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판소리 <적벽가(赤壁歌)> 교육 연구 : A Study on Pansori(판소리) Jeokbyeokga(<적벽가>) Education for Advanced Korean Learners in China Focusing on Comparison with Yangzhou Storytelling Huoshaochibi(<火燒赤壁>)
양주평화(揚州評話) <화소적벽(火燒赤壁)> 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곽자청

Advisor
김종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판소리설창(說唱)양주평화(揚州評話)대비연구한국어교육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2.2. 김종철.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educational plan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y comparing Korean pansori Jeokbyeokga(赤壁歌, Song of Red Wall) with Chinese Yangzhou pinghua(揚州評話, Storytelling of Yangzhou) Huoshaochibi(火燒赤壁, Fire burning up Red Wall).
Korean pansori Jeokbyeokga is a classical work with high literary value, created based on the contents of Chibidazhan(赤壁大戰, the Great Battle of Red Wall) in Chinese novel Sanguoyanyi(三國演義, Story of Three Kingdoms). Yangzhou pinghua, a kind of Chinese art of Shuochang(說唱, storytelling and singing) also includes Huoshaochibi adapted from Chibidazhan in Sanguoyanyi. By comparing the two works addressing similar subjects, learners can discover the common points and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literature and develop their understanding of the literature of the two countries.
In chapter II, the comparative literature theory was examined in general, and the basis for comparing Jeokbyeokga and Huoshaochibi was revealed by applying the method of contrast research among the methodology of comparative literature. In addition, before comparing the two works, the development of Korean pansori and Chinese Sulchang, the formation of Jeokbyeokga and Huoshaochibi were discussed in general in order that the basis for comparing the two works can be prepared.
Chapter III analyze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works in four aspects: the performance, the narrative composition, the characters, and the them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the contents of education was presented.
Regarding performance, the components including places, casts, prop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ers and audience were considered in detail. While fans appear as tools in common both in pansori and Yangzhou pinghua, the other components such as performance places, the number of performing people, and the form of expression are different between pansori and Yangzhou pinghua. In terms of narrative composition, Jeokbyeokga focuses on macroscopic events whereas Huoshaochibi concentrates on microscopic narrative worlds. The characters are also different in that Jeokbyeokga is characterized by caricature of the characters and addition of new characters, while Huoshaochibi is characterized by secularization of the character and glorifying of the evil. With regard to theme, Jeokbyeokga emphasizes people's life and familism, the values of loyalty(忠) and righteousness(義), while Huoshaochibi values comprehensive egalitarianism, embracement and secular utilitarianism.
Chapter IV referred to an educational plan of Jeokbyeokga for Chinese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result of analysis in Chapter III. The contents of education comprises the performance method of Pansori and Yangju pinghua, the narrative worlds and characters of Jeokbyeokga and the understanding of its theme.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procedures: activation of schema, utilization of audiovisual materials, understanding of Jeokbyeokga through comparing with other works, and writing review.
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를 중국 양주평화(揚州評話) 과 비교하여,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한국의 판소리 는 높은 문학적 가치를 담고 있는 고전 작품으로서, 중국 소설 의 적벽대전의 내용을 바탕으로 새롭게 창작된 것이다. 중국 설창예술(說唱藝術)의 하나인 양주평화에도 의 적벽대전 부분을 취재하여 변용한 이 있다. 같은 소재를 다룬 두 작품을 비교하여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학습자들은 양국 문학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고 한국과 중국 양국의 문학에 대한 이해 능력을 키울 수 있다.
Ⅱ장에서는 비교문학 이론을 전반적으로 살핀 후, 비교문학의 방법론 중에서도 대비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와 을 비교할 수 있는 근거를 밝혔다. 또한, 두 작품을 비교 분석하기에 앞서, 판소리 및 의 형성, 중국 설창예술의 발달 및 의 형성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통해 와 을 비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공연 방식, 서사 구성, 등장인물, 그리고 주제의식을 중심으로 와 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공연 방식에서 판소리는 아니리와 노래(唱)로 공연되는 반면 양주평화는 노래가 없다. 판소리는 창자(唱者)인 광대가 고수(敲手)의 북 장단에 맞추어 노래하나 양주평화에는 고수가 없이 예인(藝人) 혼자서 공연한다. 판소리의 공연 장소는 일정하지 않으나 양주평화는 주로 서장(書場)에서 공연한다.
서사 구성에서 는 거시적인 사건을 중심으로, 은 미시적인 서사 세계를 중심으로 개작이 이루어졌다. 인물에서 는 인물의 희극화와 새로운 인물의 첨가라는 인물 형상화 방식, 은 인물의 세속화(世俗化)와 악인의 미화(美化)라는 인물의 형상화 방식이 특징적으로 나타난다. 주제의식에서 는 민중의 삶에 대한 중시와 가족주의에 대한 중시, 충(忠)과 의(義)의 강조, 은 개방적인 평등사상과 포용 의식과 세속적인 공리주의(功利主義)의 중시라는 주제의식을 밝혔다.
Ⅳ장은 Ⅲ장에서 비교‧분석한 내용을 교육의 내용으로 삼아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판소리와 양주평화의 공연 방식, 의 서사 구성, 인물 형상화 방식, 주제의식의 이해를 교육의 내용으로 삼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방법으로 스키마의 활성화, 시청각 자료의 활용, 작품의 대비를 통한 의 이해, 그리고 감상문 쓰기 등 절차로 나누어 교수·학습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59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