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명사 시어의 의미 분류 중심의 고전시가 이해 교육 연구 : A pedagogical study on classifying sementic types of poetic words for comprehending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Kwan-dong-byeol-gok
<관동별곡(關東別曲)>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미지

Advisor
고정희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관동별곡시어(詩語)의미 분류유형화텍스트 이해텍스트 분석Kwan-dong-byeol-gokpoetic wordsclassification of poetic wordstext comprehensiontext analysi
Abstract
This study mainly aims to alleviate the cognitive burden of learners that they experience during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classical poetr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research was carried out analyzing the semantic types of the poetic words, which are microscopic components of the poetic tex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lassification, poetic words that are essential and fundamental to understand poetic texts were sorted out. Then, educational contents of Kwan-dong-byeol-gok were designed around these essential words, and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of each educational content were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role of the poetic words in the poetry.
The research relies on a premise that the realization of the meaning of the poetic word is closely related to the poetic context. In this paper, linguistic and stylistic discussions were referred to analyze this relationship between poetic words and poetic text. As a result, it was able to be confirmed that the poetic word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of meaning―space, thing, and abstract―and each category is re-divided into three types of meaning realization―literal, adjusted, and variant. To make it simple, there are a total of nine semantic classifications.
Then, it was discovered that each type of poetic words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pattern in which the experience of travel was embodied in the Kwan-dong-byeol-gok. In the case of poetic words of thing, it was found that they plays a central role in suggesting poetic speakers assessment of the subjective value of poetic objects. Second, poetic words of which meanings are related to "space" mainly undertake stating the process of travel experience and expressing personal values of the author. Lastly, poetic words in category of "abstract" plays a role by and large in stimulating and enlarging imaginative scope of readers. In addition, more detailed function of each category of poetic words are divided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sementic realization.
To utilize the result of preceding analyzation of poetic words in real-world pedagogical sites, in chapter Ⅳ,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importance of the poetic words, a few types of poetic words could be selected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focal places, metaphors, and advanced meaning of the text. Furthurmore, each educational content corresponds to the following educational methods: comparing the meaning of space words with non-space words, visualization of metaphorical object words, exploring literal and adjusted meanings. Through these methods, learners can effectively understand the esoteric text with little cognitive effor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pecifically devised educational measures to provide links to a series of processes ranging from understanding to appreciation of literary texts and to enrich the experience of reading literature.
이 연구는 고전시가 시어(詩語)의 의미 실현 유형을 시어가 텍스트 맥락과 관계 맺는 양상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바탕으로 핵심적인 시어를 중심으로 한 고전시가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어의 의미는 텍스트의 맥락과 상호 작용하여 실현될 뿐만 아니라 텍스트를 둘러싸고 있는 사회·문화적 차원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시어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단순히 어휘의 사전적(辭典的)인 의미를 아는 것과는 구분되며, 작품을 문학적인 텍스트로 이해하고 감상하는 데에 있어 핵심적인 요건이 된다. 즉 학습자들이 고전 시가 텍스트를 시적인 텍스트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텍스트와 시어가 상호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구성해내는 의미를 섬세하게 유형화하여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전시가 작품군 가운데서도 기행가사는 그 장르적 성격상 작품 내에 학습자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고유명사와 한자어가 많이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시어와 텍스트 맥락의 상호적 작용을 이해하고 그를 바탕으로 작품을 심도 있게 읽어 내기 어려운 장르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기행가사의 대표적인 작품인 을 대상 텍스트로 삼았다.
텍스트 맥락과 관련한 시어의 의미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서는 어학과 문체학의 이론적인 논의를 참고하였으며, 그 결과 크게 세 가지의 의미 실현의 원리를 살필 수 있었다. 시 텍스트 내에서의 시어의 의미는 문맥에 의해 다의성과 다층성을 지니며, 텍스트의 구조에 의한 전경화 원리에 의해 시어 의미의 부각과 약화가 일어나고, 시어의 어학적 자질에 따라 시어와 시적 대상과의 관계 양상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러한 시어의 의미 실현 원리에 대한 전제를 기반으로 본고에서는 에 나타난 시어를 인간이 명사류에 대해 지니는 인식적인 범주에 따라 사물 명사 시어, 공간 명사 시어, 추상 명사 시어로 분류하였으며, 각각의 범주를 시어의 의미가 문맥과 갖는 관련성에 따라 개념적 의미, 문맥적 의미, 조정적 의미의 세 가지 의미 실현 유형으로 다시 나누어 9가지의 의미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의미에 따른 시어의 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Ⅲ장에서는 시어의 유형이 의 기행 체험이 형상화되는 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각각의 유형에 따라 체험의 형상화에 기여하는 역할이 구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물 명사 시어의 경우 시적 대상에 대한 평가와 의미 부여에 핵심적인 기능을 하였고, 공간 명사 시어 는 전반적으로는 여정을 서술하고 작자의 가치관을 표현하는 역할을 하였으며, 추상 명사 시어의 경우 전반적으로 상상적 사고를 자극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각각의 명사 시어들의 세부적인 역할 또한 의미 실현 유형에 따라 구분되었다.
Ⅳ장에서는 시어 의미의 세분화와 시어가 시적 진술에서 담당하는 역할에 따라 시어의 의미 분류를 중심으로 한 의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시적 진술에서 초점화되어 부각되는 개념적 공간 명사와 사물 명사를 중심으로는 공간의 초점화를 주요 교육 내용으로 삼을 수 있었으며, 은유의 중심축을 담당하고 있는 변이적인 사물 명사를 통해서는 은유의 생성을 교육 내용으로 구상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적인 지식의 이해가 필요한 조정적 공간·사물 명사를 중심으로는 텍스트가 담고 있는 심층 의미의 이해를 교육 내용으로 세울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교육 내용은 공간 시어와 비공간 시어의 비교 활동, 변이적 사물 시어의 시각화 활동, 문자적 의미와 조정적 의미에 대한 탐구 활동이라는 교육 방법과 대응되었다. 학습자들은 이러한 구체적 교수 학습 활동들을 통해 시 텍스트를 구성하고 있는 시어의 다층적인 의미 실현 방식을 보다 섬세하게 이해하고, 작품에 나타난 기행의 체험을 추체험할 수 있으며, 비유적 시어를 통해 작품의 언어 세계를 감상할 수 있게 된다.
이 연구는 고전 시가 텍스트의 시어의 의미에 대한 분석과 그를 기반으로 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의 마련을 통해 학습자들이 텍스트의 미시적 구성 요소인 시어로부터 총체적인 작품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까지 이르는 일련의 과정 사이의 연결고리를 마련하고, 작품을 보다 풍요롭게 감상할 수 있도록 교육적인 조치를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대상 텍스트가 으로 한정되었고 실제 학습자 자료가 부재한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으므로, 추후의 연구에서 다른 텍스트에 대한 응용 예와 실제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검증 실험이 새로이 요청되는 바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49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813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