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요네자와 아유미-
dc.date.accessioned2020-12-28T11:55:42Z-
dc.date.available2020-12-28T11:55:42Z-
dc.date.issued2012-
dc.identifier.other00000000523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7145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5239ko_KR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외래어가 영어에서 유입된 것이 많아 서로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그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차이로 인해 일본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외래어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본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여, 한 · 일 외래어의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특성을 비교하고, 이들의 실제 인식 양상을 조사하여 그 특징과 원인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우선 선행 연구를 토대로 한 · 일 외래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을 위한 외래어의 개념을 국어로 굳어진 낱말뿐만 아니라 동화 과정에 있는 외래 어휘들과 한제외래어를 포함한 것으로 설정하였다. 설정한 외래어 개념을 바탕으로,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측면에서 한 · 일 외래어의 특성을 비교하고, 일본인 학습자가 한국어 외래어를 학습할 때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이 장에서는 또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사용되는 한국어 외래어를 파악하기 위해 주요 한국어 교육 기관의 교재 31권을 대상으로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는 소수의 외래어 어휘를 제시하고 있을 뿐, 학습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교육 내용은 제공하지 않고 있었다. 외래어도 한국어 어휘의 일부이며, 한국어의 어휘 체계를 지니고 있다. 단일 외래어뿐만 아니라 복합 형태의 외래어도 존재하며 형태별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외래어 교육에서도 이러한 어종별 접근을 함으로써 학습자에게 단순한 암기식 지식이 아닌, 그 지식을 가지고 어휘를 확장할 수 있는 원리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분석을 통해 얻은 외래어 목록을 어종별로 분류하여, 어종별 외래어의 특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추출한 외래어 중, 고유명사를 제외한 외래어를 대상으로 삼고,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특성의 차이점이 있는 외래어를 중심으로 한 · 일 외래어를 구체적으로 대조 분석하였다. 대조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일본인 학습자의 한국어 외래어에 대한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인식 양상을 파악하고자 설문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 특성에 따라 나누어 해석하였다. 일본인 학습자는 외래어로 수용되기 이전의 외국어가 아닌, 일본어 체계에 따라 수용된 일본어 외래어를 기준으로 하여 한국어 외래어를 인식하기 때문에, 일본어의 체계에 따라 한국어 외래어를 인식하고 사용하여서 음운적, 형태적, 의미적인 측면에서 오류와 모국어의 간섭이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살펴본 결과를 반영하여,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다.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에 앞서 Ⅲ장의 대조 분석 결과와 학습자의 인식 양상을 토대로, 일본인 학습자에게 필수적으로 가르쳐야 하는 한국어 외래어 목록을 선정하고, 학습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외래어 교육에서 전제해야 할 관점을 모국어와 목표어의 전이 측면에서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긍정적 전이,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 전이,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 전이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교육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의 목표를 토대로 음운, 형태, 의미적 측면에서 교육 내용을 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효과적으로 교수하기 위한 방법으로 외래어 표기법을 활용한 음운 차이 교육, 어원을 활용한 형태 차이 교육, 통합 중심 어휘 학습 방법을 활용한 의미 차이 교육을 제시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1.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2. 선행 연구 검토 4
2.1. 한국어 외래어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4
2.2. 한국어 외래어에 대한 한국어 교육적 연구 7
3. 연구 내용 10
4. 연구 방법 12

Ⅱ.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을 위한 이론적 기반 16
1. 한 · 일 외래어의 개념 및 특성 16
1.1. 한 · 일 외래어의 개념 16
1.2. 한 · 일 외래어의 특성 18
1.2.1. 음운적 특성 18
1.2.2. 형태적 특성 24
1.2.3. 의미적 특성 31
2. 외래어 목록과 어종별 특성 34
2.1. 외래어의 수록 현황 및 목록 34
2.2. 외래어의 어종별 분류 39

Ⅲ. 한 · 일 외래어 대조 분석과 학습자의 인식 양상 46
1. 한 · 일 외래어 대조 분석 46
1.1. 유사 형태, 유사 의미의 외래어 47
1.2. 상이 형태, 유사 의미의 외래어 53
1.3. 유사 형태, 상이 의미의 외래어 64
1.4. 기타 67
2. 일본인 학습자의 인식 양상 68
2.1. 음운 차이에 따른 인식 양상 69
2.2. 형태 차이에 따른 인식 양상 72
2.3. 의미 차이에 따른 인식 양상 74
2.4. 기타 인식 양상 74

Ⅳ.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의 구성 77
1.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 구성을 위한 전제 77
1.1.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목록 77
1.2. 일본인 학습자에 대한 모국어/목표어의 전이 78
1.2.1.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긍정적 전이 80
1.2.2. 모국어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 전이 82
1.2.3. 목표어의 영향에 의한 부정적 전이 85
2. 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 구성의 실제 87
2.1. 한국어 외래어 교육의 목표 87
2.2. 한국어 외래어 교육의 내용 89
2.2.1. 음운적 차이의 이해 90
2.2.2. 형태적 차이의 이해 93
2.2.3. 의미적 차이의 이해 98
2.3. 한국어 외래어 교육의 방법 99
2.3.1. 외래어 표기법을 활용한 음운 차이 교육 99
2.3.2. 어원을 활용한 형태 차이 교육 102
2.3.3. 통합 중심 어휘 학습 방법을 활용한 의미 차이 교육 105

Ⅴ. 결론 109

* 참고문헌 111
* 부록 117
* Abstract 129
-
dc.format.extentvii, 131-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한국어 교육-
dc.subject외래어 교육-
dc.subject일본인 학습자-
dc.subject한국어 외래어-
dc.subject일본어 외래어-
dc.subject부정적 전이-
dc.subject긍정적 전이-
dc.subject대조 분석-
dc.title일본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외래어 교육 내용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Yonezawa Ayumi-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2-0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12▲000000000014▲00000000523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