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성향주의의 형이상학 : The Metaphysics of Dispositionalis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나영인

Advisor
한성일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성향주의범주주의질적 성향주의정체성 퇴행추론 문제DispositionlismCategoricalismQulitative Dispositio nalismIdentity Regress and CirculairtyInference Problem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 2021. 2. 한성일.
Abstract
Dispositonalism is the metaphysical position that every fundamental natural properties are irreducibly dispositional. According to dispositionalism, the soure of objects dispostions(or sometime called causal powers) is nothing but objects intrinsic properties. Dispositionalists claims that dispositionality, which would be aptly characterized by directedness to wholly distinct existences, is the fundamental and genuine feature of the natural worlds. On the basis of this sort of thought, dispositionalists bestow dispositional essence to every fundamental natural properties and try to explain objects causal/nomic behaviours invoking their essentially dispositional properties. Dispositionalism contrasts sharply with Categoricalism, which is the metaphysical view that what objects might/must do in various circumstances are not wholly determined by properties but only with natural laws. According to Categoricalism, the intrinsic nature of natural properteis contains nothing interesting, so in principle, objects causal capacities or potentials are determined regardless of which properties the object instantiates.
But recently, there has been suggested that even though natural properties are not essentially dispositional, they can metaphysically necessitate the causal powers of the objects. According to so called, Qualitative Dispositionalism, there exists necessary connection between the fact that the object instantiate certain property and the fact that the object have certain dispositions, even though it is not the essence of the property to confer dispositions to its bearer. Qualitative Dispositionalists claims that properties just simply metaphysically ground the causal power of the object.
In this thesis, there are three main aims to achieve. First, I would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Categoricalism, Dispositionalism and Qualitaitve Dispositionalism. Concerning the rising interest about the dispositionalists explanation about the natural modality, and the recent appearance of Qualitative Dispositonalism, my first aim would be worth it. Second, I address the classic Identity Regress and Circularity Problem, which was raised by E.J. Lowe to Dispositionalism. I suggest that if the structures, which is appealed by dispositionalist to individuate essentially dispositinal properties, are construed as Platonic entities, then dispositionalist may be free of the regress charge. If this suggestiion is plausible, then Qualitiave Dispositionalism is not preferable to Dispositionalism at least regarding property individuation. Thrid, I claim that Dispositionalism can successfully answer the Infenrence Problem, but Qualitative Dispositionalism cannot. Especially, if the second and the third aim can be achieved successfully, then it would motivate to commit Dispositonalism rather than Qualitiatve Disposititonalism.
성향주의란, 근본적인 자연적 속성들이 비환원적으로 성향적이라고 여기는 입장이다. 이에 따르면, 대상의 성향 혹은 인과력의 근원은 다른 무엇도 아닌 바로 대상 자체가 내재적으로 예화하고 있는 자연적 속성에 해당한다. 성향주의자들은 자연적 속성들이 성향적/관계적인 본질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이를 바탕으로 대상의 인과적 · 법칙적 행동들을 대상의 내재적 속성들을 통해서, 그리고 오직 대상의 내재적 속성들만을 통해서 설명해내려고 시도한다.
성향주의의 이러한 입장은 범주주의의 입장과 극명하게 대비된다. 범주주의에 따르면, 속성의 본성에는 특별할 것이 없으며 그렇기에 원칙적으로 각 대상들의 인과적 능력은 대상이 어떤 속성을 예화하고 있는지와는 독립적으로 결정된다. 범주주의자들은 오히려 자연법칙의 역할을 보다 중요시 한다. 즉, 대상이 다양한 상황들 속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지는, 대상이 현실적으로 어떤 속성을 예화하고 있느냐보다도 대상이 어떤 자연법칙의 영향력 하에 현실적으로 놓여 있느냐 의해서 결정된다는 것이다.
만약 성향주의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대상이 어떤 유형의 인과력을 가질 수 있는지가 해당 대상이 어떤 속성을 현실적으로 예화하고 있느냐에 의해서 필연적으로 결정되는 것임을 받아들여야만 할 것이다. 그런데 최근 들어, 자연적 속성들이 성향적/관계적인 본질을 갖고 있다는 성향주의자들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더라도, 대상이 어떤 유형의 인과력을 가질 수 있는지가 필연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견해가 제시된 바 있다. 질적 성향주의라고 불리곤 하는 이 입장에 따르면, 속성의 본질이 그것을 예화한 대상에게 특정한 인과력을 부여해주는 것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대상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와 대상이 어떤 속성을 예화하고 있는지 사이에 필연적인 연결이 존재한다. 질적 성향주의자들은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대상이 가진 인과력의 형이상학적 근거가 바로 대상의 속성이다. 이는, 속성의 본질이 대상에게 특정한 인과력을 부여해주는 것이라는 성향주의의 주장과는 확연히 다른 주장이다.
속성과 대상의 성향 혹은 인과력 간의 관계에 대한 이러한 논의 구도 속에서 나는 본 논문을 통해 세 가지 목표를 성취하고자 한다. 첫째, 우선 범주주의, 성향주의 그리고 질적 성향주의 간의 차이를 개념적으로 분명히 한다. 인과 · 자연법칙 등과 같은 자연적으로 양상적인 사실들에 대한 설명과 관련해, 최근 분석 철학 내에서 성향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특히 질적 성향주의는 등장한 지 얼마 되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했을 때, 이와 같은 작업은 그 자체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둘째, 성향주의를 향해 제기됐던 비판 중 하나인 속성의 정체성 퇴행 및 순환의 문제에 대해서 성향주의자들이 취할 수 있는 한 가지 가능한 선택지를 제시할 것이다. 요지는, 성향주의자들이 각 자연적 속성들의 개별화를 위해 호소하고 있는 속성들의 전체론적 구조를 일종의 플라톤적 보편자로서 이해하자는 것이다. 만약 이러한 제안이 설득력이 있다면, 질적 성향주의자들은 정체성 퇴행 및 순환의 문제와 관련해 성향주의에 대한 이론적 우위를 주장할 수 없을 것이다. 셋째, 추론 문제의 해결과 관련해 질적 성향주의에 대한 성향주의의 이론적 우위를 주장할 것이다. 추론 문제는 규칙성 자체에 호소하지 않으면서 어째서 특정한 규칙성이 법칙적인 규칙성으로서 성립하게 되는지를 설명해내고자 하는 모든 견해들이 맞닥 뜨리게 되는 설명적 요구이다. 내가 보기에 성향주의의 주요한 이론적 장점은 이러한 추론 문제에 대한 적절한 답을 제공해줄 수 있다는 점이며, 질적 성향주의는 그럴 수 없는 견해이다. 최종적으로, 퇴행 및 순환의 문제에 대한 성향주의적 해결책이 주어지고, 추론 문제의 해결과 관련한 성향주의의 우위가 보여질 수 있다면, 질적 성향주의가 아닌 성향주의를 채택할 이론적 동기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586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2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