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사설시조 희극성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Comicality Education of Saseolsijo
웃음 유형별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정은선

Advisor
고정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시 교육사설시조희극성불일치 이론심리적 반응단계적 반응웃음 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2.2. 고정희.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content and method of Saseolsijo comicality education focusing on the response of the perceivers to different types of humor. Comicality of Saseolsijo have counter-restrictive, empathetic, derisive characteristic. This study followed Jerry Farbers Incongruity Theory.
According to Jerry Farber, who set forward his theoretical framework for study of humor based on Incongruity Theory, the perceiver explores the elements of incongruity, activates opposing set of psychological responses, and overturns the hierarchy of the opposing psychological responses. Comedy is experienced as psychological reward, and the reward varies by types of humor. Types of humor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Counter-Restriction Humor, Empathic Humor, and Derisive Humor, depending on the incongruous elements, the perceivers response to it, and its psychological reward. This study proposes the stages of learners psychological responses to the comicality of Saseolsijo, examines the stages through which the actual learners react according to the type of humor in Saseolsijo, and then designs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comicality education of the Saseolsijo.
This study categorized students responses to different types of Saseolsijo. Recipients of counter-restriction humor of Saseolsijo failed at constructing meaning due to nonsensical characteristic of the text. Recipients of emphatic humor of Saseolsijo failed at having proper distance with the character in text. Recipients of derisive humor of Saseolsijo responded with patterns of conventional acceptance. Moreover, learners had tendency to only have cognitive responses but not much of emotional responses, when responding to emphatic humor and derisive humor. The learners who reported that they did not experience comicality of Saseolsijo were different from the ones who experienced it in that their responses had no specific stages.
If learners go through the stage of comedy re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humor, they will be able to experience the essence of Saseolsijo which is comicality. Based on theses premises,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education. The following three goals were set as the goal of Saseolsijo comicality education considering learners responses. First is to understand different types of humor in Saseolsijo. Second is to experience comicality of Saseolsijo with agency. Third is to improve ability to enjoy comicality in other classic korean poetry.
The content of education of experiencing comicality of Saseolsijo covers discovering incongruous element of the poetry, apprehending types of humor in text, and experiencing psychological reward through comicality. The specific methods were answering scaffolding questions, peer discussion, and parody writing.
This study empirically studies the comicality of Saseolsijo focusing on the learners acceptance and responses, instead of text. In addition, the educational suggestion presented in this paper has a significance as an education for literary enjoyment that learners actively participate in enjoying Saseolsijo.
본 연구는 웃음 유형별 학습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사설시조 희극성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사설시조의 희극성은 장르의 주요한 특질로, 사설시조 교육에는 학습자들이 희극성의 미적인 경험에 이를 수 있는 학습자 반응을 중심으로 한 교육 내용이 구안될 필요가 있다. 한편 사설시조의 희극성은 규범과 질서를 넘어서는 일탈이라는 반-규제적, 욕망의 보편성으로 추동되는 대상의 범용함을 긍정하는 공감적, 대상의 열등함을 부정하고 공격하는 조소적 특성으로 유형화될 수 있으므로, 각 유형에 대한 고려 역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설시조의 희극성을 경험하는 교육을 설계하기 위해 웃음 이론을 검토하고 학습자의 반응을 분석하였다. II장에서는 불일치 이론과 이를 확장한 파버(J. Farber)의 이론을 검토하였다. 파버는 희극성 경험과 관련하여 수용자의 내적인 반응에 대한 이론적 틀을 제시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론에 따르면 수용자는 작품 내 불일치 요소 탐색, 불일치 요소에 대한 상반된 심리적 반응 활성화, 상반된 심리적 반응의 위계 전복으로 인한 심리적 보상의 내적 단계를 따라 희극성을 경험하며, 그 내용은 반-규제적 웃음, 공감적 웃음, 조소적 웃음으로 유형화된 희극성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III장에서는 교육적 처치 없이 학습자의 반응을 리커트 척도와 감상문을 통해 수집하였으며, 리커트 척도를 기준으로 희극성을 경험하지 못한 학습자들의 반응을 콜레지의 현상학적 방법론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사설시조의 희극성 경험에 어려움을 겪은 학습자들은 모든 웃음 유형에서 단계화되지 않은 반응 양상을 보였다. 구체적으로는 반-규제적 웃음이 드러나는 사설시조 작품에 대해 의미화 실패의 양상이, 공감적 웃음이 드러나는 사설시조 작품에 대해 거리조절 실패의 양상이, 조소적 웃음이 드러나는 사설시조 작품에 대해서는 관습화된 반응의 양상이 드러났다. 반-규제적 웃음에 대해 학습자는 사회적 규범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공감적 웃음과 조소적 웃음에 대한 학습자 반응에서는 학습자가 작품의 희극성을 인지적으로만 받아들이며, 정의적으로는 반응을 활성화하지 않는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희극성을 경험하지 못하였다고 응답한 학습자들은 단계적이지 않은, 비교적 단순한 반응 양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희극성을 경험했다고 응답한 학습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희극성을 경험하지 못한 학습자와 경험한 학습자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습자가 웃음의 유형에 따라 희극성 반응의 단계를 밟아나갈 수 있는 비계가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가진 지식 자원과 초점화 요소가 다르기 때문에 학습자간 소통을 통해 반응을 활성화하고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시사점을 바탕으로 하여 IV장에서 교육 내용과 방법을 설계하였다. 우선, 학습자 반응을 고려한 사설시조 희극성 교육의 목표로는 다음 세 가지를 설정하였다. 첫째, 사설시조 희극성의 다양한 실현 방식을 이해한다. 둘째, 사설시조의 희극성을 주체적으로 경험한다. 셋째, 고전시가의 희극성 향유 능력을 신장한다.
교육 내용으로는 사설시조의 불일치 요소 발견, 웃음 유형별 희극성의 기제 파악, 희극성 체험을 통한 심리적 보상 경험의 단계적인 교육을 제시하였다. 각 교육 내용의 적용의 실제는 비계 질문을 통한 텍스트의 맥락 탐색, 소그룹 토의를 통한 반응 조정, 패러디 시 창작을 통한 수용자 관여 확대의 사례로 제시하였다.
본고는 사설시조의 희극성을 텍스트 수준이 아닌 수용과 반응이라는 학습자의 차원에서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또한 본고가 제시한 교육 설계는 학습자가 사설시조 작품을 능동적으로 즐기는 문학 향유 교육으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26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6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