찰 시는 시인 내면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으로 시인의 삶, 그리고 삶에 대한 성찰적 태도를 잘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자아성찰 시 텍스트 속의 성찰과 시 텍스트를 통한 학습자의 성찰이 상동적이라는 점은 학습자들의 성찰적 이해를 이끌어 내는데 효과적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자아성찰 시에 대한 조선족 학습자들의 성찰적 이해 양상을 범주화하여,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원리를 이해 대상으로서의 타자 인식, 참여(engagement)를 통한 다중적 경험의 재구성, 소통을 통한 자기 조회로 제시하였다.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양상은 조선족 학습자의 시 감상 자료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범주화하였다. 우선 이해 대상으로서의 타자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시 텍스트의 내적 정보나 자신의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타자를 인식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음으로 교섭을 통하여 자신의 다중적 경험을 재의미화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역 안에서 타자와의 공통분모가 될 수 있는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으며, 시 텍스트의 문제의식이나 사회⋅문화적 요소에 의해 자신의 다중적 경험을 재의미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소통을 통하여 메타적으로 자기를 성찰하는 과정에서는 타자와의 비교를 통해 자기 객관화를 하거나, 텍스트 속 성찰이 전이되어 자기 조회를 통해 정체성 재구성으로 나아가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조선족 학습자들의 양상을 토대로,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과정에서 나타난 저해 요인 및 촉진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성찰적 이해의 저해 요인에는 사고의 고착화, 경험에의 매몰, 관습화된 성찰이 있으며, 촉진 요인에는 동료 학습자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 조회가 있다.
이같이 조선족 학습자의 한국 현대시 이해 양상 분석에서 확인된 가능성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 현대시의 성찰적 이해 교육의 목표, 내용,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주체의 지향에 의한 타자 인식, 다중적 경험의 조회를 통한 공감적 이해, 자아성찰을 통한 정체성 형성을 제안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다중적 경험 맥락의 활성화를 위한 발문 제공, 소통의 구체화를 위한 자전적 글쓰기, 객관적 가치 판단을 위한 토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조선족 학습자의 흥미 유발 및 창의적 사고 증진 등의 정의적 측면을 고려한 시 교육을 통해 조선족 학습자가 능동적인 감상 주체로서 성장하고 다양한 관점을 경험하여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조선족 학습자의 자기 이해 능력을 신장시키는 시 교육을 구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educate ethnic Korean learners to facilitate inner change and development by understanding the other and exploring the inner side of themselves.
Reading poetry is to face a different kind of the other, and to discover oneself in a relationship with the other. Learners can shape their own experience in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other, and facilitate new self-understanding by comparing and evaluating themselves with others. At this moment, not only the meaning of the object will be different depending on how the learners experience and recognize the object, but also the value and direction of the learners life will be differ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design reflective understanding education in Korean modern poetry based on the concep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learners who grasp the object in the course of poetry comprehension, realize the true meaning of it, understand themselves, and facilitate inner growth.
In this study, Self-reflection poetry is selected as a specific medium to communicate with learners. Self-reflection poetry is a work representing the inner story of a poet, which well embodies the poet's life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life. In particular, the fact that reflections in the "self-reflection poetry" text and learners reflections through the poetry text are homology. is effective at drawing the learners reflective understanding.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categorized aspect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ethnic Korean learners about self-reflection poetry, and suggested principles of the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as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reorganization of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engagement and self-identification through communication.
The aspect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categorized as follows through the analysis of ethnic Korean learners poetry report. First of all, in the course of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n object of comprehension, learners used the inner information of poetry text or their own background knowledge to recognize the other. Next, in the course of redefinition multiple experiences through negotiation, learners actively sought to explore factors within their experience range that could be common denominators with others, and showed themselves redefinding their multiple experiences by awareness of a problem or sociocultural factors of poetry text. Finally, in meta self-reflection through communication, it was possible to identify aspects as learners objectify themselves by comparing with other, or reflection in poetry text was transferred to learners and reorganize their identity by self-referral. Based on these aspects of ethnic Korean learners, deterrent factors and facilitating factors revealed in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was analyzed. The deterrent factors of reflective understanding are the fixation of thought, limitation of experience, and conventionalized reflection. Then, the facilitating factor is self-referral through interaction with fellow learners.
Based on the possibilities and implications identified in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reflective understanding of Korean modern poetry by ethnic Korean learners, the goals, contents and methods of reflective understanding education of Korean modern poetry were devised. As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recognition of the other as a subject, empathic understanding through reference of multiple experiences, and identity formation through self-reflection were proposed. The teaching methods to achieve these education goals were to provide question for the activation of multiple experience contexts, autobiographical writing for the embodiment of communication, and discussion for objective value judg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which it sought to facilitate the growth of learners as active reading subjects and to expand the learners vision toward the world by experiencing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the poetry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justice such as arousing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triggering creative thinking, and so on. Furthermore, it has a significance of devising poetry education to enhance self-understanding ability of ethnic Korean learn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993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33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