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xploring Interactional Competence of Intermediate-level Korean English Learners through a Paired Oral Discussion Task : 영어 토론 과제를 활용한 중위권 한국 영어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능력 탐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고상효

Advisor
소영순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Interactional competenceinteractional featuresKorean English learnersa paired oral discussion tasklanguage assessment상호작용능력상호작용특징상호작용능력평가한국 영어학습자영어 토론 과업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21. 2. 소영순.
Abstract
언어의 본질은 의사소통이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해당 언어로 의사소통(communication)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양한 국적의 사람들이 만나 의사소통할 기회가 늘어남에 따라 외국어로 성공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능력은 점점 중요하며 이에 대한 관심도 그에 따라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발 맞추어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 교육((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이 강조되어왔는데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에서 더 나아가 최근 상호작용능력(interactionalcompetence)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상호작용능력은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는 과정에서 대화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여러가지의 자원들을 함께 활용하여 대화에 참여하는 대담자와 대화를 함께 구축해가는 능력으로 상호작용 상황에서 보여지는 다양한 종류의 특징들(interactional features)이 선행 연구에서 확인되었고 이를 통해 상호작용 능력을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또한, 상호작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호작용능력을 평가 도구 마련을 위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상호작용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채점안을 개발하기 위하여 상호작용능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어떤 상호작용특징이 채점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다양한 수준의 상호작용능력을 차별화(discriminability)할 수 있는 항목이 무엇이 있는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 능력 평가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채점자에게 중시되는 상호작용특징과 상호작용수주을 구별해주는 상호작 특징에대하여알아보고자 한다. 총 30명의 중급 수준의 영어 실력을 가진 한국인 영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제시된 주제에 대하여 영어 토론을 진행하였으며 이를바탕으로 5명의 채점자는 상호작용측면과 과제수행여부 측면에서 채점을 진행하였다. 또한, 각 영상에 대한 채점과 함께 평가자의 생각을 알 수있도록 채점자의 논평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채점자에게 중요하게 여겨진 상호작용특징이 무엇이 있는지 밝히고, 그들이 제시한 특징에 대한 대화분석이 이루어졌다. 또한, spss26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수준의 상호작용능력을 구별하는 특징에 무엇이있는지 확인하였으며 대화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인 상호작용에서 보여지는 대화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주제를 발전시키는 능력과 이전 대화에 대하여 적절한반응, 그리고 적절한 비언어적 표현이 채점자의 채점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상호작용점수와 상호작용의 자표 분석을 통하여 상대에 대한 맞장구 횟수가 상호작용의 질을 판단함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였다.
비록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는 30명으로 적은 숫자이지만 상호작용능력을 평가하기위한 기반을 마련하기위하여 성공적인 상호작용과 그에 따라 나타나는 상호작용특징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영어교육현장 뿐 아니라외국어 평가 부문에서 그 함의를 찾을 수 있다.
As people of various nationalities have more chances to communicate, it is important to build the ability to interact successfully in a foreign or second language. In this trend,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interactional competence.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contributed to defining and conceptualizing interactional competence, and various types of interactional features were revealed. Furthermore, the existing research has led to enhanced articu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assessment measures and rubrics to assess interactional competence. However, it is still needed to investigate interactional competence in terms of interactional features to develop scoring rubric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alient interactional features shown in speech performance and to uncover features that distinguish varying performance levels.
For this study, 30 Korean English students at an intermediate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were recruited, and a total of 15 pairs of interlocutors were created. They were asked to conduct paired oral discussion tasks for 10 minutes with their interlocutors. Their speech performance was rated by five Korean raters on the dimension of the quality of interaction and the task completion status. Raters observed participants interaction and commented on salient features shown in their interaction. Speech performance samples were transcribed to find out differences among varying performance levels in terms of the length of interaction, engagement with interaction, and sequence organization. Eight indices were employed to examine the length of interaction and engagement with interaction. SPSS 26 was used to examine the reliability of the obtained scores and correlation between the obtained scores and the interactional features. And convers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of sequence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features related to topic development, interactive listening, and non-verbal behaviors were salient to raters. To be specific, the ways in which interlocutors expand topics, their ability to make relevant comments to previous utterances, and their eye-contact and nodding practices were all noted by raters. Among eight indices of interaction, only reactive tokens in engagement with interaction affected the interaction scores statistically. Conversation analysis revealed differences in sequence organization speech performance samples in the highest and lowest interaction score.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the education setting and testing context. First, utilizing the findings presented in this study can promote teaching practices as it can help educators choose what to prioritize in teaching and assessing. Second,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provide useful suggestions for developing rating scales to assess interactional competence through a paired oral discussion task.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516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8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