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외국인학교 청소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외국인학교 청소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 연구 :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중심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양희

Advisor
윤여탁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호문화교육외국인학교 청소년제3문화 아이들프로젝트 기반학습상호문화적 반응문화 정체성intercultural educationyoung adolescents at international schoolThird Culture Kids (TCKs)project-based learning (PBL)intercultural responsecultural identity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1. 2. 윤여탁.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ormulating balanced intercultural understanding ability and autonomous cultural identity in young adolescents at international schools. Culture lessons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PBL) are comprised to understand the learners intercultural adjustment process and response. This study was aimed to suggest applicabl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International schools consist of young adolescents Korean learners that lived abroad for more than 3 years or learn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y are commonly referred to as Third Culture Kids (TCKs). TCKs naturally learn from their experience while living abroad. Considering their backgrounds, TCKs feel confused about their culture. Also, compared to their peer groups, their lack of knowledge on Korean culture causes an experience of culture shock and a confusion with their cultural identity. Their characteristics consist of having multicultural backgrounds as well as being bilingual. This creates a multicultural environmen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others who have different cultures. This study proposes that intercultural education method utilizing project-based learning lessons is suitable to support learners to search for cultural identity from other individuals third culture. This results in forming learners that understand cultural diversity and independent attitude as intercultural practi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sixth and seventh-graders at an international school in Incheon. The study was conducted to design culture lessons based on PBL, presumed ideological culture, and practiced them gradually. After the process of analyzing the structure and aspects of learners intercultural responses, the intercultural responses of learners showed as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cultural knowledge, perception adjustment from cultural difference, and formation of independent attitude in cultural community.
In the response of understanding others through cultural knowledge, learners personalized their knowledge through literature, activities that combined ideological culture, and sharing cultural experience. However, the learners experienced difficulty in understanding the cultural difference due to a lack of experience with culture and tradition. Thus, the educational methods are necessary for learners to establish cultural knowledge and understand the existence of the other cultures and the others to form the right cultural perspective.
The learners showed culture shock, but change within their own cultural perception was shown in the process of mutual exchange of cultural experience. Through this cultural perception, learners experienced an identity crisis, and also acknowledged the others culture from interaction with them by reflecting their own experience. However, the reasons, why the learners experienced culture shock or identity confusion in society, were due to the lack of Korean peoples perspective on English language and culture.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shown he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learners to adjust to Korean culture by reducing social distance.
Through the culture lessons based on PBL, the possibility in formation of learners autonomous cultural identity from a change of identity in the process of intercultural exchange were observed. However, learners failed to form independent attitude and identity formation due to the absence of cultural knowledge, passive attitude in cultural awareness adjustment, and difficulty in communication in the lingual aspect. Therefore, learners need an opportunity to actively discover and personalize the connection with their own life from authentic materials applied from cultural elements.
Based on the analysis and implications of intercultural responses above, the design of project-based learning lesson was re-adjusted in order to practice verified cultural lessons. The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of young adolescents at an international school were reflection of cultural otherness and diversity, opened adjustment of viewpoint as intercultural subject, and balanced formation of cultural identity. Corresponding to those contents indicated, the teaching methods were suggested as inquiry-based activity for sharing cultural knowledge, discussing for seeking intercultural practice plan, and self-checking about intercultural practic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young adolescents at an international school to implement cultural PBL lessons. In the process of the implementing, reflecting, and adjusting the PBL lessons, the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methods with consideration of the learners unique characteristics. It is meaningful to seek the possibility of an education that can form an autonomous cultural identity as the third culture that the learners recognize the culture and find their cultural location as intercultural practice through the process of learning, reflection, and development with the interface between real life.
본 연구는 외국인학교 청소년의 상호문화이해 능력을 함양하고 주체적인 제3문화 정체성 형성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문화 수업을 구안하고 실행하여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적응과정과 반응을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상호문화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외국인학교 청소년은 해외에서 3년 이상 살다 온 한국인 또는 다문화가정 학습자로 이들을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이라 한다. 이들은 각기 다른 나라에서 생활하면서 자연스럽게 문화를 체득하기 때문에 자신이 가지는 문화에 대한 혼란을 느끼는 현상을 보이며 한국 문화에 대한 지식이 또래 청소년에 비해 부족하다. 다문화적 배경과 이중언어 사용자라는 이들의 특성은 한국 사회와 문화적 환경이 다양한 외국인학교에서 적응하는 데 복합적인 변수로 작용한다. 또 다른 제3문화를 가진 타인과의 만남을 통해 문화에 대한 인식과 문화충격을 경험하고 이러한 다중문화 상황에서 문화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에 혼란을 겪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학습 수업이 이러한 학습자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각 학습자가 가지는 제3문화로부터 형성되는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을 탐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상호문화교육의 방안으로서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조사는 인천의 외국인학교에서 6학년과 7학년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관념문화를 상정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문화 수업의 설계 및 실행으로 진행되었다. 조사를 통해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반응의 구조와 양상을 분석한 결과 문화적 지식을 통한 타자 이해, 문화 간 차이로 인한 자기 인식 조정, 문화적 공동체에서의 주체적 태도 형성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지식을 통한 타자 이해의 반응을 살펴보면 학습자는 관념문화의 문화적 요소가 드러난 작품, 활동 내용을 통해 지식을 자기화하고 문화 경험을 공유하면서 타자를 인식하는 양상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해외에서 생활하면서 그 나라와 문화에 대한 경험이 부재하여 문화 차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반응을 보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학습자가 문화적 지식을 확립하고 타문화와 타인의 존재를 인정하여 문화적 관점을 올바르게 형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끄는 교수-학습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학습자는 문화 간 차이에 따른 문화충격을 보이기도 하였으나 다른 학습자의 문화적 경험을 상호교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문화 인식에 대한 변화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문화 인식으로 인해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으며 타자와의 교류를 통해 타자의 문화를 인정하고 자신의 경험을 성찰적으로 되돌아보는 양상도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에서 사회구성원들이 자신을 바라보는 부정적인 인식을 경험한 것과 영어 사용으로 인해 문화충격 또는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문화 수업을 통한 상호문화적 교류 과정에서 학습자 스스로가 변화하는 모습을 느끼는 현상, 즉 정체성의 변화를 통한 주체적인 문화 정체성 형성의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러나 타문화에 대한 지식의 부재, 문화 인식 조정에서의 수동적 태도, 언어적 측면에서 소통의 어려움으로 주체적 태도와 정체성 형성으로 나아가지 못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는 학습자가 문화적 요소가 반영된 실제 자료를 통해 능동적으로 자신의 삶과의 연관성을 발견하여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기회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학습자의 상호문화적 반응 양상의 분석 및 이의 시사점을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수업 설계를 재조정하여 검증 수업을 실행하였다. 외국인학교 청소년을 위한 상호문화교육의 내용으로는 문화의 타자성과 다양성의 성찰, 문화 주체로서의 개방적 시각 조정, 문화적 정체성의 균형감 형성을 제안하였다. 이에 따른 교육 방법으로는 문화적 지식 공유를 위한 탐구 활동, 상호문화 실천 방안 모색을 위한 토론하기, 상호문화 실천에 대한 자기 점검하기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외국인학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학습의 문화 수업을 실행하고 성찰하여 조정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특수성을 고려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학습자가 실생활과의 접점 속에서 배움, 성찰, 발전의 과정을 통해 상호문화적 실천으로서 문화를 인식하고 문화적 위치를 찾아가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주체적인 제3문화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의 가능성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70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574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