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전쟁기 중국군포로송환문제에 관한 연구 : A study of the Chinese POW repatriation issue of the Korean War: Focusing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 the process of the truce negotiations
포로수용소 내부상황과 휴전협상 진행과정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탕신

Advisor
박태균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전쟁중국군북한군포로송환수용소휴전회담Korean WarPrisonersPOWRepatriationUNCCPV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1.8. 박태균.
Abstract
한국전쟁의 발발은 이미 70여 년 전의 일이지만 엄밀히 따지면 한국전쟁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한국전쟁의 휴전체제는 아직까지 평화체제로 전환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한반도 뿐만 아니라, 동북아 지역정세에도 한국전쟁의 영향은 아직까지 지속되고 있다. 한국전쟁이 처음에는 통일을 지향하는 내전의 형태로 시작되었지만 미국을 비롯한 유엔군과 중국군의 참전으로 국제전의 성격을 띄게 되었다. 한반도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은 주요참전국인 중국에게도 큰 상처를 남겼다. 20만 명에 가까운 중국군인이 한국전쟁에서 목숨을 잃었고 22,000여 명의 포로도 발생하였다. 이 22,000여 명의 포로는 전쟁의 당사자이자 불행한 시대의 목격자이다. 전선에서 구사일생을 경험한 이들은 어디로 갔을까? 22,000여 명의 중국군포로들은 거제도와 제주도에서 수용되었다가 1953년 정전협정 조인 전과 후에 차례로 송환되었지만 이상하게도 이들 중의 70%, 즉 14,000여 명의 포로들은 자신의 출신지인 중국대륙이 아닌 대만台灣으로 가게 되었다. 어떠한 요인들이 이러한 결과를 초래한 것일까?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동안 잊혀진 듯한 한국전쟁의 포로에 관련된 이야기를 서술하였고 특히 중국군포로들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한국전쟁의 일면을 고찰하였다.
따라서 우선 본 연구의 제1장과 제2장에서는 중국군의 한국전쟁 개입배경 그리고 중국군포로의 발생과정을 서술하고, 제3장과 제4장에서는 각각 중국군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한국전쟁 휴전회담의 진행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이 두 가지 요소 사이의 연관성 그리고 상호작용과정을 분석하였고, 마지막으로 제6장에서는 이상 내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수의 중국군포로들이 전쟁이 끝난 후 대만으로 가게 되었다는 역사적 사실은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동시에 진행된 한국전쟁 휴전회담의 진행과정 이 두 핵심적인 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의 산물이라고 주장한다. 우선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에 대해서는 크게 3가지 측면에서 접근하였다. 첫째, 중국군의 동원과정에서 나타난 구성상의 다양성; 둘째, 반공포로들의 존재 및 포로들 사이의 이념분쟁과 권력투쟁; 셋째 관리당국의 책임 등이다. 무엇보다 수용소내부상황에 대해 정확히 파악해야 이 문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또 한 가지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되었던 휴전회담의 진행과정에 대해서는 본 논문에서 공산군과 유엔군 양측의 포로송환정책의 수립과정, 포로들의 저항 및 양측의 의견충돌, 그리고 마지막의 합의과정과 문제점 등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결론은 포로수용소의 내부상황과 휴전협상의 진행과정이 1년반 동안의 시간에 서로가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공동적으로 중국군포로를 포함한 한국전쟁 포로처리문제를 좌우하였다는 것이다. 제5장에서는 이러한 작용과정을 시기별로 나눠서 각 시기의 특징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의 주장에 뒷받침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사건들을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중국군포로송환문제를 비롯한 한국전쟁의 포로처리과정에 대해 더 잘 이해하는 데에 기여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repatriation issue of the prisoners during the Korean War, which was the toughest one in the truce negotiations between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its Communist counterpart to reach an armistice. Although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was already over 70 years ago, but strictly and technically speaking, the Korean War is still ongoing. This is because the armistice system of the Korean War has not yet been converted into a peace system. This is probably the most difficult problem to solve between the two Koreas during these past decades and still for now. The effects of the Korean War not only existed on the Korean Peninsula but also on the region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The Korean War began as a civil war aimed at reunification of the whole peninsula at first, but it took on the character of an international war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UNC and later the Chinese forces.
In addition to the Korean Peninsula, the Korean War also left a huge scar on China, a major participant in the war. Nearly 200,000 Chinese soldiers lost their lives in the Korean War, and about 22,000 were taken prisoners. These 22,000 prisoners of war are both parties to the war and witnesses of the unfortunate times. Where did those who survived from the front lines go? About 22,000 Chinese POWs were detained in Geoje Island and later Jeju Island, and then returned to each other before and after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in 1953. But unexpectedly, 70% of them, or about 14,000 POWs, went to Taiwan, not mainland China, where they came from. What factors contributed to these results?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narrates the stories related to the POWs of the Korean War, which seem to have been forgotten, and examines one aspect of the Korean War, by especially focusing on the stories of the Chinese POWs.
Therefore, first of all, Chapters 1 and 2 of this study described the background of Chinese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Korean War and the process of occurrence of Chinese POWs, and Chapters 3 and 4 described the internal situation of Chinese POW camps and the Korean War truce negotiations respectively. In Chapter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actors and the interaction process were analyzed. Finally, in Chapter 6, the above contents were comprehensively reviewed and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historical fact that a large number of the Chinese POWs went to Taiwan after the end of the war, is considered as a product of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key factors, as mentioned in Chapter 3 and 4,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and the progress of the Korean War armistice talks. Specifically,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was examined from three perspectives. First, the compositional diversity of the Chinese military mobilization process; Second, the existence of anti-communist prisoners of war and ideological conflicts and power struggles among them; Third, the responsibility of the prisoners management authorities. Above all, it would be possible to better understand the repatriation issue of the war only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situation inside the camps.
Regarding the progress of the armistice talks, which acted as another key factor, in this pape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repatriation policy of both the Communists and UNC, the resistance of the prisoners and clashes of opinions inside the camps, and the final agreement process and problems, etc. were considered. The conclusion is that the internal situation of the POW camps and the progress of the armistice negotiations jointly influenced the handling of the POWs of the Korean War, including the Chinese POWs, as they mutually influenced each other over a period of one and a half years. Chapter 5 summarizes important events that can support the assertion of this study by dividing these interaction processes by period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eriod in detail. Through this, this study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of handling prisoners of war in the Korean War, including the issue of the repatriation of the Chinese POW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1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45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