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평면에 표현된 볼륨을 활용한 금속기물 제작 연구 : A Study on Metalware Production Utilizing Volume Expressed on Two-dimensional Form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진희

Advisor
백경찬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평면입체볼륨다이포밍금속판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공예전공, 2022. 8. 백경찬.
Abstract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metalware that utilizes both two-dimensions and three-dimensions as its formative medium. Both flat and solid forms of expression have been dealt with in various forms of art across the world for centuries. Such examples include Masaccio, who strived to recreate a convincing replica of the three dimensional world onto his paintings, Rauschenberg who pushed the boundaries of two dimensional and three dimensional art with his combination of painting and everyday objects, and Kapoor whos work incorporates both two and three dimensional spaces.

Of the various two and three dimensional techniques, the researcher focuses on forms in which both dimensions are combined. The formal aspects of both dimensions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this study are minimalist, as seen in Judds use of bold simplified forms. The combination of the distinct forms allows for a unprecedented approach to metal-ware that is both modern and unique. The employment of both dimensions is challenging in itself, as previous metal works have employed only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oretical and technical studies the researcher strives to discover a way of harmoniously incorporating both dimensions on metal-ware, which is a particularly challenging field of metal work to fabricate two-dimensional forms onto.

Correlation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 in this study is referenced from Western art history. Emergence of perspective in paintings allowed artists to recreate the three dimensional on to a flat surface. The late 19th century brought about changes in artistic styles, away from the traditional modes of painting focusing on realistic depictions of subjects, to eventually combining painting with solid forms. This study attempts to uncover possibility of co-existence in the realationship between two and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examples of modern art works after the 20th century that blurs the line between the two dimensions. Furthermore through the development of metal-ware incorporating both dimentional features, the researcher aims to reflect the complex formal dynamics in which the two dimensional becomes three dimensional and vice versa.

Die-forming refers to a widely employed way of sheet metal forming technique that uses dies in order to shape sheet metal three dimensionally. This technique has the advantage of easy mass production, compared to other sheet forming techniques. Due to its flat surface, the die allows sheet metal to preserve its even surface, and this particular attribute of die-forming was highly made use of in developing the metal-ware. This attmept is novel in that traditional die forming typically discards the outer parts of sheet metal that is secured with the die while external force pushes the main part of sheet metal into its desired voluminous shape. In this manner, it is possible to attain both flat and voluminous forms without separately fabricating the two and joining them.

The order in which this technique was conducted expands from the merging of simple die-formed parts of sheet metal into more complex applications. The researcher also puts an emphasis on the fundamental function of metal ware as a vessel. This implies a focus on not only figurative forms but also function, thus maintaining crafts identity as functional objects. Utilizing the inevitable but generally discarded remnants of die-formed sheets allows for an efficient way of fabricating metal ware with both two and three dimensional forms. Through the development of this novel technique, this study hopes to give impetus to further research on such craft work.
이 연구는 평면과 입체를 주된 조형 매체로 활용하여 두 개별적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제작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평면과 입체의 표현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회화, 조각, 공예, 디자인 등 다양한 예술 분야에서 다뤄졌다. 현실의 입체 공간을 평면으로 실감 나게 옮기려 노력했던 마사초(Masaccio), 평면 위에 입체물을 올려놓음으로써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무너뜨린 라우센버그(Robert Rauschenberg), 평면 한 가운데에 입체 공간을 만들어 두 요소를 결합한 아니쉬 카푸어(Anish Kapoor) 등 평면과 입체는 공간을 다루는 예술가들에게 오랜 탐구 주제였다.

연구자는 평면과 입체의 많은 표현 중에서도 이 두 요소가 결합 된 형태에 주목하였다. 과감한 생략으로 새로운 공간을 구성한 도날드 저드(Donald Judd)의 조형 사례처럼 평면과 입체의 단순한 요소들을 조합하여 이를 기본이 되는 조형 요소로 삼고 연구를 진행했다. 상반된 두 요소를 결합한 조형 작업을 통해 이전 금속기물 작업에서 볼 수 없었던 작품을 시도했다. 평소 평면 요소가 없는 둥근 형태의 기물 작업을 주로 해왔기에 입체와 평면을 함께 다루는 작업은 도전 과제였다. 이론연구와 기법연구를 통해 평면 표현이 까다로운 금속기물 작업에 적절한 결합법을 찾아 평면과 입체가 어색함 없이 잘 어우러진 공예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예술가들이 평면에 입체를 표현할 수 있게 되었던 원근법을 시작으로 예술 활동 속에서 평면과 입체의 관계는 끊임없이 변화했다. 19세기 후반부터는 사실적 묘사가 중점적인 전통적인 회화를 탈피하기 시작하더니 평면 회화에 점차 입체 요소의 결합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20세기 이후 현대미술에서 평면과 입체의 경계를 모호하게 다룬 작품 사례를 찾아 살펴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다양한 사례 속에서 평면과 입체의 조형적 관계에서 공존 가능성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두 조형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제작하여 평면이 입체가 되고 다시 입체가 평면이 되는 복합적인 조형 관계성을 작품에 담고자 하였다.

다이포밍(die forming)이란, 다이(die, 틀)를 이용하여 금속 판재를 입체적으로 성형하는 기법으로 금속공예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판금 성형기법 중 하나이다. 이 기법은 기존 판금 성형기법들에 비해 여러 개의 입체물을 쉽게 제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이포밍은 평평한 판형(板形)틀을 이용하기 때문에 판재의 고른 속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이 점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기물을 제작했다. 이러한 시도는 판재에 변형을 가하여 볼륨을 얻은 후에는 틀에 고정시켜 두었던 평면 부분은 버리고 입체 부분만 취하는 기존 다이포밍 기법의 새로운 시도이다. 이를 통해 입체와 평면을 각각 제작하며 접합하지 않고도 입체와 평면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작품 연구는 다이포밍 기법을 활용하여 판재 일부를 입체적으로 결합한 기본형태를 바탕으로 점차 응용 확장하는 순서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무언가를 담는다라는 기물의 근본적이고 기능적인 의미를 중시하며 작업한다. 공예적 사물로서 조형적 형태에만 집중하지 않고 기능을 함께 생각하여 오브제와 구분되는 사용성을 갖춘 사물이라는 공예적 정체성을 유지하고자 했다. 다이포밍에서 필연적으로 생겨나지만 대부분 잘라 버려지는 판 부분을 그대로 사용하여 평면과 입체를 동시에 얻음으로써 두 조형 요소가 공존하는 기물을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었다. 평면과 입체가 결합한 작품 제작을 목표로 기법을 개선하여 작업에 적용한 이 연구가 앞으로의 작품 연구에 중요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797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