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OECD 국가의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Children's Quality of Life among OECD countries: 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퍼지셋 질적비교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정민

Advisor
진미정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가족정책아동삶의질OECD국가국제비교퍼지셋질적비교분석(fsQC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 2022. 8. 진미정.
Abstract
The family is a microsystem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childrens growth as independent members of society. The state can improve family environment and condition through family policy, as part of a major macrosystem that supports childrens development.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children's quality of life through an international comparison and to determine which combination of factors in family policy can explain children's quality of life.
The first research question is Which family polices are related to children'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ealth, economy, and time?, an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is How can family policies be combined to improve children's quality of life in terms of health, economy, and time? Family policy includes (1) child-related cash transfers to families with children, (2)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3) public expenditures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4)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5) public expenditures on maternal and paternal leave, (6)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the mother, (7)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the mother, (8)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the father, and (9)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the father. Factors related to children's quality of life include (1) low birth weight, (2) infant mortality, (3) child poverty, (4) mother's time spent with children, and (5) father's time spent with children.
Using OECD Family Database, OECD Child Well-Being Data, and 2014 Time Use Survey,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fsQCA) was used among 20 OECD countries. Since fsQCA assumes joint causal system that allows the interactions between each family policy indicator, it can verify the causal complexities of conjunctural caus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hild poverty was found to be the only factor that served as a significant necessary condition of family policy. It indicates that countries with high rates of child poverty had 1) high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and 2) high public expenditures on maternal and paternal leave, in common. The sufficient condition of family policy explaining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were as follows:
In terms of children's health, when the state actively provide support for the family services,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nd the average payment rate of paid leaves, it led to the country's low rate of low birth weight. In addition, if the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short, the condition of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father, state's active support for financial benefits, family service, and parent's leave are needed. On the other hand, if the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short, and th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is low, bot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nd father should be high, and th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and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is also necessary. Lastly, even when the support for father's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and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is low, when the child-related cash transfers to families with children is high, and th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re all active, the low birth weight rate resulted in low, regardless of the support for mother's leave. And for infant mortality, rather than supporting father's leav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and long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for mother are needed.
In terms of children's economy, if state provides active support for mother's leave, the high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turned out to be important rather than th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Conversely, if the state provides active support for father's leave, the combination should include active support for child-related cash transfers, and family cash benefits on a dual income family. Moreover, even when both mother and father receive low support for their leaves, combining high family cash benefits for two-parent (dual-income) families,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for father,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with children,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can result in low child poverty.
In terms of children's time, significant combination was derived only from the amount of time spent with fathers. These results can demonstrate that family policies have more influence on the father's time with his children than on the mother's. However, it can rather also be translated that OECD countries currnet level of support for the family policy is not enough to increase the time spent with the mother. For the time spent with fathers, the combination of state's active support for father's long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and all other family policy, including cash, service, and leave supports, leads to higher amount of time spent with fathers. Furthermore, when mothers have low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and short full-rate equivalent weeks across paid leave, but fathers have high average payment rate across paid leave, with the active support for public expenditure on services for families, public spending on childcare and early education, and public expenditure on maternity and parental leaves, it result in longer time children spend with their father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reveal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policy and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which supports the effectiveness of state's investment in family policy.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child-centered implications for family policy. Furthermore, by using the fuzzy-set qualitative comparison analysis, this study emphasized the configurational approach, showing how each family policy can combin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lives. This is to say, this study revealed that it is not a single policy that improves the children's quality of life, but various combinations of policy since family policies interact with each other.
국가는 가족정책을 통해 가족의 환경과 생활 여건을 개선하고, 이를 통해 가족원의 삶의 질을 향상한다. 특히, 가족정책은 아동 돌봄을 지원하는 정책을 주로 포괄하므로 아동의 발달을 지원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를 통해 가족정책과 아동의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 아동의 삶의 질을 설명하는 다양한 가족정책의 조합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문제는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 가족정책은 무엇인가?', 그리고 '가족정책이 어떻게 조합되어 제공될 때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과 관련이 있는가?'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가족정책에 해당하는 9가지 지표를 포함하였다. 현금지원 정책으로 (1) 가족에 대한 현금지원 공공지출 비중, (2) 맞벌이 대상 현금급여 수준, 서비스지원 정책으로 (3) 가족에 대한 서비스지원 공공지출 비중, (4) 아동 1인당 보육/유아교육 서비스 지원 금액, 휴가지원 정책으로 (5) 아동 1인당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 공공지출 금액, (6) 어머니 출산휴가/육아휴직 소득대체율, (7) 아버지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소득대체율, (8) 어머니 소득 전액보존 출산휴가/육아휴직 기간, (9) 아버지 소득 전액보존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기간이 포함된다. 아동 삶의 질에는 건강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1) 저체중아 출생비율, (2) 영아사망률, 경제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3) 아동가구빈곤율, 시간 측면의 삶의 질 지표인 (4)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량과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량을 포함하였다.
이 연구는 OECD Family Database와 Child Well-Being Data, 통계청 생활시간조사 2014년 시간량 자료를 활용하며, OECD 20개국을 대상으로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퍼지셋 질적비교방법은 각 사례의 특성 간 상호작용의 효과를 완전히 허용하는 결합적 인과성 구조를 가정하기 때문에, 아동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단일한 가족정책을 검증하는 데에서 더 나아가 여러 정책 간의 결합효과를 검증할 수 있다.
먼저 첫 번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필요조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가구빈곤율에 있어서만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은 국가들은 1) 맞벌이 대상 현금급여 수준이 높고 2) 아동 1인당 출산휴가 및 육아휴직에 대한 공공지출 금액이 높은 특성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충분조건 분석을 통해 검증하며, 그 결과는 아동의 건강, 경제, 시간 측면의 삶의 질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건강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이다. 우선 저체중아 출생비율의 경우, 국가가 가족에 대한 서비스와 휴가 공공지출을 적극적으로 하면서, 부모의 소득대체율을 높임으로써 출산 및 육아에 대한 적극적인 경제적 지원을 하는 경우에 해당 국가의 저체중아 출생비율이 낮았다. 또한 어머니의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대한 소득 전액보존 기간이 짧은 경우에는 아버지에 대한 높은 소득대체율과 함께 국가의 적극적인 현금지원과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 지출이 모두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출산휴가/육아휴직에 대한 소득 전액보존 기간이 짧으면서 국가의 현금지원도 소극적인 경우라면,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 대해 높은 소득대체율이 필요하며 아버지에게 긴 소득보존 기간, 그리고 적극적인 서비스지원이 함께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이 소극적인 경우에도 가족에 대한 현금지원 비중이 높고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이 모두 활발하다면 어머니에 대한 휴가지원과 상관없이 저체중아 출생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사망률의 경우,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보다는 어머니가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사용할 수 있도록 소득 전액보전 기간을 길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 때 적극적인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의 공공지출 또한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은 어머니에 대한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와 아버지에 대한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다. 우선 현금지원에 공공지출이 낮더라도 어머니 휴가지원이 적극적이고,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이 높을 때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았다. 반대로 아버지의 휴가지원이 적극적인 경우에는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이 낮더라도 현금지원이 활발한 조건이 결합된다면 아동가구빈곤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휴가지원이 모두 소극적이어도, 맞벌이 대상 현금지원이 적극적이거나, 아버지의 소득대체율을 통해 부모에 대한 경제적인 지원을 하고, 동시에 서비스와 휴가지원에 공공지출을 적극적으로 펼필 때 해당 국가의 아동가구빈곤율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시간 측면의 아동 삶의 질은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량에서만 유의한 가족정책 원인조합이 도출되었다. 이는 가족정책이 어머니보다 아버지와 자녀의 시간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해석할 수 있지만, 오히려 현재 OECD 국가의 가족정책 지원수준이 아동이 어머니와 함께하는 시간을 늘리기에는 부족한 수준임을 역설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아버지와의 시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합으로, 아버지의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 할당 기간이 길면서 가족에 대한 현금, 서비스, 휴가지원이 모두 적극적인 조합이 도출되었다. 또한 어머니가 낮은 소득대체율과 짧은 유급휴가기간을 가지는 경우에는, 아버지의 배우자출산휴가/육아휴직의 소득대체율이 높고 서비스지원과 휴가지원이 모두 적극적인 조합이 형성될 때 해당 국가의 아동이 아버지와 함께하는 시간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가족정책과 아동 삶의 질 사이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가족정책에 대한 투자의 실효성을 제언하였다. 아동의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가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함으로써, 가족정책에 아동중심적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퍼지셋 질적비교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아동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조합을 밝혔다. 즉, 높은 아동 삶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단일한 가족정책을 활성화하는 것보다 가족정책이 서로 상호작용한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으며, 아동 삶의 질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가족정책의 결합을 통해 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238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13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