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 교육 연구 : A Study on Self-reflec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through Self-portrait Poetry Writ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안혜령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자아성찰자화상 시 쓰기시 창작 교육자기형상화정서화내면화adolescentsself-reflectionself-portrait poetry writingpoetry creation educationself-imagelanguage of emotioninternalization of reflection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1. 2. 윤여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dolescents' self-reflection education through self-portrait poetry writing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poetry creation activiti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creative and active self-identity.
Adolescent imagination and other cognitive abilities are suitable for self-reflection activities in that they achieve more abstract and creative development. However, the imagination of adolescence has extreme self-centeredness, and there is also the risk of being affected by an unstable emotional state. Self-portrait poetry writing is a useful method for self-reflec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that it functions as a result and process of introspection that achieves an integrated self-awareness through the subject's inner inquiry and seeks existential meaning by healing inner wounds. It consists of self-reflection through the inner inquiry of 'I', the interpretation of the other, and the integr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I' and the other.
The principle of self-reflection through self-portrait poem writing is self-objectification through image imagination, emotionalization through thought of emotion, and internalization through commentary and retrospection. This means that when poetic imagination is added to the individual's self-reflection, it becomes easier to distance himself from the 'I' and the other, and by nurturing insight into the world, the self-centeredness of adolescence can be overcome. It comes from being able to creatively sublimate by thinking about the emotions of Thus, educational significance of overcoming self-centeredness, stabilization of unstable emotions, and formation of subjective and active self-identity can be obtained.
This paper designed and implemented a self-portrait poetry writing class based on the principles devised earlier, and looked at how adolescents' self-reflection through activities can be achieved. First, self-reflection through self-shaping shows the aspect of the discovery of'I' through image formation, deepening understanding of 'I' through observation of shape, and integration of 'I' and the other's understanding through inspection of shape. Second, self-reflection through the verbalization of emotions shows a pattern of liberating emotions through repetition of expressions, comforting images that replace 'me', and resolving internal conflicts through narrative assignments. Third, the repetition of self-examination through re-examination and reorganization of self was revealed as re-examination of self through commentary on self-composition, and reconstruction of self through regression when self-written. Fourth, the delay patterns and causes of self-reflection through self-portrait poems were the failure of shaping due to hasty self-definition, negative self-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xpression of helpless emotions, and the dispersion of the subject according to the differentiated inner expression.
Therefore, the goal of self-portrait poetry creation education for adolescents' self-reflection is: First, learners can achieve objective and integrated self-understanding through self-portrait poetry writing, second, learners can achieve emotional stability through self-portrait poetry writing, and third learner Is able to relieve existential anxiety by seeking the meaning of existence with a more sincere attitude to oneself than anyone else through writing a self-portrait poetry.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use self-understanding through form as a medium, constructing emotion as an existential experience, and self-reconstruction through reflective confession as the stem of educational content. In addition, such education can be achieved by promoting subjective self-understanding, inducing creative emotional expression, and reflective rewriting through meta-self-refl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materialize the actual learner's self-portrait poetry text and all texts before, during, and after poetry writing as analysis data, and to identify and materialize the actual poetry creation process and the flow of self-reflection thinking through it. It has the significance of devising the possibility of literary creation education that helps creative language skills.
본 연구는 시 창작 활동이 창의적․능동적인 자아정체성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정에 따라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 교육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청소년기 상상력을 비롯한 인지적 능력은 보다 추상적․창조적 발달을 이룬다는 점에서 자아성찰 활동에 적합성을 지닌다. 그러나 청소년기의 상상은 극단적인 자기중심성을 띠고, 불안정한 감정 상태의 영향을 받는다는 위험성도 지니고 있다. 자화상 시 쓰기는 주체의 내면 탐구를 통해 통합적 자기 인식을 이루고, 내면적 상처를 치유함으로써 실존적 의미를 구하는 성찰의 결과이자 과정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청소년을 위한 자아성찰 교육에 유용한 방안이 된다. 이는 나의 내면 탐구, 타자의 해석, 그리고 나와 타자의 이해 통합을 통한 자아성찰로 이루어진다.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이 이루어지는 원리는 이미지 상상을 통한 자기객관화, 감정의 사유를 통한 정서화, 해설 및 퇴고를 통한 내면화이다. 이는 개인의 자아성찰에 시적 상상력이 더해질 경우 나와 타자로부터 거리두기가 용이해지고 세계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길러주어 청소년기의 자기중심성을 극복할 수 있고, 그러한 성찰이 정서적 표현을 통해 이루어질 경우 자신의 감정을 사유하여 창조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다는 데서 비롯된다. 그리하여 자기중심성 극복, 불안정한 정서 안정화, 주체적․능동적 자아정체성 형성이라는 교육적 의의를 얻을 수 있다.
본고는 앞서 구안한 원리를 통해 자화상 시 쓰기 수업을 설계․실행하였고, 활동을 통한 청소년의 자아성찰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첫째, 자기형상화를 통한 자아성찰은 이미지 형성을 통한 나의 발견, 형상의 관찰을 통한 나의 이해 심화, 형상의 점검을 통한 나와 타자의 이해 통합 양상을 보인다. 둘째, 감정의 언어화를 통한 자아성찰은 표현의 반복을 통한 감정의 해방, 나를 대체하는 이미지를 위로하기, 서사 부여를 통한 내면적 갈등 해소 양상을 보인다. 셋째, 자아의 재점검․재구성을 통한 성찰의 반복은 자작시 해설을 통한 자아의 재점검, 자작시 퇴고를 통한 자아의 재구성 양상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한 자아성찰의 지체 양상과 원인은 성급한 자기정의에 따른 형상화의 실패, 무기력한 정서 표현에 따른 부정적 자기인식, 분화된 내면 표현에 따른 주제의 분산으로 나타났다.
그리하여 청소년의 자아성찰을 위한 자화상 시 창작 교육의 목표는 첫째 학습자는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해 객관적․통합적인 자기이해를 이룰 수 있다, 둘째 학습자는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해 정서적 안정을 이룰 수 있다, 셋째 학습자는 자화상 시 쓰기를 통해 누구보다도 자기 자신에게 진실한 태도로 존재의 의미를 구함으로써 실존적 불안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형상을 매개로 한 자기이해, 실존적 체험으로서의 정서 구축, 성찰적 고백을 통한 자아 재구성을 교육 내용의 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또 이러한 교육은 주체적 자기이해 촉진, 창의적 정서표현 유도, 메타자아성찰을 통한 반성적 고쳐쓰기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실제 학습자의 자화상 시 텍스트와 시 쓰기 전․중․후의 모든 텍스트를 분석 자료로 하여 실제 시 창작이 이루어지는 과정과 그를 통한 자아성찰적 사유의 흐름을 파악하고 구체화하고자 하였고, 청소년의 자아성찰과 창의적 언어능력을 돕는 문학 창작 교육의 가능성을 구안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69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55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