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금지 화행 교육 방안 연구 : A Study of Teaching Plan on Prohibition Speech Ac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결

Advisor
민병곤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한국어 교육화행 교육금지 화행화용적 실패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 2022.2. 민병곤.
Abstract
본 연구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금지 화행 전략 사용 양상을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의 사용 양상과 대조·분석함으로써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다양한 화용적 실패를 극복할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자들이 모어 화자와 의사소통할 때 문법적으로 정확한 문장으로 발화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화용적 측면에서 대화 맥락에 적절한 표현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특히 금지 화행은 체면 위협 정도가 높은 화행 중 하나에 해당하기 때문에, 발화 시 상대방의 부담감을 줄이거나 원만한 인간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에게 뛰어난 화용적 능력이 요구된다. 그러나 중국인 학습자들은 화용적 교육을 따로 받지 못한 채 문법적 지식에만 의존하고 발화하여 화용적 실패를 초래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한국어교육 연구 분야에서 그간 금지 화행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아 특정 학습자 집단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방안 연구 또한 미흡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이 한국어 금지 화행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중국인 학습자들을 위한 화행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고의 논의의 흐름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을 기술하였고 연구 문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어서 금지 화행 및 화용적 실패 두 가지 측면에서 선행 연구를 검토함으로써 기존 연구의 문제점을 밝혔고 본 연구가 어떠한 점에서 다른 연구와 차별화되는지 논의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방법 및 대상을 제시하였으며, 본 연구는 주관식 서면 담화완성테스트(DCT)를 채택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한국인 모어 화자, 중국인 모어 화자 세 집단에서 각각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화행에 관한 이론, 공손 원리에 관한 이론, 화용적 실패에 관한 이론 세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서 본 연구의 논의를 뒷받침해 주는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서 본 연구에서 다루게 될 금지 화행의 범위, 금지 전략 및 표현의 유형을 설명하였으며, 전략 사용 양상 분석 및 화용적 실패 분석에 적용할 두 개의 분석틀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우선적으로 DCT의 금지 상황 설계를 위한 변인을 설정하였다. 예비 실험을 통해서 예비 문항을 보완·수정하여 본 조사의 문항을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이어서 금지 화행 전략 양상 분석 단계에서는 집단별 전체 분석, 변인에 따른 분석, 상황별 분석 세 가지로 나누어서 세 집단의 주화행 및 보조화행 전략 사용 양상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중에 변인에 따른 분석은 또 다시 기능, 사회적 거리, 상대적 힘으로 세분화되어 이루어졌다. 그 결과 주화행의 경우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이 대안 제시하기 전략을 가장 선호한 반면에 학습자 집단이 명시적 금지하기를 제일 빈번하게 사용하였다. 다수의 개별 전략의 사용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보조화행의 경우 한국인 모어 화자 집단보다 학습자 집단이 보조적인 전략을 더 많이 사용함으로써 금지 화행을 조심스럽게 수행하는 경향이 드러났다. 금지 화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에 상대적 힘이 학습자 집단의 전략 선택에 가장 크게 작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화용적 실패에 대한 분석은 크게 화용언어적 실패와 사회화용적 실패 두 가지로 분류하며 화용적 실패를 유발한 구체적인 요인에 따라 세부적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가 화용언어적 및 사회화용적 두 측면 모두에서 곤란을 겪는 상황임이 밝혀졌는데, 특히 화용언어적 요소, 특히 통사적 완화장치의 부적절한 사용은 금지 화행에서의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를 유발한 주요인임이 조사되었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습자가 금지 화행 수행 과정에 드러난 여러 가지 문제점에 초점을 맞춰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적절한 금지 화행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교육 내용은 각종 변인에 따른 금지 상황 판단, 한국어 금지 화행 전략의 체계적 이해, 한국어 금지 표현의 등급화 학습, 언어적 완화장치와 전략의 결합 사용 등 네 가지를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화용적 능력을 효과적으로 신장시킬 수 있는 교육 방법인 역할극을 활용하여 구체적인 수업 모형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결과를 다시 정리하여 요약하였고 본 연구가 가지고 있는 교육적 의의와 후속 연구에 관해서 제언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라 요약하자면 본 연구는 한국어 금지 화행 전략 사용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와 한국인 모어 화자 두 집단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냈으며 금지 화행 수행 시 중국인 학습자가 범하는 화용적 실패 양상이 어떠한지를 확인하였다. 앞에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금지 화행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금지 화행의 주화행 및 보조화행의 전반에 걸쳐 학습자의 전략 사용 양상을 전체적, 변인별, 상황별로 면밀하게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금지 화행에서 학습자의 화용적 실패 양상에 대한 고찰을 처음으로 시도하였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구체적인 금지 화행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는 데에서 가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 teaching plan about prohibition speech ac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by identifying their interlanguage features.
In Chapter I, first the author clarified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presented the research questions in detail. Subsequentl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prohibition speech act and pragmatic failure, this study revealed the problems of previous studies. Finally, the author clarifie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The author used a short-answer written Discourse Completion Test(DCT) to collect 150 questionnaires from three groups of Chinese Korean learners,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native speakers. Then the author compared Chinese Korean learners Korean performances with Korean native speakers and Chinese native speakers.
In Chapter II, the theoretical background supporting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was argued from three aspects that were the theory of speech act, the theory of politeness principle, and the theory of pragmatic failure. Through this, the author explained the type of prohibition strategies and expressions that this study concentrated on and set the analysis frameworks of prohibition speech act and pragmatic failure.
In Chapter III, first of all, variables for designing prohibition situations of DCT were built, and then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supplemented and revised through preliminary experiments to finally confirm the questions of this study. Subsequently, the section of analyzing prohibition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three parts in detail. It contains the overall analysis for each group, the analysis according to variables, and the analysis for each situation. Among them,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variables was again subdivided into function, social distance, and relative force. As a result, in the case of head act, Korean native speakers preferred the strategy of 'proposing alternatives' the most, while Chinese Korean learners used 'explicit prohibition' the most frequently.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use of many individual strategies. In the case of adjunct to head act, it was reveal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tended to carefully perform the prohibition speech act by using more auxiliary strategies than Korean native speakers. Among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prohibition speech act, it was confirmed that 'relative force' played the greatest role in the choice of prohibition strategies for Chinese Korean learners. The analysis of pragmatic failure was largely classified into two parts that were pragmalinguistic failure and sociopragmatic failure, and then proceeded in detail according to specific factors that caused pragmatic failure. As a result, it was investigated that Chinese Korean learners were struggling in both terms of pragmalinguistic use and sociopragmatic use, and the improper use of pragmalinguistic elements, especially syntactic mitigation devices, was the main factor that caused Chinese Korean learners' pragmatic failure in prohibition speech act.
Chapter IV, based on the discussion(the problems reveal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prohibition speech act) in Chapter Ⅲ, the author set the goal of prohibition speech act education for Chinese Korean learners and suggested educational contents in four ways that were the proper judgement of contexts based on variables, systematic understanding of Korean prohibition strategies, grading learning of Korean prohibition expressions, combined use of linguistic mitigation devices and prohibition strategies. In addition, the author presented a specific class model using role-play, and an educational method that could effectively enhance Chinese Korean learners' pragmatic abilities.
In Chapter V, the author summarized the results an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thoroughly clarifies Chinese Korean learners performance of prohibition speech act. And the value can be found that it attempts to analyze Chinese Korean learners pragmatic failure in prohibition speech act for the first time and prepares a specific education plan on prohibition speech act for Chinese Korean learner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52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113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