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전통목조건축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에 관한 기능주의적 접근 : Functionalist Approaches on Typology of Daegong and Dongjajoo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다은

Advisor
전봉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전통목조건축대공동자주지붕가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2. 8. 전봉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discuss the typology and historical changes of 'Daegong(臺工)' and 'Dongjajoo(童子柱)' from a functionalist perspective. Daegong and Dongjajoo are the only vertical load bearing members among the main members of the roof frame structure. Therefore, studies on Daegong and Dongjajoo are essential to understand the roof frame structure of traditional wooden architecture. However, Daegong and Dongjajoo have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precedent researches on traditional Korean roof frame structure. Thereby, not only clear criteria for defining the term were absent but also the system for classifying types was not clearly organized. Consequently, previous researchers used the term differently.
In this study, Daegong and Dongjajoo were distinguished by their function and their types were classified based on their structural functions. By reviewing case studies of 182 buildings,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s and historical change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Furthermore, the application of types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roof frame structure and indoor space was discussed.
When functions define the term, Daegong is defined as a member supporting only purlin, and Dongjajoo is defined as a member supporting the joint of the beam and purlin. The functions of Daegong a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transferring the vertical load, ⓑ holding the purlin, ⓒ reinforcing the bottom in the beam direction, ⓓ reinforcing the joinery in the purlin direction. And the functions of Dongjajoo are ⓐ, ⓒ, ⓓ, and ⓔ reinforcing the top in the beam direction. Then, with detailed functions, Daegong and Dongjajoo's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ence and composition of each function.
In the early cases, similar types of Daegong and Dongjajoo are combined, and even a decorative motif is shared.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application ratio of the stacking-type Daegong and column-type Dongjajoo combination has increased. Dongjajoo is a member that functionally has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of Gongpo and Daegong. Due to this intermediate nature, the type of Dongjajoo goes through more experiments than Daegong, and as a result, it develops into two flows: stacking-types and column-types.
The historical changes of the Daegong types can be seen in the function of holding the purlin. In early cases, the Daegong was holding the purlin with the help of auxiliary members such as Soseuljae and Ungong. However, since the 17th century, the Daegongs without auxiliary members became common. The most common type is Unified Pan Daegong, which can be seen as a characteristic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addition, a column-type Daegong was also developed by simplifying the members. Finally, the Seropan Daegong, a type of simplified column-type Daegong using the vertical plate, became common in extinguishing the auxiliary members holding the purlin.
Dongjajoo is closely related to the roof frame compared to Daegong. Therefore, the roof frame integrated type is classified separately by the method of performing the function of transferring vertical load, and it is mostly found in earlier cases. In addition, Dongjajoo is mostly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slope that receives the most load from the roof, so a column-type configuration that can respond more effectively to axial forces is preferred. The column-type Dongjajoo using Boaji to reinforce the upper joint is commonly used. Unlike Daegong, Dongjajoo develops into two flows: column-type and stacking-type. The stacking-type Dongjajoo was commonly used as a part of interior decoration particularly in ceilings. As a result, the hierarchy of Daegong and Dongjajoo changed.
The types of Daegong and Dongjajoo are selected and u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the roof frame structure and the location used. In buildings with five purlins, the type of Dongjajoo varies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of inner columns. The pattern in which the type is selected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low of load, and design factors seem to have a more significant influence. In buildings with seven or more purlins, the roof frame integrated Dongjajoo is used when two adjacent Dongjajoo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side part of Paljak and Ujingak roof frame is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ly, the types of vertical members in the side part of the roof frame also vary. In the types of vertical members supporting side-purlin(Oegi-dori), a similar pattern is observed as the type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detailed functions in Daegong and Dongjajoo
The other characteristics of roof frame structure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can also be found by comparing it to that of the neighboring countries of East Asia, which share the structural principles. In the Chinese and Japanese architecture of the early period, the vertical members of roof frame structure are composed by combining the unit members with detailed functions. As the building became larger in the latter period, the vertical members of the roof frame are located in a place that is difficult to see from inner space. Accordingly, simple pillars are mainly used. In addition, a double-layered roof is used to reduce the weight of the roof, in which the vertical members inside the double-layered roof are constructed using the most simplified pillars.
However, the roof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s heavier than that of Japanese and Chinese architecture. As a result, column-type Dongjajoo was more preferred under the mid-purlin, where the load of the roof is concentrated. On the other hand, the harsh economic and political conditions in the Joseon dynasty prevente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scale, and decoration of architecture. As a result, Unified Pan Daegong became the most common type. Despite such conditions, diverse experiments of Dongjajoo exposed in inner space can still be found in several Buddhist temples in the period.
이 연구는 대공과 동자주를 기능주의적 관점으로 분석함으로써 지붕가구를 이루는 수직부재의 유형과 시대적 변천에 대해 종합적으로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둥-보-도리가 규모를 줄여가며 적층되는 구성을 기본으로 하는 동아시아 전통목조건축에서 지붕가구의 가장 낮은 부분인 대들보부터 가장 높은 종도리까지의 높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직부재의 사용이 불가피하고, 이러한 배경에서 대공과 동자주가 사용된다. 대공과 동자주는 지붕가구를 이루는 부재 중 유일한 수직부재이며, 주요 구조부재 중 하나이다. 대공은 규모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건축물에서, 동자주는 5량가 이상의 건축물에서 반드시 사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대공과 동자주에 대한 이해는 전통목조건축의 지붕가구를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 지붕가구에 관한 연구에서 대공과 동자주는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으며, 대부분 특정 시기 또는 특정 유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배경에서 연구자마다 용어를 다르게 정의하여 사용하거나, 유형을 분류함에 있어서도 명확한 기준과 체계가 제시되지 못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두 부재를 기능을 중심으로 구분하고, 구조적 기능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류하여 시대적 변천과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국가지정문화재 목조건축물 182동에 대입하여 유형별 특징과 시대적 분포, 변화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지붕가구의 구성, 실내공간의 구성과 관련하여 유형이 사용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기능을 중심으로 용어를 정의하였을 때, 대공은 도리만을 받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 동자주는 보와 도리의 결구부를 받치는 기능을 가지는 부재로 정의된다. 이를 다시 세부 기능으로 나누어 살펴보면, 대공의 기능은 ⓐ 수직하중의 전달, ⓑ 도리 구름방지, ⓒ 하부 보강, ⓓ 도리방향 결구보강의 4가지로 세분된다. 이 중 기능 ⓐ, ⓒ, ⓓ는 동자주에서도 확인되는 세부 기능이고, 동자주에는 기능ⓑ를 대신하여 ⓔ 보방향 상부 보강 기능이 적용된다. 이렇게 분류한 세부 기능을 중심으로 각 기능의 유무와 구성방식에 의해 대공과 동자주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대상 건축물 사례에 대입하였을 때 대공에서는 11개의 유형이, 동자주에서는 1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동자주와 대공의 유형 조합을 분석하였을 때, 초기의 사례에서는 대공과 동자주가 매우 유사하게 구성되며 장식적 모티브까지도 공유하는 사례가 발견된다. 하지만 17세기 이후로는 적층식 대공과 기둥식 동자주 조합의 사용 비율이 높아지며, 동자주가 점차 기둥 상부 공포와 유사하게 구성되는 모습을 보인다. 동자주는 기능적으로 기둥 상부 공포와 대공의 중간적 성격을 가지는 부재이다. 상부의 하중을 모아서 하부로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공포와 닮았고, 보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기 때문에 하중을 다시 분산하여 전달해야 한다는 점에서는 대공과 닮아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중간적 성격으로 인해 동자주의 유형은 대공에 비해 많은 실험을 거치고, 결과적으로 기둥식과 적층식 두 가지의 흐름으로 전개된다.
대공 유형의 시대적 특징은 도리의 구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통해 알 수 있다. 솟을재와 운공 등의 보조재를 사용하여 이 기능을 수행하는 유형에 초기 사례가 분포하고, 17세기 이후로는 보조재 없이 구성하는 유형의 보편화가 확인된다. 대공의 유형 중 한국건축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은 일체형 판대공으로, 이는 중국, 일본에서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유형이라는 점에서 한국건축이 가지는 특징임을 알 수 있다. 기둥식 대공 역시 부재가 간소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었는데, 도리의 구름을 방지하는 보조재가 소멸하는 과정에서 판재를 세로로 세워서 사용한 유형이 보편화되었다. 이 역시 도리의 구름방지 기능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유형이라는 점에서, 대공에서 도리의 구름을 방지하는 기능을 해결하는 것은 다른 기능에 비해 중요한 과제로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자주는 보와 도리 양방향 부재를 지지하고 있어서, 대공에 비해 주변 지붕틀과 긴밀하게 관계를 맺는다. 따라서 기능ⓐ(수직하중 전달)을 수행하는 방식에 의해 지붕틀결합식 유형이 별도로 분류되고, 이 유형에는 주로 초기의 사례가 분포한다. 또한, 동자주는 주로 지붕의 하중을 가장 많이 받는 경사면의 중간부에 위치하므로, 축력과 횡력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둥식 구성이 선호되는 경향을 보인다. 그중 상부 결구부를 보강하기 위해 보아지를 사용한 기둥식 동자주가 가장 보편적으로 나타난다. 대공에서 유형의 집중화가 뚜렷하게 관찰되는 것과 달리, 동자주는 적층식 유형에도 다수의 사례가 분포하면서 기둥식과 적층식 유형의 두 가지 흐름으로 전개된다. 적층식 동자주는 주로 화려한 실내의장을 만드는 데 활용되었으며, 특히 층급천장 또는 빗천장의 사용은 대공과 동자주의 위상변화를 가져왔다. 층급천장이나 빗천장이 구성될 때에는 동자주가 천장면의 윤곽을 형성하는 기준점이자 수장재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적 틀로서 활용된다.

대공과 동자주는 전체 지붕틀의 구성과 연관되며 가구의 구성과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다르게 선택되고 사용된다. 5량가의 건축물에서는 내주의 결구유형에 따라 동자주의 유형이 달라진다. 유형이 선택되는 양상은 하중의 흐름과 직접적으로 관계를 갖지는 않으며, 의장적 요인이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7량가 이상의 건축물에서는 보와 도리가 형성하는 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인접한 두 동자주가 서로 연결될 경우 지붕틀결합식 유형이 사용된다. 팔작지붕이나 우진각지붕을 가진 건축물의 경우, 지붕의 측면을 형성하는 가구에도 대공 또는 동자주가 사용된다. 팔작지붕과 우진각지붕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가구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수직부재의 사용 여부 또는 유형의 선택 역시 다양하게 나타난다. 외기도리를 받치는 수직부재가 사용되는 사례들에 적용된 수직부재의 유형을 살펴보았을 때, 대공과 동자주에서 세부 기능에 따라 유형이 선택되는 것과 유사한 양상이 관찰된다.

중국과 일본 건축물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국에 실물이 남아있지 않은 12세기 이전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고, 한국건축에서 지붕가구의 수직부재를 구성하는 방식이 적층식 목구조의 원리를 공유하는 동아시아 주변국과 비교하였을 때 어떤 특징을 가지는지 살필 수 있다. 중국과 일본의 건축에서 초기의 지붕가구 수직부재는 타봉과 첨차로 대표되는 단위부재의 조합으로 이루어지고, 차수와 탁각 등의 사재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후기로 갈수록 건물이 대형화되면서 지붕틀의 수직부재가 실내에서 잘 보이지 않는 곳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에 따라 단순한 기둥이 주로 사용된다. 또한, 지붕가구를 경량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중지붕을 형성하여 이중지붕 내부에 위치한 부재는 가장 간소화된 유형, 즉 짧은 기둥 부재만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이와 다르게 한국건축에서는 계속해서 무거운 지붕을 고수했고, 그 결과 지붕가구의 하중이 집중되는 중도리 하부에 위치한 동자주의 유형으로는 기둥식이 선호되었다. 한편으로 한국건축의 지붕가구는 ㄷ자 프레임이 적층된 구성을 유지하였고, 조선시대 건축의 상황이 열악해짐에 따라 규모나 기술, 의장의 측면에서 많은 시도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부재 수급이 용이하고 시공이 간편한 일체형 판대공이 보편화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실내공간에 드러나는 동자주에 대해서는 일부 불교건축물을 중심으로 지붕틀의 수직부재 구성방식에 대한 여러 시도와 실험이 이루어졌다.

끝으로, 기능에 의해 구분하였던 대공과 동자주의 용어와 관련하여 다시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과 일본건축에서 지붕가구 수직부재에 사용하는 용어를 검토하였고, 한국건축에서 대공과 동자주의 용어가 혼동되어 사용된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동자주(童子柱)의 경우, 한자어를 풀이하였을 때 짧은 기둥을 뜻하기 때문에 특정 형태를 내포한다는 점에서 다른 형태를 가진 부재를 포괄하기 어렵다고 판단되었다. 반면, 대공(臺工)은 받치는 부재라는 의미로 기능을 나타내는 용어이다. 따라서, 선행연구자들이 대공을 광의로 정의한 것과 같이 지붕가구를 이루는 수직부재 모두를 대공으로 정의하고, 이를 사용되는 위치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현재로서 가장 혼란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 판단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60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8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