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 연구 : A Study on Science Fiction Education for Developing Convergence Thinking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제훈

Advisor
윤대석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과학소설SF융합융합적 사고과학소설 교육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인지적 낯설게하기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2.2. 윤대석.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define the concept of 'convergent thinking' that has not been materialized at the level of teaching and learning in literature departments, and devise science fiction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it for learners. With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influe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human life is increasing, and educational discourse centered on "convergence" is also increasing. However, literature education has not been able to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this trend.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redefined the concept of science fiction and convergent thinking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fiction.
Darko Ronald Suvin defined science fiction as the literature of 'Estrangement and Cognition'. The science fiction composes the world through novum, extrapolation, and complex situations so that combines the aspects of "Cognition" and "Estrangement" and makes readers aware of Relationship between human-nature-social-science-technology. This is also in line with Bruno Latur's actors' networks theory. Based on this, this study redefined convergent thinking as 'recognition of symmetry between human-nature-science and technology', 'relational thinking premised on the actor network', and 'imagination of new translability and alternative networks'.
Based on this, the principle of reading science novels to cultivate convergent thinking was devised. Learners who read science fiction pay attention to science and technology inside and outside the work and other actors in a new way different from the daily or academic level through the novum in science fiction. In addition, they follow the narrative of science fiction and recognize the interaction patterns in the network including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hole based on the extrapolation underlying it. Based on this, learners acquire a point of view of problem-solving by predicting and discovering new problem situations or seeking solutions through complex situations embodied in the work.
Based on this theoretical discuss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action texts of learners who read science fiction to examine the factors that learners pay attention to in the process of reading science fictions and to examine whether the principle of reading science fic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case of unfamiliar views through novum, reactions mainly focused on the dimension of science and technology's ability to act or linking novum to reality science and technology similar to that appeared, and rarely revealed posthumanistic perceptions through comparisons between actors. In addition, in the case of network recognition through extrapolated Inference, it was mainly seen as a way to confirm the feasibility of the situation in the work based on the real situation, and learners themselves imagined the network of future society by performing extrapolated Inference. On the other hand, learners generally converted the complex situation in the work into a real problem situation to acquire a point of view of problem solving, but showed limitations such as failure to predict and discover problem situations or failure to seek problem solving, and rejec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tself.
Based on learner response, this study designed a science fiction education plan for developing convergent thinking. The goal of science fiction education to developing convergent thinking is to make learners recognize situations linked to science and technology by synthesizing emotional and conceptual knowledge, understand the overall relationship between human-social-nature and science in various aspects to form an active attitude to science and problem-solving. As for the educational content,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ience fiction genre& activating schema, recognizing and inferring multi-faceted networks between actors, discovering problems associated with science and technology and seeking solutions were established. As educational methods for this, 'Looking strange through comparison between old boom and real science and technology', 'expanding and deepening network awareness through step-by-step reasoning', and 'segment and materialization of problem situations through pros and cons' were propos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defined the concept of convergent thinking through science fiction and designed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it,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ducation that embodied convergent thinking at the level of literary education. In addition, it can contribute to the study of science fiction education in that it focuses on teaching and learning of science fiction education based on the learner's response data to science fiction.
본 연구는 그간 교육과정 일반의 차원에서만 강조될 뿐 문학교과의 교수학습 차원에서 구체화되지 못한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학습자에게 함양할 수 있는 과학소설 교육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에 따라 과학기술이 인간의 삶과 세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력은 갈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융합을 중심으로 한 교육 담론 역시 부상하게 되었다. 그러나 문학교육은 이와 같은 담론에 주체적으로 참여하지 못했고, 융합적 사고의 개념과 그 교육 방안을 문학교육의 맥락에서 구체화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에 기반하여 재정의하고 융합적 사고의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과학소설과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설정하기 위해 본 연구는 다르코 수빈의 논의와 브뤼노 라트루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이론적 근거로 활용했다. 수빈은 과학소설을 인지적 낯설게하기의 문학이라 정의하였는데 이는 과학소설이 현실 세계의 경험과 논리를 바탕에 두면서도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 과학기술과 사태를 새롭게 인식하게 만듦으로써 인간-자연-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를 분절됨 없이 그 자체로서 총체적으로 형상화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인지적 낯설게하기로서의 과학소설은 세계 속 존재들 간의 유기적 관계를 교과나 학문 간의 경계에 구애받지 않고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인간과 비인간을 아우르는 행위자들의 혼종적 연결망 구성과 변화에 주목하는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과 접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융합적 사고를 인간과 비인간의 대칭성 및 혼종성 인식과 번역된 연결망에 대한 관계적 사고 그리고 연결망 속 복합적 문제상황의 포착과 대안적 연결망 상상으로 재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제시한 과학소설과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토대로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읽기의 원리를 고안하였다. 과학소설을 읽는 학습자들은 과학소설 속 노붐을 통해 작품 안팎의 과학기술과 여타 행위자를 일상적 혹은 학문적 차원과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주목하게 된다. 또한 과학소설의 서사를 따라가며 그 기저의 외삽적 추론을 바탕으로 과학기술이 포함된 연결망 속 상호작용 양상을 총체적으로 인식한다. 이로써 학습자는 작품 속에 형상화된 복합적 사태를 계기로 현실 속에서 과학기술과 관련된 새로운 문제 상황을 예측 및 발견하거나 그 해결을 모색하게 된다.
이상의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과학소설을 읽은 학습자들의 반응 텍스트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자가 과학소설 읽기 과정에서 주목하는 요소가 무엇인지를 살피고 앞서 고안한 과학소설 읽기 원리가 실제로 구현되는가를 고찰하였다. 노붐을 통한 낯설게 보기의 경우, 학습자가 과학기술이 지닌 행위능력의 차원에 주목하거나 노붐을 그것과 유사한 현실 과학기술과 연결하는 반응이 주로 나타났으며 드물긴 하나 행위자 간의 비교를 통해 포스트휴머니즘적 인식을 드러내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외삽적 추론을 통한 연결망 인식의 경우 주로 학습자가 현실 사태를 근거로 작품 속 사태의 실현가능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나타났으며 스스로 외삽적 추론을 수행함으로써 미래사회의 연결망을 상상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한편 학습자들은 대체로 작중의 복합적 사태를 현실의 문제상황으로 변환하여 문제 해결의 관점을 모색하면서도, 문제상황 예측 및 발견에 실패하거나 문제 해결 모색에 실패하고 과학기술 자체를 거부하는 반응을 보이는 등의 한계 양상을 드러냈다.
이와 같은 학습자 반응 양상을 토대로 본 연구는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 방안을 다음과 같이 설계하였다.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 교육의 목표는 감성적 인식과 개념적 지식을 종합하여 과학기술과 결부된 사태를 인식하고, 인간-사회-자연과 과학기술이 맺는 총체적 관계를 이해하며, 이를 다양한 측면에서 고찰하여 과학기술과 결부된 복합적 문제에 대한 능동적 태도를 형성하고 문제 해결의 관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육 내용으로는 과학소설 장르의 특징 이해와 스키마 활성화, 행위자 간의 다면적 연결망 인식과 추론적 구성, 과학기술과 결부된 문제 발견과 해결 모색을 설정하였다. 이를 위한 교육 방법으로는 노붐과 현실 과학기술 간의 비교를 통한 낯설게 보기, 단계적 추론을 통한 연결망 인식 확장 및 심화, 찬반토론을 통한 문제상황의 세분화 및 구체화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기반으로 융합적 사고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적 사고 함양을 위한 과학소설의 교수학습을 설계했다는 점에서 교육과정 전체 차원에서만 강조되었던 융합적 사고를 문학교육 차원에서 구체화한 교육의 한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과학소설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 자료를 토대로 과학소설 교육의 교수학습을 융합적 사고로 초점화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향후의 과학소설 교육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40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60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