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 사용 및 오류 양상 연구 : A Study on Usage and Errors Patterns of Korean Unit-Bound Nouns of Chinese Korean Learners: Focus on Learners' Corpus
학습자 말뭉치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YANG FEI

Advisor
김호정
Issue Date
2021-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한국어 교육단위성 의존명사학습자 말뭉치말뭉치 분석오류 분석Chinese Korean LearnersKorean Language EducationKorean Unit-Bound NounsLearner's CorpusCorpus AnalysisError Analysis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 서울대학교 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1. 2. 김호정.
Abstract
Expressions of the number of things exist in all languages. In Korean, there are various ways to express numbers and the use of numeral phrase consisting of unit-bound nouns accounts for a significant portion. The study of unit-bound nouns, which has been carried out so far, mainly focuses on the arrangement of definitions and classifications, and the contrast with unit-bound nouns in other languages. The learner's actual use and error patterns were treated poorly compared to their importance. In response, this study aims to use the Korean Language Institute's Korean Learners' Corpus to identify the actual language usage patterns of learners in the corpus and to find out how Chinese learners acquire unitary dependent nouns or what difficulties they are facing at.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tents has been included.
First, in the data collection stage of the study, a total of 68 unit-bound nouns were selected as the study list and the corpus were reconstructed to fit the study list.
Analysis begins with the pattern of the use of unit-bound nouns shown in the learners' corpus, with the following analysis results. First, given the degree of proficiency, the frequency of unit-bound nouns used by first-class learners was the highest. Although the lowest frequency of use was shown in Level 6 and above, it uses as many as 40 unit-bound nouns and shows a high level of diversity. Second, the use of unit-bound nouns was higher in Sino-unit-bound nouns than native or foreign unit-bound nouns. Third, given the frequency of use by unit-bound nouns, nyeon' is the most frequently used unit-bound noun by used for 1663 times. followed by il'(702 times) andwol(702 times) all of which represent time. Among unit-bound nouns indicating the number of objects,gaji(660 times),myeong(435 times),gae
(315 times), is ranking ahead. In terms of genre type, it showed high frequency of use in presentationin colloquial genre andwriting of emotion and emotionin literary genre.
The analysis of the specific usage patterns of learnersunit-bound nouns was divided into the combination patterns of unit-bound nouns and numeral (Chinese/Inherent) and the aspects of forming a quantity phrase using unit-bound nouns. The most frequently used structure by Chinese learners was the structure ofnumeral+unit-bound nouns, accounting for 81% of the concerns of the total number of corpus. It was concluded that the use of thenumeral+unit-bound nouns+ui+ nounstructure was preferred at 9%, over thenoun+numeral+ unit-bound nouns(6%) structure.
In the error analysis stage, a total of 428 errors were derived and statistically described, And the specific aspects we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three types: semantic, form, and syntactic. First of all, there was a low error rate of 3.31 percent for first-class learners who used unit-dependent nouns the most in terms of error rates by proficiency. On the other hand, the error rate for class 5 learners with the lowest frequency of use was 8.15%. It was concluded that the error rate of each proficiency degree showed an upward trend from grade 1 to grade 3, which briefly decreased to grade 4, and then reached level 5 and showed the highest error rate. In terms of specific aspects of errors, first of all, significant errors occurred a lot in the beginner level, most of which were overuse ofkaeand replacement errors between unitary dependent nouns with similar form or meaning. Formal errors are concentrated on individual unit-bound nouns such asbeonjjae,myeong,kaji,bunandwoland it is believed that learners were interfered with by the phonemes in Korean and their native languages to produce errors. The syntactic error is the most frequently error by Chinese learners, which is that the learner has violated the quantitative syntactic structure due to a lack of syntactic knowledge of monotonic dependent nouns.
Solving the Chinese learner's unit-bound nouns learning problems requires finding the cause of the error. This paper analyzes the causes of errors in Chinese learners in three aspects: native language, target language, and learning process. Most of the errors in unit-bound nouns of Chinese learners were caused by the influence of their native language. A number of semantic errors have been found by confusing the semantic qualities of a Chinese-language unit-bound noun with both languages, pronunciation or spelling errors influenced by the phonological system of the native language, and syntactic errors by applying native quantile sandal order. On the other hand, there have been cases where learners fail to learn target language rules properly, causing errors by overgeneralizing them or applying them incompletely. In particular, the identification of unit-bound nouns with similar meanings and forms, and the combination relationship with numeral, are difficult for learners. Finally, the frequency of presenting textbooks of unit-bound nouns, and the uniqueness of the form of quantity dune, were also identified as the causes of the learner's error.
In the final step, we present suggestions that can be referenced in the training site based on the learner's analysis of error patterns and error causes. When teaching Chinese learners of unit-bound nouns, a native language should be used to contrast pairs of unit-bound nouns, and the salmon ability to choose nouns or investigations that can be linked to those unit-bound nouns should proceed. In addition, the word order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quantitative phrases can be made using monotonic dependent noun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use of unit-bound nouns was revealed one step further from deriving them through multiple-choice questions through actual corpus analysis. Second, we examine the type of learner error and the patterns of change by segmenting them into profrgiciency levels from 1st to 6th or higher. Third, we analyze the causes of learner errors for monotonic dependent nouns and provide the necessary basic information for the design of training content based on them.
사물의 수량을 나타내는 표현은 모든 언어에 존재한다. 한국어에는 수량을 표현하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그중에 단위성 의존명사로 구성된 수량사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단위성 의존명사 연구는 주로 정의 및 분류에 대한 논의, 다른 언어의 단위성 의존명사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학습자의 실제 사용 양상 및 오류 양상을 조사하고 오류의 원인을 밝히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립국어원에서 구축한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를 활용하여 말뭉치에 수록된 학습자의 실제 언어 사용 양상과 오류 양상을 파악하여 중국인 학습자가 단위성 의존명사를 어떻게 습득해 나가는지와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를 알아내고자 한다. 또한, 학습자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교육적 제안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에 따라 본고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되어 진행되었다.
우선 연구의 자료 수집 단계에서 총 68개의 단위성 의존명사를 연구 목록으로 선정하고 국립국어원 학습자 말뭉치 자료를 활용하여 연구 목록이 포함된 정문 말뭉치와 오류 말뭉치를 재구성하였다.
말뭉치에서 나타난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도별로 보았을 때 1급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 사용 빈도가 가장 높았다. 6급 이상의 말뭉치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는데, 그 유형은 매우 다양하여 40가지의 단위성 의존명사가 사용되고 있었다. 둘째, 고유어, 외래어보다는 한자어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 빈도가 더 높았다. 셋째, 단위성 의존명사별로 사용 빈도를 살펴본 결과, 년(年)이 가장 자주 쓰이는 단위성 의존명사로서 총 1663어절에서 사용되었다. 일(日)(702어절), 월(月)(702어절)이 그 뒤를 이었는데 이들은 모두 시간을 나타내는 도량 단위성 의존명사들이다. 사물의 수를 나타내는 단위성 의존명사 중에서는가지(660어절), 명(名)(435어절), 개(個)(315어절)의 순서로 사용 빈도가 높았다. 장르 유형으로 볼 때 구어 장르에서는발표, 문어 장르에서는정서·감정 표현의 글에서 높은 사용 빈도를 보여주었다,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의 구체적인 사용 양상 분석은 단위성 의존명사와 수관형사(한자어 수관형사/고유어 수관형사/아라비아숫자)의 결합, 단위성 의존명사를 사용해 수량사구를 구성하는 양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가 가장 자주 사용하는 구조는수관형사+단위성 의존명사의 구조이며 전체 어절 수의 81%를 차지하였다. 명사가 들어간 구조 중에 명사가 후행하는수관형사+단위성 의존명사+관형격조사(의)+명사 구조의 사용은 9%로 명사가 선행하는명사+수관형사+단위성 의존명사(6%)보다 더 선호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 오류 분석 단계에서 총 428개의 오류문을 도출하고 통계적으로 기술한 뒤 의미적, 형태적, 통사적 오류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숙달도별 오류율에 있어서는 단위성 의존명사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1급 학습자들이 3.31%의 낮은 오류율을 보였다. 반면에 사용 빈도가 가장 낮은 5급 학습자의 오류율은 8.15%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1급에서 3급까지 상승 추세가 보이며 4급에서 잠깐 줄어들었다가 5급에 이르러 가장 높은 오류율을 보였다. 오류의 구체적인 양상에 있어 우선 의미적 오류는 초급에서 많이 발생했는데개(個)의 과잉 사용과 형태나 의미가 비슷한 단위성 의존명사들끼리의 대치 오류가 대부분이었다. 형태적 오류는번째, 명(名), 가지, 분(分), 월(月) 등 개별 단위성 의존명사인 경우가 많았다. 마지막 종류인 통사적 오류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범하는 오류이다. 이는 학습자가 단위성 의존명사와 수관형사의 결합 제약을 어기거나 수량사구의 구성 요소, 어순 등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잘못된 어순으로 사용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의 단위성 의존명사 학습상의 어려움을 해결하려면 오류의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고는 중국인 학습자의 오류 원인을 모국어, 목표어, 학습 과정의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의 단위성 의존명사 오류는 모국어의 영향으로 인한 오류가 대부분이었다. 우선 학습자가 한자어 단위성 의존명사의 의미 자질을 모국어 양사와 혼동하여 의미적 오류를 범하게 된다. 또한 모국어의 음운 체계로부터 영향을 받아 평음/격음/경음에 구별에 생기는 발음 오류나 철자 오류, 모국어 수량사구 어순을 그대로 적용하여 생기는 통사적 오류가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학습자가 목표어 규칙을 제대로 학습하지 못하여 과잉 일반화하거나 불완전하게 적용시켜 오류를 일으킨 경우도 있었다. 특히월(月)/개월(個月), 시(時)/시간(時間)과 같은 유사한 단위성 의존명사의 변별, 고유어/한자어 수관형사와의 결합 관계 등이 학습자에게 난점이 된다. 마지막으로 단위성 의존명사의 교재 제시 빈도, 제시 방법, 수량사구 형식의 단일성 등도 학습자의 오류를 유발한 원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습자의 오류 양상 및 오류 원인 분석을 바탕으로 교육 현장에서 참고할 수 있는 제안점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에게 단위성 의존명사를 가르칠 때 모국어를 활용하여 단위성 의존명사 쌍을 대조하며, 해당 단위성 의존명사와 연결할 수 있는 명사나 수사를 선택할 수 있는 연어 생성 능력을 배양해야 할 것이다. 또한, 단위성 의존명사를 사용해 수량사구를 만들 수 있도록 어순에 관한 교육 내용을 구성하여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의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첫째,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을 객관식 문항을 통해 도출하는 것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실제 말뭉치 분석을 통해 밝혔다. 둘째, 학습자 오류 유형 및 변화 양상을 1급부터 6급 이상까지의 숙달도별로 세분화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단위성 의존명사에 대한 학습자 오류의 원인을 분석하고 그것을 토대로 교육 내용 설계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671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05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