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상담기관 상담사의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 College counselors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현은정

Advisor
김동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학사경고학사제적학업상담상담사 경험위기상담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상담전공), 2022.2. 김동일.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llege counselors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and to find out the common concept and identify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counselors perception of their experienc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1. What is the perceptions of college counselor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1-1. What is the content of the college counselors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1-2. Which dimensions and clusters of the experience in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does the counselor perceive?
1-3. How much does the counselor agree to each the experience?

To explor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phases. In the initial stage, focus question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counselors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In the second stag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college counselors 1) who were full-time or guest counselor at the university in Seoul and have had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2) and with a master's degree or doctoral degree in counseling, 3) and with certificate 4) and have more than 4 years of counseling experience. In the third stage, statements were combined and edited by 3 counseling experts. In the forth stage, 10 interviewees classified similarities of the final statement lists and rated their degree of agreement. In the fifth stag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similarity classification and degree of agreement ratings by 10 participan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ere conducted to deduce a concept map in this process. As a result, based on the classified statement data given by the 10 research participants, a concept map consisting of 3 dimensions and 8 clusters was identified.
The results of the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ly, Dimension 1(X-axis) was conceptualized as a continuum ranging from active intervention on one end to recognition of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n the other. Dimension 2(Y-axis) ranged from counselor's self-awareness focus to client and environmental factor focus. Dimension 3(Z-axis) ranged from client's academic crisis focus to clients existence and life focus.
Secondly, research participants perceived the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we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in 8 clusters. Cluster 1 was named as active management of daily life and academic performance to prevent the academic dismissal(21 items), cluster 2 as emotionally and practically take care of and encourage the client(5 items), cluster 3 as focusing on the existential life rather than the client's academic issues(10 items), and cluster 4 as efforts to continue counseling(5 items), cluster 5 as frustrated after struggling and experienced skepticism about counseling(16 items). cluster 6 as experienced deep compassion and bond with the client(11 items), cluster 7 as client's problem was complicated and chronic.(14 items), cluster 8 as lack of support resources and in-school support systems for clients(8 items)
Thirdly, research participants evaluated the degree of agreement of each final statement according to the 5-likert scale, and all statements received the means of 3.762 points. Statement 36 helped the client recognize his or her goals or meanings for maintaining his or her own academic status and graduation(M=4.818) was evaluated as the most agreeable experience. Further examination of relativ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clusters revealed that cluster 3 focusing on existential life rather than the client's academic issues(M=4.264), followed by cluster 4 efforts to continue counseling(M=4.236).
This study has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amine the counselors experience of helping students who are at risk of academic dismissal of advocacy.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Korea, where academic achievement is important criterion for determining success or failure in life, both counselors and clients think of academic dismissal as a crisis.
Second, all of research participants are the counseling experts, who have the highest qualifications of the counseling-related association, so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able to describe their experiences abundantly with an expert's knowledge. In addition, counseling experience and case experience are distributed in various ways, so counselors' understanding and behavior of counseling are wide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unselor development.
Third, this study revealed the dimensions and clusters of counselors experiences. In three-dimensions, the counselor's experience could be expressed more elaborately as clusters. Counselors evaluated the experience of focusing on the client's existential life and real self as the most agreeable experience rather than academic issues and problems.
Thes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in counselor education.
본 연구는 개념도 방법을 통해 대학상담기관 상담사들이 경험한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 지속을 위한 상담을 어떤 개념과 구조로 인식하는지 파악함으로써 이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대학상담기관 상담사는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 지속을 위한 상담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1-1. 대학상담기관 상담사가 인식하는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지속을 위한 상담 경험의 내용은 무엇인가?
1-2. 대학상담기관 상담사는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지속을 위한 상담 경험을 어떠한 차원과 군집으로 인식하는가?
1-3.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 지속을 위한 상담 경험에 대한 대학상담기관 상담사의 동의 수준(degree of agreement)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쳤다.
먼저, 개념도 연구의 첫 단계로 상담사의 제적위기 학사경고자의 학업 지속을 위한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면접에 필요한 초점 질문을 개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①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의 상담기관에서 상담사로 근무하며,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 경험이 있고, ② 상담 관련 석사학위 이상 취득을 했으며, ③ 상담 관련 전문자격 취득하고, ④ 4년 이상의 상담 경력자 12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실시하여, 상담경험에 관한 933개의 진술문을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제적위기 학사경고자를 상담한 경험이 있고 질적 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으며, 상담 관련 전문가 자격이 있는 2인과 연구자가 통합진술문으로 통합·편집하였고, 이를 연구참여자를 포함한 10명의 전문가에게 적절성을 평정받아서 최종진술문 90개가 도출이 되었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개별 면접에 참여한 연구참여자 10명이 최종 진술문의 유사성을 분류하고 동의 수준을 평정하였다. 다섯 번째 단계에서는 유사성 분류와 동의 수준 평정 결과를 바탕으로 다차원척도 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3개의 차원, 8개 군집으로 구성된 개념도가 도출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들은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을 1차원(X축)에서는 적극적 개입-어려움 및 한계 인식 차원으로, 2차원(Y축)에서는 상담사의 자기인식 초점-내담자 및 환경적 맥락 초점 차원으로, 3차원(Z축)에서는 내담자의 학업 위기 초점-내담자의 존재 및 삶 초점 차원으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참여자는 상담경험을 8개 범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군집 1은 제적위기를 막기 위해 일상생활 및 학업수행을 적극적으로 관리함(21문항), 군집 2는 내담자를 정서적, 실제적으로 돌보고 격려함(5문항), 군집 3은 내담자의 학업보다 실존적인 삶에 초점을 둠(10문항), 군집 4는 상담 지속을 위해 노력함(5문항), 군집 5는 고군분투 끝에 좌절하고, 상담에 대한 회의감을 경험함(16문항), 군집 6은 내담자에 대한 깊은 연민과 유대감을 경험함(11문항), 군집 7은 내담자의 문제가 복잡하고 만성적임(14문항), 군집 8은 내담자의 지지자원 및 학내 지원체계가 부족함(8문항)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상담사의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경험에 관한 진술문에 대해 동의 수준을 평정한 결과 90개 진술문 전체에 대한 동의 수준 평균은 3.762점이었다.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경험에서 가장 동의가 된다고 평가된 진술문은 36. 내담자가 자신만의 학업 유지와 졸업에 대한 목표나 의미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왔다(M=4.818)로 나타났다. 군집별 동의 수준 점수의 순위를 보면, 군집 3 내담자의 학업보다 실존적인 삶에 초점을 둠(M=4.264)으로 가장 높았고, 군집 4 상담 지속을 위해 노력함(M=4.236)이 뒤를 이었다. 군집 8 내담자의 지지자원 및 학내 지원체계가 부족함(M=3.523)은 가장 낮은 평균 점수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상담사를 대상으로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 경험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밝혔다. 최근 학사경고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적위기 학사경고자를 만난 상담사들이 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에 대한 탐색한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에서는 상담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인식의 구조를 확인함으로써 학사경고자 상담에서 주목해야 할 부분들에 대해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특히 본 연구의 내담자는 반복된 실패로 무기력하고 회피적인 모습을 보이며, 상담사는 과하게 걱정하면서 과도하게 개입하다가 좌절과 무기력해짐을 보고하고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학업 성취가 인생의 성패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하고 있는데(박영신, 김의철, 2002), 상담사와 내담자 모두 이러한 맥락 하에서 제적이 되는 경험을 인생의 성패를 결정짓는 위기로 경험하는 것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인 상담전문가는 모두 공신력 있는 상담 관련 학회의 최상위 자격을 소지하고 있어 연구참여자들은 전문가의 지식체계를 가지고 자신의 경험을 풍부하게 기술할 수 있었다. 연구참여자의 상담 경력과 사례 경험이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는데, 이로 인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제적위기 학사경고자 상담에 대한 상담사의 이해와 행동이 상담사 발달 수준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상담 경험에 대한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개념도의 방법을 활용하여, 3차원상에서 상담사의 상담경험에 대한 차원과 군집을 밝힘으로써 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적극적 개입'-'어려움 및 한계 인식 차원과 '상담사의 자기인식 초점'-'내담자 및 환경적 맥락 초점' 차원과 '내담자의 학업 위기 초점'-'내담자의 존재 및 삶 초점' 차원은 기존 상담사 경험 및 위기 상담과 관련된 내용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원에서 상담사의 경험이 군집으로 분명하게 표현될 수 있었다. 상담사는 반복적인 학업 위기를 경험한 내담자가 자신의 학업유지에 대한 의미를 찾도록 돕는 진술문과 내담자의 학업보다 실존적인 삶에 초점을 둔 군집에 가장 높은 동의 수준을 보였다. 학업 위기라는 문제 상황보다는 내담자의 진정한 자기, 내담자의 삶에 초점을 두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상담사 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2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