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상용치료원 보유가 일반의약품 지출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usual source of care on expenditure on OTC drug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은화

Advisor
이태진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상용치료원주치의일반의약품처방의약품Over-The-Counter drugprescription drugusual source of careregular doctor
Abstract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건강보험통계연보(2019)에 의하면 약국요양 급여 비용은 2018년 대비 7.52% 증가하였고 원외처방의 비율은 의원이 78%, 병원 8%, 종합병원 7%, 상급종합병원 3%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처방의약품 이용의 증가는 국민건강보험의 재정을 악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약품비 증가 요인 중 하나가 의사의 치료행태임을 고려할 때, 상용치료원은 처방의약품 이용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일반의약품은 처방의약품의 대체재 또는 보완재로 사용되므로 상용치료원 보유 여부는 일반의약품의 지출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외에서 상용치료원 보유가 일반의약품 사용 증가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으나 일반의약품이 의료서비스의 대체재인지 보완재 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의료시스템과 일반의약품 시장의 차이, 상용치료원 보유율 등의 차이로 한국에서는 해외의 연구와 그 결과가 상이할 수 있으나, 만일 해외의 사례와 같이 상용치료원 보유가 일반의약품 사용을 증가시킨다면 이는 처방의약품의 이용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한국에서 상용치료원 보유시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의 사용 가능성이 증가하는지, 월평균 지출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한국의료패널 2008~2017년 연간데이터(Version 1.6) 중 상용치료원 및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 월평균 지출비에 대한 설문이 있는 최신 자료인 2017년 자료로 만 20세 이상 성인 가구원에 대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수는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 이용 가능성 및 월평균 지출비이며, 독립변수는 주요변수로 상용치료원 유무 및 유형, 통제변수로 소인성 요인(성별, 연령, 결혼상태, 교육수준), 가능요인 (경제활동여부, 소득수준, 거주지역, 의료보장형태), 질병요인 (처방의약품 월평균 지출비, 만성질환유무, 주관적 건강상태)으로 구성하였다.
주요결과로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아닌 경우보다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 사용 가능성이 30.1%(p<0.001)정도 감소하였고, 상용치료원 유형별 분석결과 종합병원(52.7%)> 병원(32.04%)> 의원(24.1%) 순으로 일반의약품의 사용 가능성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상용치료원 보유가 일반의약품 사용을 감소시키며 중증 질환을 가질수록 처방의약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용치료원을 보유한 경우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의 월평균 지출비는 44.0%(p<0.05) 감소하였고, 상용치료원으로 의원을 보유한 경우에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지출비가 감소하였다.
즉, 한국에서는 상용치료원 보유시 처방의약품에 대한 의존도 및 지출비는 높아지고 3개월 이상 복용 일반의약품의 사용 및 월평균 지출비는 감소되는 것을 고려하여 향후 일차의료와 상용치료원에 대한 정책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the Health Insurance Statistical Yearbook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2019), the cost of pharmacy care benefits increased by 7.52% compared to 2018, and the ratio of outpatient prescriptions was 78% for clinics, 8% for hospitals, 7% for general hospitals, and 3% for tertiary hospitals. This continuous increase in the use of prescription drugs is expected to worsen the financial condition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nsidering that one of the factors that increases drug cost is the treatment behavior of doctors, the impact on prescription drugs by usual source of care (USC) is expected, and over-the-counter drugs can be used as substitutes or complements for prescription drugs. There are research results that USC is related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but it is not clear whether over-the-counter drugs are substitutes or complements for medical services.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may be different in Korea due to differences in the medical system, the over-the-counter drug market, and the retention rate of USC. However, as in the case of US, if USC increases the use of over-the-counter medications, it could also affect the use of prescription drugs. Therefore, to find out whether the possibility of using over-the-counter drugs increases when having a USC in Korea and how it affects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f over-the-counter drugs taken for more than 3 months, the annual data of the Korea Medical Panel from 2008 to 2017 (Version 1.6) was use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nd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on adult household members over the age of 20 with 2017 data, which is the latest data with questionnaires on average monthly expenditures for OTC drug over 3 months and USC.
Dependent variables are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The main independent variables are the possession and type of USC. And control variables are predisposition factor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possible factors (economic activity, income level, area of residence, medical insurance type) and disease factors (average monthly expenditure on prescription drugs, presence of chronic disease,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composed.
As a major result,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decreased by 30.1% (p<0.05) compared to when using USC. And the analysis by type of USC showed that people using general hospital reduced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by 52.7% while the reductions were 32.04% and 24.1% for hospital and clinic, respectively. The likelihood of using over-the-counter drugs decreased in that order. It was confirmed that the more severe the disease,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prescription drugs.
In the case of having a USC,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for over-the-counter medicines taken for 3 months or more decreased by 44.0% (p<0.05),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when the user had a clinic as a USC. In other words, in Korea, the dependence and expenditure on prescription drugs increases and the use of over-the-counter drugs taken for more than 3 months and the average monthly expenditure decrease when using a USC. So, it is necessary to set a policy direction in the future considering these fact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5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692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