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소년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과 폭력비행 가해 간 관계 : Latent Classe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nd Adolescent Violent Delinquency
잠재계층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선영

Advisor
한윤선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청소년폭력비행부정적생애경험잠재계층분석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2022. 8. 한윤선.
Abstrac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ACEs) have detrimental effects on adolescents development and may lead to maladaptive outcomes. Violent delinquency, a type of maladaptive behavioral outcome, may seriously harm adolescents well-being. Although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western samples, much less work has investigated the typology of ACEs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examined how those types are related to violent risk-taking. To fill this gap,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distinct subtypes of ACEs using latent class analysis (LCA) and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between latent groups and violent delinquency. Using waves four (N=514) and thirteen (N=283) of the nationally-representative Korean Welfare Panel Study, the study assessed four types of maltreatment (physical/emotional/sexual abuse, and neglect) and four types of household dysfunction (family history of alcohol dependence, parental depressio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parental separation).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arge proportion of adolescents (80.86%) were found to have experienced at least one type of adversity. The rate of exposure to household members alcohol dependence reached nearly half of the sample (46.80%). Those results revealed that adversities are not rare among South Koren adolescents and cultural tolerance for alcohol consumption is relatively high in South Korea. Therefore, it may be understood that adolescents adverse experiences represent the features of Korean society being acceptable to alcohol consumption and its low awareness of problematic drinking.
Second, three distinct groups were identified and labeled as follows: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25.85%),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57.46%), and family dissolution (16.69%). The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was found to be exposed to both child maltreatment and family dysfunction. Specifically, adolescents in this group reported high rates of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victimization,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alcohol dependence of a household member. More than half of the adolescents were members of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Overall, this group showed a low rate of adversity experiences, but exposure to intimate partner violence and alcohol dependence of family member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The family dissolution group is distinct in that almost all adolescents are not living with at least one of their biological parents. In addition, this group had relatively high rates of emotional abuse, sexual abuse, neglect, and household members depression.
Third,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were at a higher risk of engaging in violent delinquency compared to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Amongst the overall high rate of adverse experiences, the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stands out concerning child maltreatment victimization. The differences in these two groups in terms of the possibility of engaging in violent delinquency may be explained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self-control theory, and cumulative risk hypothesis. Based on social learning theory, adolescents in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may model parents inappropriate behavior. Also, it is possible to interpret that the traumatic experience may disrupt the development of an adolescents self-control based on self-control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mulative risk hypothesis, this group is at higher risk of violent delinquency due to accumulated adverse experiences.
Fourth, the high abuse and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and family dissolution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isk of engaging in violent delinquency. Although the patterns of adversities in each group were disparate, the number of adversity experienced is high in both groups. Therefore, this result may be interpreted based on the cumulative risk hypothesis.
Fifth, the possibility of violent delinquency between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and family dissolution group was insignificant. The dysfunctional family environment group can be characterized by relatively low proportions adolescents with adverse experiences, yet the range of adversities is wide. Future studies may provide possible explanations for this result.
This study has several limitations. Study results are unable to explain the mechanisms between membership in the latent class and violence delinquency; not all dimensions of the original ACEs were used in the LCA due to limited availability of data. Despite these limitations, the current study extended the existing ACEs literature in South Korea and suggest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policy.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typologies of adverse experiences in Korean adolescents and therefore provided a comprehensive view of understanding adolescents past experiences. Also, by comparing the possibility of violent delinquency between groups, this study identified which group is at higher risk. Those findings may suggest the need for developing trauma-focused intervention programs for juvenile delinquent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 strategies. In addition, greater integrat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in charge of different adversities should be emphasized for carrying out services.
본 연구는 청소년의 폭력비행 가해와 부정적 생애경험 간의 관계 검증을 통해 폭력비행을 저지른 청소년이 역경 경험의 피해자일 가능성을 시사하고자 하였다. 최근 청소년이 가해자로 지목된 심각한 폭력사건들이 알려지면서 가해 청소년에 대한 처벌 강화를 요구하는 여론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대중적 반감과 달리, 강한 처벌은 재비행 예방에 실효성을 갖지 않으며 재사회화 기회를 차단해 부정적 결과를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청소년 개인에게 책임을 묻기에 앞서 문제 행동을 촉발한 환경적 요인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학대, 방임, 가정 내 역기능과 같은 부정적 생애 경험은 폭력비행의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앞선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는 1)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유사한 패턴으로 부정적 사건을 경험한 청소년들을 유형화하고, 2) 분류된 유형 간의 비교를 통해 폭력비행에 가담할 위험이 큰 청소년 집단을 파악하였다.
연구에서는 한국복지패널의 4차년도(2009년)와 13차년도(2017년) 조사 자료를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조사 당시 청소년들은 모두 중학생이었으며, 총 797명(4차=514명, 13차=283명)의 응답이 연구에 사용되었다. 먼저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청소년들의 부정적 생애경험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잠재계층분석을 통해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을 세 가지로 분류하였으며, 분류된 유형 별 특징에 따라 집단을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폭력비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해 각 유형에 속한 청소년들의 폭력비행 가능성을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의 80.86%가 최소 하나의 부정적 생애 경험이 있으며 가구원의 알코올 의존을 경험한 참여자는 과반수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해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부정적 생애경험이 상당히 높은 비율로 발생함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 사회의 관용적인 음주 태도와 위험 음주에 대한 낮은 경각심이 드러나는 결과이기도 하다.
둘째, 청소년이 경험한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은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역기능적 가정환경', '가족 해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은 특징적인 경험 양상을 나타내었다.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의 경우 학대와 방임을 비롯해 가정 내 역경으로 분류되는 사건들을 고루 경험한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신체 학대, 정서 학대, 가구원의 알코올 의존, 배우자 폭력에 대한 응답 비율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은 가구원의 알코올 의존과 배우자 폭력 경험의 비율은 높지만, 그 외 사건에 대한 경험률은 낮은 집단이다. 가족 해체 유형에 속한 청소년들의 대부분은 부모 중 한 사람이라도 함께 살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이외에도 해당 집단은 정서 학대, 성 학대, 방임, 가구원의 우울증에 대한 응답률이 높은 수준이었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과 비교하여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에 속한 청소년들의 폭력비행 가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두 유형의 폭력비행 가능성에 차이가 나타나는 이유는 사회학습이론, 자기통제이론, 그리고 누적된 위험 가설에 근거해 설명할 수 있다.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은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보다 학대 경험 비율이 전반적으로 높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에 속한 청소년들은 부모의 행동을 학습하고 학대 경험으로 인해 통제력 발달이 저해되어 폭력비행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은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보다 많은 수의 부정적 생애 경험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해당 집단에서는 부정적 생애 경험의 영향이 누적된 결과로써 폭력비행 가능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넷째, 가족 해체 유형과 고 학대 및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의 폭력비행 발생 가능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해당 분석 결과는 누적된 위험 가설을 바탕으로 해석을 시도하였다. 각 유형은 이질적인 패턴으로 부정적 사건들을 경험하였으나, 누적된 역경 경험의 종류가 많다는 점이 공통적이다. 따라서, 두 유형 모두 역경 경험의 부정적 영향이 심화되어 폭력 발생 위험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가족 해체 유형과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의 폭력비행 가능성에는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역기능적 가정환경 유형은 세 유형 중 부정적 생애 경험에 대한 응답 비율이 가장 낮다. 반면에, 가족 해체 유형은 상대적으로 다양한 역경들을 경험한 집단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분석 결과만으로는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존재해, 추후 연구를 통해 이를 밝힐 필요가 있다.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ACEs에 포함된 하위 경험들이 국내 청소년들에게서도 비교적 빈번하게 발생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성인에게 집중된 국내 ACEs 연구의 논의를 확장하였으며, 국내 자료를 사용한 다양한 ACEs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부정적 생애경험의 누적점수 대신 잠재계층분석을 사용함으로써 누적점수 방식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동시에 누적점수만으로는 확인할 수 없는 청소년의 역경 경험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분류된 세 가지 유형을 바탕으로 집단 간의 폭력비행 가능성을 비교해 상대적으로 폭력비행에 가담할 위험이 큰 청소년 집단을 확인하였다. 앞서 제시한 함의를 종합하여 부처별로 분절된 정책 담당을 보완하기 위한 부처 간 협동, 가해 청소년의 환경 요인에 대한 개입, 청소년의 경험 특성을 반영하는 맞춤형 개입 방안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기술된 함의와는 별개로 본 연구는 횡단자료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부정적 생애경험 유형과 폭력비행 간 인과관계를 설명하지 못한다는 점, 연구에서 살펴본 역경 경험들이 제한적이라는 점, 부정적 생애 경험의 유형이 폭력비행으로 이어지는 메커니즘을 검증하지 못했다는 점, 중학생 시기 이외 다른 연령대의 청소년 집단에는 본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을 한계로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연령대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기존에 살펴본 역경 경험 외에 청소년의 발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역경 경험들을 측정하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종단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187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1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