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기관장의 업무추진비 집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formance of Business Promotion Expenses of the CEOs of Public Enterprises and Quasi-Government Institutions on Management Performanc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규동

Advisor
권일웅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관장업무추진비네트워크공기업준정부기관경영성과고정효과모형순서형로짓모델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 2022. 8. 권일웅.
Abstract
Public enterprises in Korea formulate and spend business promotion expenses(BPE). In the government guidelines, business promotion expenses are defined as "annual membership fees, other expenses incurred in implementing projects, and expenses incurred for basic operation of each enterprise, such as business consultations and meetings," and include expenses of entertainment. Although such business promotion expenses account for a low proportion of the total budget, unlike other budget expenditures, there are two points of view. One is that business promotion expenses is an investment to form a network that is necessary for work and the other is that it is one of perquisite consumption of CEO.
The government has announced a plan to freeze and cut the budget for business promotion expenses for public enterprises and public enterprises are opposing against the governments policy, complaining of difficulties in promoting the project.
Considering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promotion expenses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cusing on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It was attempted to confirm whether the work promotion expenses of the CEOs of public enterprises were used to strengthen network capabilities or only private consumption through the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on the enterprises performance.
The 122 public and quasi-governmental enterprises which are subject to management evaluation that the government implements every year were analyzed, and the period of study is 3 years from 2017 to 2019.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and the ratio of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in sales we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s in terms of management evaluation grade,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such as institutional size such as regular employees and total assets, institutional age, institutional evaluation group type, and background of institutional heads were set as control variables.
As there were few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enterprise's BPE and management performance, we analyzed other studies that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vate companies BPE and their business performance. Those showed that the spending amount within the corporate tax deduction limit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profitability.
Based on those prior studies, the hypothesis was established that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and the ratio of the spending amounts of CEOs BPE in sales, the more positive it will have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o contro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rvey year and the enterprise's own characteristics, a fixed effect model was used, and the year was also treated as a dummy variable, and an ordered logit model was used for the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dependent variable, the management evaluation grade, and the results of the major business quantitative evalua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 relationship with the spending amounts of the CEO's BPE. This means that the higher the BPE spent by the CEO, the positive effect on the enterprise's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which led to smooth business promotion and internal morale,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quantitative results.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private companies aimed at generating profits and maximizing profits had a positive effect on profitability, in the case of public enterprises, spending of BP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fitability improvement, and management evaluation results were positive. It can be carefully estimat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 mixed organization that pursues both corporate and public nature of public enterprises are reflected in the effect of the CEO of the institution's BPE, and have a greater impact on public nature.
우리나라 공공기관은 업무추진비를 편성하여 집행하고 있다. 정부 지침에서 업무추진비는 사업추진에 소요되는 연회비, 기타 제경비 및 업무협의, 간담회 등 각 기관의 기본적인 운영을 위하여 소요되는 경비로 정의되며, 접대비 성격의 경비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업무추진비는 전체 예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낮으나 다른 예산비목들과 달리 예산집행자의 의중이나 재량에 따라 집행할 수 있다는 특성에서 업무상 필요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투자로 보는 시각도 있는 한편, 경영자의 사적소비의 하나로 보는 시각도 있다.
정부가 공공기관에 대한 업무추진비 예산에 대한 동결 및 삭감 방침을 밝힌 것에 대해 공공기관이 사업추진에 애로를 호소하며 방침에 반발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업무추진비와 경영성과간의 관계를 기관장의 업무추진비 집행액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공공기관 기관장의 업무추진비가 네트워크 역량 강화에 활용되었는지 사적소비에 그쳤는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통해 확인하려 하였다. 그래서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의 기관장의 업무추진비가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기재부가 주관하는 공공기관 경영평가 대상인 공기업 및 준정부기관 등 122개 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그래서 기관장 업무추진비와 매출액 대비 기관장 업무추진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이것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공공성과 기업성을 띄는 공공기관의 특성을 고려하여 종합적인 측면에서 경영평가 등급, 재무적 성과 측면에서 총자산수익률(ROA), 비재무적 성과 측면에서는 주요사업 성과를 계량평가 결과와 비계량평가 결과로 나누어 종속변수로 설정하였다. 아울러 독립변수와 종속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는데 있어 정규직 현원 및 총자산과 같은 기관규모, 기관연령, 기관 평가군 유형, 기관장 출신배경 등과 같은 기관특성 요인에 대해서는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공공기관의 업무추진비와 경영성과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한 선행연구가 많지 않아 민간기업의 접대비와 그 경영성과간의 관계까지 확대하여 분석해 본 결과 다수의 연구에서 법인세 손금한도 내 접대비 집행액은 기업의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기관장 업무추진비 집행액과 매출액 대비 기관장 업무추진비 비중이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수립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연도별 특성과 기관 자체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서 고정효과모형을 사용하고 연도도 더미변수로 처리하였고, 경영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순서형 로짓 모델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 결과, 종속변수인 경영평가 등급과 주요사업 계량평가 결과가 기관장 업무추진비 집행액과 유의미한 양(+)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관장이 집행하는 업무추진비가 높을수록 기관의 경영평가 결과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으로, 이는 기관의 고유목적 사업을 수행하는데 있어 대외 유관기관 및 직원 내부격려 등의 목적으로 기관장이 업무추진비를 집행한 것이 원만한 사업추진 및 내부사기 진작으로 이어져 사업의 계량적 성과창출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즉, 기관장의 내・외부 네트워크 역량 강화에 기여하였다고 추론해볼 수 있다. 노력 연구결과가 특이했던 점은 수익창출과 이윤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는 민간기업은 접대비가 수익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선행연구들과 달리, 공공기관의 경우 업무추진비 집행이 수익성 향상 측면에서는 큰 영향은 없었고, 공공성 측면에서 주요사업의 계량실적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경영평가 결과가 긍정적으로 이어졌다고 해석된 것이다. 이는 공공기관이 가지는 기업성과 공공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혼합조직체의 특성이 기관장의 업무추진비의 효과에도 반영되는데 공공성 쪽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조심스럽게 추정해 볼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68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307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