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적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through Academic Resilie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우

Advisor
백순근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자기주도성학업적 회복탄력성대학적응민감도 분석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교육학과, 2022.2. 백순근.
Abstract
It can be said that self-directedness is crucial for college students since college students have developmental tasks that they should be independent of parental support and parenting.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academic resilience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in that many students have suffered hardship in online learning situations due to COVID-19. Also, college adjustment is a crucial variable considering that many college students who failed to adapt to the new environment decided to drop out of school and suffer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Studies on self-directedness, academic 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considered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educational field, have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Many studies have also been conducted on explanatory factors affecting each variable. However, insufficient empirical research confirm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variables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to prove such a hypothesis are as follows.

1.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of college students affect academic resilience?
2. How does the academic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college adjustment?
3. How does the self-directedness of college students affect their college adjustment?
4. Does academic resilience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ness and college adjustment?

To address these questions, the following procedures and research methods took place. First, Self-Directedness Scale and College Adjustment Scale were developed and validated to measure the corresponding constructs. Self-Directedness Scale is composed of autonomy, goal orientation, and responsibility, while College Adjustment Scale was composed of academic adaptation, human relationship adaptation, and environmental adaptation. Both scales were produced in the form of five items per component. The scales content validity was checked through written evaluation of eight experts in the field of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construct validity was check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was checked through Cronbachs alpha. As a result,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elf-Directedness Scale and the College Adjustment Scale were generally good.
Two hundred forty-three students attending S University in S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measured self-directedness in September 2021, and academic resilience was measured in October, about a month later. Finally, in November, a college adjustment test was conducted to reveal relationships caused by chronological order when measuring variabl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directedness, academic resilience, and college adjustment was checked by analyzing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using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directedness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resilience.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academic resilience was .61 in both cases when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not set and set.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cademic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on college adjustment was .48 when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not set and .49 when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set.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p<.001, respectively).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directedness of college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college adjustment.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was .24 in both cases when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not set and set. All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p<.05, respectively).
Fourth, the total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comprised direct effect (self-directedness → college adjustment) and indirect effect (self-directedness → academic resilience → college adjustment). This study used both Sobel and bootstrapping tests to estimate these total, direct, and indirect effects. As a resul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in the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p<.01), and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of indirect effect was .29.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effect. Furthermore, 54.6% of the total effect was accounted for by a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resilience. This implies that academic resilience mediated the effect self-directedness has on college adjustment.
Fifth, there was a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f a confounder that the researcher might have omitted. More specifically, if there is an omitted variable, the path coefficient from self-direction to college adjustment may significantly change even when the confounder has a weak level of path coefficient with variables in the model.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effect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is mediated by academic resilienc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trol variable (gender) was s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directedness plays a vital role in improving the academic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and the level of college adjustment. However, as a result of sensitivity analysis, it is necessary to be cautious when interpreting the result because the path coefficient of the direct path of self-directedness on college adjustment may vary depending on the potential confounders. Thus efforts should be made to develop the self-directedness and academic 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대학생은 부모의 지원과 양육으로부터 독립해야 하는 발달과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 코로나 19가 심각해짐에 따라 많은 대학생들이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온라인 학습상황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점에서 대학생의 학업적 회복탄력성 역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많은 대학생들이 대학적응에 실패하고 중도탈락 및 학업중단을 결정하는 등 심리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고려할 때, 대학적응 또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업적 회복탄력성, 대학적응 변인 간의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다.
그동안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업적 회복탄력성, 대학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지만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관련 선행연구들에 기반하여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활용해 앞서 언급한 세 변인 간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은 대학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적 회복탄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대학생의 학업적 회복탄력성은 대학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4.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회복탄력성이 매개역할을 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기존의 측정도구들을 활용하여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척도와 대학적응 척도를 수정·보완하였다. 자기주도성 척도는 자율성, 목표 지향, 책임감의 세 가지 영역으로, 대학적응 척도는 학업적응, 인간관계 적응, 환경적응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이때 두 척도 모두 각 하위영역 당 다섯 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척도의 내용타당도는 전문가 8인의 서면평가를 통해 점검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인타당도를 점검하였으며, Cronbachs alpha를 통해 신뢰도를 점검하였다. 그 결과, 자기주도성 척도와 대학적응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가 전반적으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S시 소재 S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43명을 대상으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이때 변인 간 관계에 있어 시간의 선후 관계를 명확히 밝히고자 2021년 9월에 자기주도성 검사를 실시하고, 약 한 달이 지난 10월에 학업적 회복탄력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11월에 대학적응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민감도 분석 등을 실시함으로써 자기주도성, 학업적 회복탄력성, 대학적응의 구조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은 학업적 회복탄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적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와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한 경우 모두 .6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둘째, 대학생의 학업적 회복탄력성은 대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대학생의 학업적 회복탄력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 .48,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한 경우 .49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p<.001).
셋째,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은 대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하지 않은 경우와 통제변인(성별)을 설정한 경우 모두 .24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01, p<.05).
넷째, 학업적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추정된 직접효과(자기주도성→대학적응)와 간접효과(자기주도성→학업적 회복탄력성→대학적응)의 통계적 유의성을 Sobel 검증과 붓스트래핑(bootstrapping)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다. 검증 결과,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의 표준화계수는 .24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기주도성이 학업적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대학적응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결론적으로 전체 모형에서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고, 학업적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는 대학적응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총 효과의 54.6%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적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대학적응에 미치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자가 포함하지 않은 혼입변인으로 인해 연구 결과의 편향이 발생할 수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처치변인과 매개변인 사이에 혼입이 있거나 매개변인과 종속변인 사이에 혼입이 있을 경우 혼입변인과 각 변인이 약한 수준의 경로계수를 보일 경우에도 자기주도성에서 대학적응으로 향하는 경로계수가 바뀔 수 있어, 직접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혼입변인이 존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요컨대 이 연구에서는 통제변인(성별) 설정 여부와 무관하게 대학생의 자기주도성이 학업적 회복탄력성과 대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학업적 회복탄력성 역시 대학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민감도 분석 결과, 혼입변인에 의해 자기주도성이 대학적응에 미치는 직접경로의 경로계수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대학생의 학업적 회복탄력성과 대학적응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기주도성이 중요하며, 따라서 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학업적 회복탄력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13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99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