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연구 : A Study of Plum Blossom Studio by Jo Huiryo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유진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조희룡(趙熙龍)조선 말기 회화중인층(中人層) 화가자화상(自畵像)산수인물화(山水人物畵)Plum Blossom StudioJo HuiryongLate Joseon PaintingJungin (Middle People) PaintersSelf-ImageLandscape with Figure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 2020. 8. 장진성.
Abstract
본 연구는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조희룡(趙熙龍, 1789-1866) 필(筆) 〈매화서옥도(梅花書屋圖)〉의 시각적 특징에 주목하여 그림의 기능과 제작 시기에 대한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매화서옥도〉가 자화상적 그림(self-image)으로 기능하였음을 주장하였다. 나아가 필자는 〈매화서옥도〉가 조희룡의 임자도(荏子島) 유배(流配) 시기(1851-1853)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조희룡의 〈매화서옥도〉는 중인층(中人層) 화가들의 매화서옥도에 영향을 준 작품으로 조명되었다. 따라서 조희룡의 〈매화서옥도〉에 대한 개별적이고 심층적인 논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조희룡의 〈매화서옥도〉는 중인층 화가들의 매화서옥도와 비교하여 화풍, 제문(題文), 도상에서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따라서 〈매화서옥도〉의 시각적 변별성을 19세기의 일반적인 매화서옥도와 구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특히 매화서옥 내부에서 화병 속 매화를 바라보는 문인의 도상은 매화에 잠심(潛心)했던 조희룡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그의 저술에서 확인되는 조희룡의 매화서옥도 제작과 관련된 기록들은 그가 매화서옥도에 스스로를 의탁하였음을 알려준다. 즉 조희룡은 매화서옥도를 일종의 자화상적 그림으로 제작하였던 것이다.
〈매화서옥도〉는 조희룡의 자화상적 그림으로 일반적인 매화서옥도와 구별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닌다. 이는 크게 화풍과 제문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매화서옥도〉의 분방한 화풍은 당대(當代) 화단에 만연하였던 생략적이고 간일(簡逸)한 예찬(倪瓚, 1301-1374) 양식과 대비된다. 조희룡은 당대 화단의 감필(減筆) 중심의 화풍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바탕으로 증필(增筆)의 방식을 선택하였다. 즉 〈매화서옥도〉의 분방한 화풍은 예찬 양식이 유행했던 당대 화단에서 그가 시각적 변별성을 추구한 결과로 볼 수 있다. 한편 〈매화서옥도〉의 제문은 제화(題畵) 방식과 내용에서 일반적인 매화서옥도와 구별된다. 〈매화서옥도〉의 제문은 여백이 아닌 그림 속 절벽에 글씨가 새겨진 듯 적혀 있다. 그 내용은 자신이 20년 전 그린 매화서옥도에 대한 감회를 적은 것으로 그림 속 풍경을 수식하는 일반적인 매화서옥도의 제문과 구별된다. 이러한 〈매화서옥도〉 제문의 특징은 비슷한 시기 문인화가의 자화상적 산수인물화와 유사성을 보여준다.
기존 연구에서 조희룡의 〈매화서옥도〉는 임자도 유배기(1851-1853) 이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어왔다. 그러나 〈매화서옥도〉는 조희룡의 유배기에 그려졌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은 특히 유배기에 집중된 조희룡의 자화상 및 매화서옥도 제작 양상이다. 조희룡이 유배지에서 그린 〈황산냉운도(荒山冷雲圖)〉는 그의 자화상적 산수인물화로 〈매화서옥도〉와 유사한 구성을 보여준다. 아울러 조희룡은 유배기에 매화서옥도를 그려 서울의 벗에게 보내며 그림을 걸어두면 나를 보는 듯할 것이라고 하였다. 이 외에도 그의 유배기 기록에서는 반복적으로 자화상을 그려 서울로 보낸 사실이 확인된다. 이러한 그의 태도는 유배로 인해 고립되어 있는 본인의 상황에 대한 일종의 보상 행위(compensatory act)였을 가능성이 있다. 서울을 중심으로 헌종(憲宗, 재위 1834-1849) 및 세도가(勢道家)에게 인정을 받으며 서화가로 활동했던 조희룡에게 임자도 유배는 그가 누렸던 많은 영광과 멀어지는 계기가 되었을 것이다. 그가 누린 영광은 그의 신분이 아닌 문예로 이룬 것이었다. 따라서 유배지에서의 적극적인 회화창작과 자화상 및 매화서옥도의 제작은 서화가로서 자신의 존재를 확인받기 위한 것으로 생각된다. 〈매화서옥도〉의 고립된 문인의 도상은 오히려 고립에 대한 보상 행위로서 기능하였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production and function of Plum Blossom Studio (Maehwa seook do) by Jo Huiryong (1789-1866) in the Kansong [Gansong] Art Museum, while focusing on its visual characteristics. The author argues that the painting represents a self-image of the painter that reveals his identity as a jungin (middle people; the class of technical specialists such as foreign language interpreters, doctors, mathematicians, and astronomers) man. Furthermore, the author investigates whether Jo created the painting while banished to Imja Island in Southern Jeolla province in 1851-1853. In previous studies, Plum Blossom Studio received attention as a painting influencing later jungin artists which likewise created paintings depicting a scholars studio surrounded by plum trees. Accordingly, there has been no thorough analysis of the art historical significance of Plum Blossom Studio itself. The comparison of Jo Huiryongs Plum Blossom Studio with paintings of the same subject by other jungin painters shows distinct differences in style. Plum Blossom Studio portrays a scholar looking at the vase filled with plum blossoms in a simple hut surrounded by flowering plums in the deep mountains. Jo Huiryong is said to have been renowned for his obsession for plums. His propensity for flowering plums made him even name his studio Pavilion of a Hundred Flowering Plum Poems. In this regard, the scholar in Plum Blossom Studio is, in all likelihood, Jo himself. The luxurious depiction of flowering plums and the painters inscription telling of his discovery of a plum painting that he painted twenty years earlier show the ways in which Jo had a lifelong passion for plums. For Jo, plum paintings served as a means of representing his self and identity.

It must be noted that Jos contemporaries and later painters preferred the style of the Yuan artist Ni Zan (1301-1374), characteristic of the sparing, reductive, and loose brushwork, when they painted plum blossom studio pictures. On the contrary, Jo employed vigorous, luxurious, vibrant, and complex brushwork called jeungpil (increased, unsparing, and abundant use of ink and color) in depicting flowering plums. Plum Blossom Studio is an example highlighting how he used jeungpil brushwork in portraying the dynamic features of flowering plums moving freely in space. As noted above, in Plum Blossom Studio, Jos inscription is not written in an unpainted area. But it is instead written on a rock surface on the right of the composition. As a result, the words in the inscription appear to be chiseled into the rock surface. The inscription is filled with the painters personal memories and feelings. Both the composition and the inscription combine to make Plum Blossom Studio a truly remarkable painting showing Jo Huiryong as a man of letters distinguishing himself from his fellow jungin painters and later professional painters.

Until now, previous studies dated Plum Blossom Studio a period before Jo Huiryongs banishment to Imja island in 1851-1853. But it is highly possible that Plum Blossom Studio was created while he was in exile on Imja Island. During the period, Jo produced a number of self-portraits and plum blossom studio painting. Among the paintings, Cold Clouds in the Desolate Mountains (Hwangsan naengun do) bears similarities in composition to Plum Blossom Studio. Jo Huiryong sent another painting of a plum blossom studio to a friend of his in Hanyang (present-day Seoul), saying that if you hang this painting and look at it, it will be like looking at me. He continued to paint self-portraits and sent them to his friends living in the capital city of Hanyang from Imja Island. What Jo did on Imja Island seemed to be a compensatory act for being exiled and having to live in seclusion. Due to the unexpected banishment, He lost his honor and reputation as a painter and calligrapher that he had acquired in Hanyang where he was recognized by King Heonjong (r. 1834-1849) and powerful families. His reputation did not come from his social rank. But he achieved it with his scholarly and artistic accomplishments. Therefore, Jo Huiryongs enthusiastic creation of paintings during his exile can be understood as an attempt to publicize his existence as a distinguished painter and calligrapher. The solitary man in Plum Blossom Studio seems to be all about his life in seclusion on Imja Islan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052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30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