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판화 제작 과정에서 미세한 차이를 드러내기 : Revealing Subtle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Printmaking: based on my mezzotint works
나의 메조틴트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우진

Advisor
임자혁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메조틴트판화 제작 과정미세한 감각작은 차이어둠서서히 밝아지는 이미지연속 장면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서양화과, 2022.2. 임자혁.
Abstract
Among the many important values of art, I put importance on the joy of touching, feeling, and drawing with my hands. I have thought that the joy of printmaking starts from tiny feelings with the fingertips, it became an opportunity to study the technical aspects of printmaking in my university years, and to express exactly what I had in mind without any error. Thu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is the meaning behind the importance of hands in the printmaking process and how it is expressed in works.
Without thinking that the technique is one of many options that depend on the image, I always use the mezzotint technique to express any images. Repeating the technique seems to be for expression and skill training, but I want to observe the use of the hands and feel the material properties delicately. As the mezzotint technique starts from engraving dense dots on a flat plate, it requires one to focus more deeply on the minute stimulation of the hands.
The attitude of being immersed in small parts in the process of the work takes an important part in looking at things in everyday life. The reason that ones eyes stay on a specific thing before bringing it into expression is from my state of mind and necessarily engaging with it. Interesting objects are everyday scenes but if I do not pay attention to them, I cannot see them. I get the subject matter of my work by looking closely at small and trivial things that I can't usually see.
I choose a dark tone for the overall tone in order not to see the inside clearly even if it is closely observed. The mezzotint technique differs from many printmaking techniques, which express darkness in the process of making a plate and printing it on paper. Differences in the way images are created lead to differences in expression. In mezzotint, ink is put into densely engraved dots and then printed with strong pressure, so the ink seeps into the paper. At this time, the black dyed on the paper seems to be indelible and looks like a dark space with depth. The final work is created in consecutive scenes with the printmaking process of mezzotint technique that gradually becomes lighter as it is printed several times. Since only subtle differences are expressed in multiple images, it will be difficult to recognize small differences between scenes unless you look carefully and slowly.
What I have learned from the research based on the completed work in graduate school is how the repetition of the technique does not end at expressing something skillfully. By doing this research, I discovered what kind of attitude was created in the background from my interest in the technique, and it became opportunity to look at how the viewpoint on my work is revealed.
나는 미술의 여러 중요한 가치 중에서 손으로 직접 무언가를 만지고 느끼며 그려 나가는 즐거움을 으뜸으로 여긴다. 손끝에 느껴지는 미세한 촉감을 감지하는 것에서부터 그리기의 즐거움이 시작된다고 여겨온 만큼, 나는 대학 시절부터 판화의 기술적 측면을 탐구하며 그리고자 하는 이미지를 오차 없이 표현해내는 것에 흥미를 느껴왔다. 본 연구는 판화의 제작 과정에서 손의 움직임을 중요하게 여기게 된 배경에 어떤 의미가 있는지, 또 작품에서 어떤 형태로 표현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나는 기법을 그리는 이미지에 따라 결정하는 여러 선택지 중 하나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어떤 이미지를 그리든 메조틴트 기법으로 표현한다. 기법을 거듭 반복하는 것이 표현의 능숙함이나 기술적인 훈련에 목적을 두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나의 관심사는 손의 쓰임을 관찰하고, 재료의 물성을 섬세하게 느끼는 것에 있다. 메조틴트는 평평한 동판에 조밀한 점을 새기는 것에서부터 작업이 시작되기 때문에, 손의 미세한 자극에 한층 내밀하게 집중하여야 하는 표현 기법이다.
작업의 과정에서 세밀한 부분에 몰입하는 태도는 일상에서 어떤 대상을 마주할 때도 주요하게 작용한다. 표현에 이르기까지 선택할 수 있는 많은 소재 중에 하필이면 그 대상에 눈이 머무는 것은 필연적으로 나의 내면의 상태가 시선에 관여했다고 볼 수 있다. 내가 주로 관심을 두는 대상은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쉽사리 볼 수 없는 일상의 장면이다. 나는 평소라면 보이지 않는 작고 소소한 것을 섬세하게 관찰하면서 작업의 소재를 얻는다.
나의 작업은 가까이에서 바라보지 않으면 그 안을 쉽사리 파악할 수 없도록 대체로 어둡게 표현되어 있다. 메조틴트 기법은 어둠을 표현하는 판화의 여러 기법과 판을 공정하고, 종이로 찍어내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다. 이미지를 제작하는 방식의 차이는 표현의 차이로 이어진다. 메조틴트는 촘촘히 새겨진 요철에 괴인 잉크를 강한 압력으로 찍어내기 때문에, 잉크가 종이의 안까지 속속히 스며들게 된다. 이때 종이에 스며든 검정은 걷어낼 수 없는 듯한 느낌이 강조되며, 깊이를 압축한 어두운 공간처럼 느껴진다. 나는 판을 반복해서 찍어낼 수 있는 판화의 특성을 활용하여 작업의 과정에 있는 어둠을 서서히 밝히며 여러 장의 이미지로 결과물을 만들어낸다. 복수로 제작한 이미지는 작은 차이만이 표현되어 있어서 주의를 기울여 천천히 바라보지 않으면 장면끼리의 미세한 변화를 인식하기에 어려움이 따른다.
대학원에서 진행한 작업을 토대로 연구를 진행해 나가면서 알게 된 사실은 기법을 고정해서 다루는 것이 단지 무언가를 능숙하게 표현하기 위한 훈련에만 그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나는 본 연구를 통해 기법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출발한 나의 배경에 어떤 태도가 형성되고 있었는지 알아볼 수 있었으며, 작품의 이면에 있는 관점이 어떤 형태로 표현되고 있었는지 알아볼 수 있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36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07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