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이미지의 해체와 조합을 이용한 기억의 보관과 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Storage of Memories and Methods of the Storage Using Decomposition and Combination of Images :Based on My Artworks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민

Advisor
조인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억의 보관법향수여행유아기기록왜곡언캐니키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동양화과, 2021.8. 조인호.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my works from 2018 to 2020 presentin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 Through this paper, I explore and organize the subject and context of my works and lay the foundation for following works.
Humans live together with memories. Memories are accumulation of the data that you have collected throughout your life, that defines who you are at the moment and also tells you what choices you will make in the future. In this regard, this paper examines the reason why one should store memories that fade away frequently regardless of ones will and presents the methods of storing them. In addition, I present my memories that are stored and show the methods of storage.
Memories embodied in my works a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One is the memory of traveling and the other is of childhood. By decomposing and combining images,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yis metaphorically expressed. The aim here is to recombine scattered and receding images of memory and preserve the moments.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In Chapter 1, I elaborate on how I arrived at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briefly present the structure and direction of this paper, including the purpose of my works and artistic expressions in them.
Chapter 2 examines the definition of the concept, the storage of memoriesfrom a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 Based on this definition, I redefine the concept from my point of view and review artworks throughout the history of art that can be considered as examples of memory storage. In art history, the storage of memories is represented in forms of restoration and resurrection. I examine the paintings from the Yuan Dynasty and sculptures from the Renaissance period as examples. Then I show the contents of my storage of memories. The memories I have can be divided into memories of traveling and memories of childhood, and my works are created by dismantling the images I experienced at the time into pieces and combining them again on the screen. I present my works one by one and elaborate on the meaning and the content of each work.
Chapter 3 deals with the way memory images are dismantled and reassembled. As the existing image is dismantled into pieces, the shape and size of the image are distorted an through reassembling, listing and overlapping, new figures arise on the screen. Images represented through this process are uncanny, encompassing features of both abstract art and figurative art.
Chapter 4 deals with the compositions of the artworks and materials. My paintings a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of style, which arethe centralized compositionandthe irregularly-listed composition. After the making of the artwork, I checked whether the artwork falls into one of the two groups through an eye tracking analysis. Subsequently, I explain the work materials such as pencils, paper, coloring, and finishing materials used in the making process of my works.
Finally, I conclude by organizing the works embodyinig the theme ofthe storage of memoriesand further discussing on the direciton of my artworks.
본 논문은 2018년부터 현재까지의 나의 작품세계에 대한 연구를 다루었으며기억의 보관과 방법에 대해 고민하고 그 해결방안을 모색해 나가는 과정 속에서 나타난 회화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이 주제를 토대로 작품의 제작 배경과 목적, 내용, 조형적 특성과 재료기법에 관하여 분류하고 앞으로 진행될 작업의 이론적, 재료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세상을 살아가면서나는 누구인지, 왜 지금 이 일을 하고 있는지 문득 나의 존재에 대해 자각하거나 고민에 빠질 때가 있다. 나에 대한 정의를 내리기에 앞서 과거에 어떤 삶을 살아왔고 어떠한 경험과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그 결과가 현재의 나의 모습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정체성에 대해 탐구해 볼 필요가 있다. 자신의 쌓아온 경험과 기억은 앞날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갈림길에 놓였을 때 현명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인생의 지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기억은 한 사람의 인생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무작위로 사라지고 있다. 이에 대해서 기억을 보관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나는 어떠한 기억을 보관하고 있으며 기억의 보관은 어떠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 밝혀보았다.
먼저기억의 보관에 관한 사전적 정의를 통해 그 개념을 파악하고 동양의 철학자들에 의해 기억이 어떠한 의미로 풀이되고 있는지 마음과 연관 지어 설명하였으며 우리의 삶 속에서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고 있는지 SNS에서 사진을 게시하고 보관하는 행위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였다. 또한 역사적으로 기억의 보관이 일어나고 있는 이유와 그 가치에 대하여 철학적, 미술사적 접근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구체적인 방법으로 동양과 서양의 철학자들이 내린 기억의 정의를 살펴본 뒤 그 내용을 바탕으로기억의 보관에 관한 의미를 다시 정의 내렸다. 이어서 이전 시대의 답습과 복고에 대한 열망이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구체적인 형태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미술사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그림을 사례로 가지고 와 고찰해보았다. 크게 동양과 서양으로 그 양상을 나눌 수 있으며 동양 중에서도 특히 원나라 시기의고사상을 통해 그 당시 회화기법이 답습으로 이루어졌음을 논증하였다. 이어서 서양의 르네상스 시기에서는 미의식의부활의 모습에 대해 대리석 조각을 사례로 가지고 왔으며 미의 내용적 유사함을 비교하여 답습과 복고의 흔적을 확인하였다.
이어서 나의 자아탐구를 통하여 어떤 기억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기억은 크게 여행과 유아기로 나뉜다. 각 기억들이 시각화 된 작품을 살펴보며 그림을 그리게 된 내용과 과정 그리고 기억을 보관하는 것의 가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기억의 보관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억을 형상화하는 과정을 통해 기억의 모양을 정하고 이 기억이 어떻게 보관되어야 하는지 물리적인 포장과 개념으로써의 포장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전자는 포장재를 사용하여 포장하는 방식에 대해 아이디어스케치를 제시하였고 후자는 기억 이미지를 선택, 추출, 가공, 재조합하여 새로운 기억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때 언캐니의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였다.
또한 화면을 구성하고 그 안에 대상을 배치한 결과를 중앙 집중식 구도와 불규칙한 나열 구도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이를 증명하기 위한 실험으로아이트래킹을 시도해보았다. 스마트폰의 시선추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그림을 감상한 후 시선이 그림의 어느 지점에 얼마나 오래 머물렀는지, 또 시선이 그림 안에서 어떤 순서로 이동하였는지에 대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사용한 재료와 기법의 특징을 연필, 종이, 채색기법, 마감처리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앞서 설명한 내용적 부분과 형식적 부분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재료를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 그림 제작 과정과 함께 연구하였다. 나의 작업은 동양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바니쉬와 미디엄을 통한 질감표현과 마감처리를 하여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키치적 표현 양식이 나의 작업에 어떻게 응용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 반짝이는 질감의 마감 처리와 그 기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기억의 보관과 방법이라는 주제를 통해 나를 알아가는 과정 속에서 나라는 추상적 개념이 조형언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에 대해 연구한 결과물과 다양한 시도들을 정리하고 분석하기 위한 기회로 삼았으며. 그 안에서 나라는 존재에 대한 끊임없는 모색을 통해 연구 가치를 도출하는데 의의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2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6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