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Meaning and Functio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유진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국어교육문법교육피동표현기능중심피동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2. 8. 구본관.
Abstract
문법 교육에서는 학습자가 언어 표현을 민감하게 인식하고,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언어 자원들을 부려 쓸 수 있는 언어 주체로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 특히 문법 요소는 간접적이고 미묘한 방식으로 담화 생산자의 의도를 드러내기에 모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한 문법 교육의 장에서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문법 요소 가운데 특히 피동 표현은 교육적 필요성이 높은 문법 요소로 꼽히고 있다. 피동 표현이 사태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선택적으로 드러내는 문법 기제이면서 다양한 담화 기능을 지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피동 표현은 문법 교육 현장에서 긴 기간에 걸쳐 형식 중심으로 가르쳐온 문법 요소로, 과거의 피동 표현 교육의 전통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이 체계를 갖추어 실질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피동 표현 교육 역시 학습자의 문법 능력과 국어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Ⅱ장에서는 피동 표현의 개념과 유형을 살핀 후, 인지 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피동 표현의 의미와 기능을 의사소통 요인에 따라 정리하였다. 또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분석하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의 피동 표현 교육의 문제점과 피동 표현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의 교육적 의의를 확보하였다.
Ⅲ장에서는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 내용 마련을 위하여 실제 학습자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140명의 중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학습자가 피동 표현이나 능동 표현을 선택하는 과제에서 피동 표현의 의미・기능을 파악하는 양상을 보임으로써,
그 결과 피동 표현의 기본적인 의미와 기능을 인지하지 못하는 답변에서 시작하여 피동 표현이 갖는 다양한 파생적인 기능 파악에 실패하거나 성공하는 양상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절반 이상의 학습자가 형식이 다른 피동 표현 간의 의미 차이를 파악하지 못하는 등의 학습자의 피동 표현 이해 정도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피동 표현의 의미와 기능을 인식하고, 탐구하는 교육 내용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교육적 접근의 방향성을 얻을 수 있었으며, 학습자 양상을 바탕으로 하여 피동 표현 교육에서의 제시해야 할 탐구 자료나 학습 내용의 위계화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Ⅲ장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LEA식 교수・학습 모형에서 도출한 교수・학습의 단계와 의의를 살려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의 실제와 적용 사례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담화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국면에서 피동 표현에 대한 지식을 능동적・전략적으로 활용하는, 다시 말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으로서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을 제안하고, 구체적인 피동 표현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이를 위해 실제 학습자가 피동 표현의 의미・기능을 파악하는 양상을 관찰하고 분석한 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의미・기능 중심의 피동 표현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Grammar education should help learners grow into language subjects who can sensitively recognize language expressions and utilize language resoursces that can effectively convey the meaning and intentions they want to express. Since the grammar element reveals the intention of the discourse producer in an indirect and subtle way,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this in grammar education for native speakers.
In many grammar elements, passive expression is considered a particularly necessary grammar element because of its various discourse functions. However, passive expression, contrary to the purpose of the curriculum, has been taught mainly in forms and rules by the influence of the tradi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arting with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is proposing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meaning and function which could increase actual communication ability.
For this purpose, chapter Ⅱ examined the mechanism by which the function and meaning of passive expression is expressed based on cognitive linguistics theory, and summarized the function and meaning of passive expression according to communication factors. Also,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were analy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to examine the problems of current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should proceed. Based on this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on passive expression centered on meaning and function was secured.
In chapter Ⅲ, as preliminary work to prepare the contents of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inquiry tasks were set up to examine the aspects of students selecting and understanding passive expressions. According to the survey and analysis results, there were answers that did not recognize the basic meaning and function of passive expression and answers the succeeded or failed to grasp various derivative meaning and functions of passive expression could also be examine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ore than half of the learners did not grasp the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different types of passive expressions, suggesting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ed educational content to recognize and explore the meaning and function of passive expression.
In chapter Ⅳ, based on the discussion up to chapter Ⅲ, this study establishes the aim of a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meaning and function and presented the direction and the actual structure of the educational contents derived from the LEA model.
This paper proposed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centered on meaning and function as the content of grammar education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ing communication skills by using the knowledge of passive expression strategically in the phase of tex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observed and analyzed learners perceptions of passive expressions through empirical research and organized contents of passive expression education that can be used in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field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08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8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