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일제강점기 도시성곽 성문의 역할과 활용 방식 변화 : Change in the Role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Gate of City Wall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태완

Advisor
전봉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일제강점기도시성곽성문문루전용타자화관광문화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 8. 전봉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changes in the role and application method of the gate, which was the entrance to the city wall,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to find out the process in which the meaning of the gate architecture left in the city was formed. The gate was a fortress facility that from the fortress built for military purposes and controlled access to and played a role in defense and command.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Eup-s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fortress emphasized not only military but also administrative purposes, and it became a basic framework for forming a city. In the city wall formed in this way, the gate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the main boulevard, providing a space for governance and communication, and sometimes serving as a ceremonial space. In the pre-modern city wall, the gate was a multipurpose architecture with practicality and symbolism.
However, the role of the pre-modern gate began to collapse with the deconstructing of the fortress facilities led by Japan. As soon as Japan deposed King Gojong and invaded its national sovereignty, it destroyed the walls that blocked the old and new towns. The gate where the wall disappeared could not function properly, and it was only an obstacle to the expansion of roads and cities. Because of this, many gates were deconstructed along with the walls. However, some of the gates were left behind even though the walls were destroyed. First, Sekino Tadashi(關野貞) classified the grades of old buildings through a historical survey, and accordingly, the high-grade gates could be left without being deconstructed. In addition, even if the gates were not included in the historical survey, some cities tended to leave the southern gates with the highest rank among the gates. On the contrary, the gates to the north, which were difficult to deconstruct and did not interfere with the expansion of the cuty, could also remain. In this way, the gate could remain in symbolic meaning, architectural value, and economic reasons, and it is also worth noting the value of the use of the gate for public purposes.
The process of changing of gat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s interpreted as a process of otherization by Japan. As a means to emphasize the superiority of the nation, the strategy of otherization, which separates the culture of the ruled nation into inferior hitters, is confirmed during the changing of the gate. Thi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early and late colonial periods, and the pattern of otherization differs depending on the period.
First, the situation of the gates of the early colonial period can be largely divided into deconstruction and remaining situations. The aspects of deconstruction appear as gates that are deconstructed along with the walls and gates that are deconstructed after the deconstruction of the walls. This deconstruction patterns show that if the architectural value of the gate is not high or a new role is not obtained, it is deconstructed due to road renovation and lack of finance. On the other hand, Japan showed a passive conservation attitude toward the remaining gates. Most of the gates were maintained in the form of neglect, and among them, gates used for new purposes appeared. The gate was used for administrative facilities, exhibition and lecture facilities, auxiliary facilities, and decorative purposes through accessibility, symbolism, and spatiality. And the method of using the gate pavilion space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ity and use, and accordingly, architectural modifications were made. The direction of the otherization of the early colonial period showed an incomplete form. Along with its use as a building symbolizing Joseon, there was a case of focusing on space utilization, indicating that the early colonial period was a time when otherization began and a transitional situation.
The role of these gates gradually began to change in different ways in the late colonial period. First, as the road was expanded, the arrangement of the gate was found to be the case where the fortress was left, the case where the road was bypassed, and the case of creating a transportation island, and this separated the area of the gate and isolated it from the urban organization. In addition, as the system of state-run construction shifted from the center to the provinces, new administrative facilities began to be built, and the need to use the gate for public purposes disappeared. And along with the tourism promotion policy, the gate was converted into tourism and used as an exhibition with pre-modern representation. Eventually, with the 「Law for Conservation of Joseon Treasure, Historic Site, Scenic Beauty & Natural Monument (朝鮮寶物古跡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 the role of gate was established as a cultural property, and this transformation of gate in the late colonial period shows that complete otherization took place. The gate as a cultural property that has lost its function became a result of the otherization,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urban organization and left only the symbolism of Joseon. This situation of the gates and the cultural heritage system influenced until after liberation. South and North Korea maintained the effect of the 「Law for Conservation of Joseon Treasure, Historic Site, Scenic Beauty & Natural Monument (朝鮮寶物古跡名勝天然記念物保存令)」, and traces of it are confirmed in the designation, repair, and restoration projects of cultural properties. Today, the restoration of the gate and the fortress that disappeared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is drawing attention, and the need to consider the process and meaning of the gate change for proper restoration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rocess through which pre-modern architecture lost their functional roles and were symbolized in the gat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Until now, most of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gate have been concentrated in the Joseon Dynasty, and the changes in the gate of Japanese colonial period have been dealt with fragmentedly in other studies such as fortresses and policies, so they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e changes in the gate itself.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fill the insufficient part of the study of gate, and through this, a new perspective will be presented to understand the gate left in today's city.
본 연구는 성곽의 출입구였던 성문 건축이 일제강점기 동안 겪었던 역할과 활용 방식의 변화에 집중하여 고찰하고, 현재 도시에 남겨진 성문 건축의 의미가 형성된 과정을 밝혀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문은 군사적 목적으로 축성된 성곽에서 출입을 통제하고, 방어와 지휘의 역할을 담당한 성곽시설이었다. 하지만 조선 시대 읍성의 발달과 함께 성곽은 군사적 목적뿐만 아니라 행정적 목적 또한 강조되었고, 도시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틀이 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도시성곽에서 성문은 주요 대로들의 기점이 되었으며, 통치와 소통의 공간을 제공하고 때때로 의례 공간의 역할까지 수행하였다. 전근대 도시성곽에서 성문은 실용성과 상징성을 가진 다목적 건축이었다.
하지만 전근대 성문의 역할은 일본에 의해 주도된 성곽시설의 해체와 함께 무너지기 시작했다. 일본은 고종을 폐위시키고 국권을 침탈하자마자 구시가지와 신시가지를 가로막던 성벽에 대한 훼철을 진행하였다. 벽이 사라진 문은 제 역할을 할 수 없었고, 도로와 도시 확장에 방해되는 장애물일 뿐이었다. 때문에 많은 성문이 성벽과 함께 철거되었다. 하지만 일부 성문들은 성벽이 훼철되었음에도 남겨지는 경우가 있었다. 먼저 세키노 타다시는 고적 조사를 통해 고건축물들에 대한 등급을 분류하였고, 이에 높은 등급으로 평가된 성문들이 철거되지 않고 남겨질 수 있었다. 또한 고적 조사에 포함된 성문이 아니더라도 일부 도시에서는 성문 중 위계가 가장 높은 남문들이 남겨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반대로 철거 자체가 어렵고, 도시 확장에 큰 방해가 안되는 북쪽의 문들도 잔존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성문은 상징적 의미, 건축적 가치, 경제적 이유 등으로 잔존할 수 있었으며, 여기에 성문을 공공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활용의 가치 또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제강점기 성문 건축의 변화 과정은 일본에 의한 타자화의 과정으로 해석된다. 자국의 우월성을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지배 국가의 문화를 열등한 타자로 분리하는 타자화 전략은 성문 건축의 전개 과정에서 확인된다. 이는 크게 식민전기와 후기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으며, 시기에 따라 타자화의 양상이 차이를 보인다.
먼저 식민전기 성문의 상황은 크게 철거와 잔존의 상황으로 나눌 수 있다. 철거의 양상은 성벽과 함께 철거되는 성문들과 성벽 훼철 이후에 철거되는 성문들로 나타난다. 이러한 철거 양상들은 성문의 건축적 가치가 높지 않거나 새로운 역할을 얻지 못하면, 도로 개수와 재정 부족의 이유로 철거되는 상황을 보여준다. 한편 잔존한 성문들에 대해서 일본은 소극적인 보존 태도를 보였다. 대부분의 성문들은 방치 형태의 유지만 이루어졌으며, 이 가운데 새로운 목적으로 활용되는 성문들이 나타났다. 성문은 접근성, 상징성, 공간성을 통해 관립시설, 전시 및 강연 시설, 부속시설 및 장식적인 용도로 활용되었다. 또한 도시와 활용 용도에 따라 문루 공간을 사용하는 방식도 차이를 보였는데, 이에 따라 건축적인 변형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식민전기의 타자화 방향은 불완전한 형태를 보였다. 조선을 상징하는 건축물로의 활용과 함께 공간 활용에 집중한 사례가 나타났으며 이는 식민전기가 타자화가 시작되는 시기이자 과도기적인 상황이었음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성문의 역할은 식민후기에 들어서며 점차 다른 방식으로 전환되기 시작하였다. 먼저 도로가 확장되어감에 따라 성문의 배치는 크게 성곽이 남겨진 경우, 도로가 우회하는 경우, 교통섬을 조성하는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성문의 영역을 분리하고 도시 조직에서 고립시켰다. 또한 관영 공사의 체계가 중앙에서 지방으로 넘어가며 관립시설들이 신축되기 시작했고, 성문을 공영 목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사라지게 만들었다. 여기에 관광 진흥정책과 함께 성문이 관광화되며 전근대적 대표성을 가진 전시물로 사용되었다. 결국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의 제정과 함께 문화재로써 성문 건축의 역할이 확립되었고, 이러한 식민후기 성문 건축의 전환은 완전한 타자화가 이루어졌음을 보여준다. 기능을 상실한 문화재로써 성문 건축은 도시 조직과 분리되어 조선의 상징성만 남겨진 타자화의 결과물이 되었다. 이러한 성문의 상황과 문화재 제도는 해방 이후까지 영향을 주었다. 남한과 북한은 「보존령」의 효력을 유지하였고, 문화재 지정, 보수·복원 사업 등에서 그 흔적이 확인된다. 오늘날에는 일제강점기 동안 사라진 성문과 성곽에 대한 복원까지 주목되고 있으며, 올바른 복원을 위해 성문의 변화 과정과 의미를 고찰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제강점기 성문 건축의 의미는 전근대의 건축물이 어떤 과정을 통해 기능적 역할을 상실하고 상징화되었는지를 밝히는 것에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성문에 대한 선행 연구는 대부분 조선 시대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제강점기 성문의 변화는 성곽이나 정책 등 다른 주제의 연구에서 파편적으로 다루어져 성문 자체의 변화를 주목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성문 건축 연구의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이를 통해 오늘날 도시에 남겨진 성문을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할 것을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60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1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