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Syntax and Semantics of Fragments in English Echo Questions : 영어 메아리 질문 조각문의 통사와 의미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영동

Advisor
이정미
Issue Date
2021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ellipsisecho questionsyntactic identity conditionin-situ deletionunrestricted focus projection생략 현상메아리 의문문통사적 동일성 조건제자리 삭제비제한적 초점 투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2021.8. 이정미.
Abstrac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yntax and semantics of fragments in English echo questions. Sub-sentential phrases which have the same meaning and function as full sentential echo questions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vious literature. In the present thesis, I argue that these fragments are the results of a clausal ellipsis, and that an in-situ deletion analysis that excludes movement of a focused constituent to the periphery of a clause is required to derive the fragments.

With regard to the semantics of echo questions and echo fragments, following Beaver et al.s (2017) analysis, I suggest the idea of incorporating the notion of QUD (Question Under Discussion; Roberts, 1996) into the focus-based accounts of the derivation of echo questions (Beck & Reis, 2018), in need of taking the effect of context into consideration. Also, I argue that an echo fragment has the same meaning as its corresponding full-fledged echo question, because the former is syntactically derived from the latter by means of an ellipsis at PF: Their meanings thus remain identical to each other.

In terms of the syntax of echo fragments, I first argue for an in-situ deletion approach (Griffiths et al. 2018, 2020). I show that the fragment of echo questions can present itself in various sizes including immovable XPs, which are not generally allowed to move; thereby arguing against the movement and deletion approach (Merchant, 2001, 2004, etc.). Then I propose that a syntactic identity condition is in need (Merchant, 2008a), by providing novel empirical examples that undermine the semantic identity condition. Lastly, I argue that implementing Bürings (2006) unrestricted vertical focus projection allows for massive fragments—the fragments consisting of a constituent bigger than a single narrowly focused constituent.
본 논문의 목적은 영어의 메아리 질문(echo questions)의 조각문(fragment)에 대한 구조와 의미를 살펴 보는 것이다. 본 논문의 저자는 수문 구문(sluicing), 조각 대답(fragment answers)등의 생략 구문과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는 메아리 질문의 조각문 또한 절 생략(clausal ellipsis)의 결과이며, 메아리 질문에서의 생략을 설명하는 데에는 초점 구문(focused phrase)의 절 주변부(clause periphery)로의 이동을 배제한 제자리 삭제(in-situ deletion) 접근법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먼저, 본 저자는 Beck and Reis (2018)에 기반하여 메아리 질문의 의미는 초점의 역할을 통해 도출된다고 주장한다. 나아가, 의미 형성과정 설명에 있어 QUD(Question Under Discussion) 개념을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메아리 질문은 선행 발화와 구조와 의미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을 수 있는데, Beaver, Roberts, Simons, and Tonhauser (2017)의 논의를 따라 그 다름의 정도를 QUD (Roberts, 1996, etc.)로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이고, 이는 초점의 역할을 강조하는 본 논문의 주장과 병립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메아리 질문의 의미는 생략 후 조각문 상태에서도 유지되기 때문에, 그 의미 형성 과정을 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

조각문의 통사 구조와 관련해서, 본 저자는 먼저 메아리 질문의 생략에서는 일반적으로는 이동할 수 없는 구문들(immovable phrases)을 포함해 잔여구(remnant)가 다양한 크기로 나타날 수 있음을 기반으로 Merchant (2001, 2004)등이 주장한 이동 후 삭제(movement and deletion) 접근법에 반대하고 제자리 삭제 접근법을 지지한다. 또한, 본 저자는 의미적 동일성 조건만으로 인허될 수 없는 구조적 불일치와 관련된 새로운 예문들을 제공함으로써, 메아리 질문의 생략에서는 통사적 동일성 조건이 필요하다고 제안한다 (Merchant, 2008a). 마지막으로 Büring (2006)의 비제한적 초점 투사(unrestricted focus projection)는 좁은 초점을 받은 성분(narrowly focused element)이 단독으로 등장하는 것보다 크기가 큰 거대 조각문(massive fragments)을 가능하게 한다고 주장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787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759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