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앙은행의 디지털화폐 발행에 관한 연구 : Legal Aspect of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자영

Advisor
노혁준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법화법적 성질거래법상 쟁점금융정보 보호 및 활용Central Bank Digital Currencylegal tenderlegal characterprivate law issues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Description
학위논문 (박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법과대학 법학과, 2021. 2. 노혁준.
Abstract
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hereinafter CBDC) is a digital form of currency issued by the central bank. Amid the widespread popularity of retail payment method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no country has issued the retail CBDC for the general public yet. Under these circumstances, this paper examines the following issues, such as whether the central bank should issue CBDC, what kinds of legal issues may arise in CBDC transactions, and which areas of the laws need to be revised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CBDC system.
The discussion begins by dividing the definition of CBDC: (i) the currency issued by the central bank; (ii) digital form. This leads to the discussion on the following three issues.
The first issue is whether the central bank needs to issue a new currency, considering that the payment methods provided by the private sector are already active. By reviewing the process of currency conversion and analysing the legal definition of money according to theories of money, the significance of the issuing new currency by the central bank is examined. This paper notes that CBDC is a legal tender that i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private payment instruments such as Bitcoin. The significance of the introduction of the CBDC is to provide a secure and convenient payment method within the monetary legal system using advanced technologies.
The second issue is whether the current monetary legal principles developed on the premise of physical cash can be applied to CBDC which exists in intangible digital form. It is important to assess the legal characteristics of CBDC by dividing it into (i) legal tender and (ii) private rights. First of all, as CBDC meets the requirements of legal tender, it can be granted as a legal tender. Howeve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issuing CBDC based on the Bank of Korea Act. Second, since intangible data is not considered res by the current Civil Code, CBDC, also a type of intangible data, is difficult to be regarded as res. By legally evaluating (i) the technical attribute of th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hereinafter DLT) and (ii) the design of CBDC, By legally evaluating (i) the technical attribute of the DLT and (ii) the CBDC design, the right to account-based CBDC would constitute a claim on the central bank for convertibility at par with another representation of the sovereign currency, while the right to token-based CBDC would be conceptualized as a kind of quasi-real right. It is because the design of account-based CBDC is the same as the current design of bank deposit, so that the private law on bank deposit can be applied. Moreover, it is because the data of token-based CBDC can be specified, transferred, and token-based CBDC holder could exercise exclusive control by holding a private ke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grant quasi-real right by enacting laws, acknowledging the civilian principle of a fixed list of real rights. In addition, regardless of any types of CBDC, legislation on the attribution and transfer of CBDC rights, the legal effect of CBDC transactions is necessary to ensure the legal clarity, since the CBDC does not have tangibility and therefore does not attribute or transfer rights in the same way as physical cash.
The last issue is that all CBDC transactions are serially recorded in a distributed ledger that is difficult to delete or modify. This may cause a conflict between the protection and utilization of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The CBDC distributed ledger management entities may acquire a wide range of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generated while issuing and distributing CBDC. The higher the CBDC use rate, the greater the possibility of a monopolistic or oligopolistic structure of data will occur on CBDC transactions. This leads to the issue of how to design CBDC regarding the scope of financial transaction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CBDC system. The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quired during the issuing process needs to be stored separately from distributed ledger to minimize the recording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distributed ledger. Otherwise,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pseudonymity of the distributed ledger. At the same time, the system should be designed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other various policy objectives, such as anti-money laundering and the public interest in accessing anonymized big data.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이하 CBDC)는 중앙은행이 전자적 형태로 발행 및 유통하는 법정화폐이다. 현재 상용화된 CBDC를 발행한 국가는 없고, 민간이 제공하는 다양한 지급수단의 활용도는 높은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논문은 과연 중앙은행이 CBDC를 발행해야 하는가, 발행한다면 주로 상사거래상 발생 가능한 쟁점은 무엇이 있는가, CBDC 제도 도입을 위하여 입법적 정비가 필요한 영역은 어디인가에 대하여 살핀다.
논의는 중앙은행 발행 법정화폐 및 전자적 형태라는 CBDC 개념 분설에서 출발한다. 이를 통해 도출한 세 가지 문제의식과 이에 대한 검토 요지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문제의식은 이미 민간이 제공하는 지급수단이 활성화된 시점에 중앙은행이 새로이 화폐를 발행할 필요가 있는지이다. 화폐의 변천 과정에 대한 법적 고찰 및 화폐이론에 따른 화폐의 개념 검토를 통하여, 중앙은행에 의한 새로운 형태의 법화 발행의 의의를 살핀다. 이 논문은 CBDC가 법정화폐라는 점에서 비트코인 등 민간 지급수단과 근본적 차이가 있다는 점에 주목한다. 진보된 기술을 활용하여 통화법제 내에서 안정적 지급수단을 제공하는 데 CBDC 제도 도입의 의의가 있다.
두 번째 문제의식은 실물이 없는 CBDC에 대해 실물화폐를 전제로 발달한 금전에 관한 기존 법리가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을지어다. 여기서 CBDC의 법적 성질을 살펴볼 필요가 생기고, (i) 법화의 법적 성질, (ii) CBDC에 대한 사법상 권리의 성질로 나누어 검토한다. 우선 CBDC는 법화의 요건을 충족할 수 있으므로 법화의 지위를 부여할 수 있다. 다만, 한국은행법 해석상 CBDC 발행 근거를 신설할 필요는 있다. 다음으로 무체물인 데이터는 민법상 물건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데이터의 일종인 CBDC 역시 물건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러나 (i) 블록체인의 기술적 속성과 (ii) CBDC 구현방식을 법적으로 평가하면, 계좌형 CBDC 보유자는 채권적 권리를, 토큰형 CBDC 보유자는 CBDC에 대하여 물권에 유사한 권리를 가진다고 판단된다. 계좌형 CBDC는 그 구현방식이 기존의 예금계좌 개설 및 계좌이체 방식과 동일하여 예금 법리가 적용되기 때문이고, 토큰형 CBDC는 데이터의 특정 및 이전이 가능하고 CBDC 이전을 통제하는 개인키를 보유함으로써 CBDC에 대한 배타적 지배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토큰형 CBDC의 경우, 물권법정주의 원칙에 따를 때 법률의 제정을 통하여 준물권적 성질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어느 유형에 따르든지 간에, CBDC는 실물이 존재하지 아니하여 실물화폐와 동일한 방식으로 권리가 귀속되거나 이전하지 않으므로, 입법으로 CBDC 권리 귀속·이전 시점, 거래의 법적 효과 등에 관한 규정을 두어 법적 명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마지막 문제의식은 CBDC에 대한 모든 거래 내역이 삭제나 변경이 어려운 분산원장에 연쇄적으로 기록되어, 금융거래정보의 보호와 활용 사이에 갈등 관계가 생긴다는 점이다. CBDC 분산원장 관리 주체는 CBDC 발행·유통 시 개인정보를 포함한 광범위한 금융거래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CBDC 사용률이 높아질수록, 일반 국민의 거래에 관한 데이터 독·과점화 구조의 발생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CBDC 분산원장에 담는 금융거래정보의 범위를 어디까지로 설정하고,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의 논의로 이어진다. 발행 과정에서 취득하는 개인의 실명 정보는 별도로 분리 보관하여 분산원장에 기재되는 개인정보를 필요 최소한도로 하거나, 분산원장기술의 가명성을 활용하는 구현방식에 대해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자금세탁방지, 가명·익명처리한 빅데이터의 공익적 활용 등 다양한 정책 목적을 고려하여, 개인정보 보호와의 균형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설계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55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481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