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스마트워크 활용 여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Effect of Smart Work on Job Satisfaction
MZ세대의 조절효과 분석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현호

Advisor
엄석진
Issue Date
202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워크재택근무화상회의직무만족MZ세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 2022. 8. 엄석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mart work use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MZ generation on the effect.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dependent variable was set by averaging the satisfaction of interest, passion,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that constitute job satisfaction, and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whether Tele Commuting, Smart Work Center, Video Conferencing, and Mobile Approval were each set to be used within one month. Also, in order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factors on this, those born after 1982 are set as the MZ generation, and those born before that were set as the older generation.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data from the 2020 Public Service Life 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sed for this stud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control variable.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sic statistics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each type of smart work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except for video conferencing, or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elecommuting and smart work center utilization and job satisfaction had a negative (-) correlation an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e use of mobile approval had a positive (+) correlation, but statistically did not lead to any significant results. Only the use of video conferencing was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This is presumed to be the result of a mixture of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using smart work in a situation where work using smart work has not reached the mature stage in the situation of coronavirus infection.
Second, whether the MZ generation or not regul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each type of smart work and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the MZ generation adju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elecommuting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MZ gene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with whether or not telecommuting was used for job satisfaction.
Third, whether the MZ generation used video conferencing and job satisfaction was adjusted, and the MZ generation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o job satisfaction whether video conferencing was used or not.
Fourth, the MZ generation played a role in amplifying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hether mobile approval was used and job satisfaction, but did not reach statistically supported results.
Fifth, whether or not the MZ generation used the smart work center adjust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the smart work center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 MZ generation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whether the smart work center was used or not.
The results of th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lead to the conclusion that MZ generation regulate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whether smart work is used or not.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existing theories on smart work and the results of interviews conducted to verify them.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hav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such as childcare and housework, ICT excellence, responsibility, and perspectives on work autonomy, and the statistics derived through the model of this study support this.
This moderating effect suggests that smart work methods and policy considerations for job satisfaction are necessary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the older generation. It also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from establishment of smart work policy to implementation.
However, limitations such as the fact that the study is limited to a single-year study and that the maturity period was not taken into account by using statistics created at a time when smart work was promoted rapidly due to the coronavirus infection will be developed through follow-up research it should be
본 연구는 스마트워크 활용 여부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효과 분석하고 MZ세대 여부가 그 효과에 미치는 조절 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종속변수를 직무만족을 구성하는 흥미, 열정, 성취감, 만족에 관한 만족도를 평균하여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스마트워크 활용 여부로 재택근무, 스마트워크센터, 화상회의, 모바일결재 각각의 한달 이내 활용 여부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에 대한 세대 요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1982년 이후 출생자를 MZ세대로, 그 이전 출생자를 기성세대로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2020년 공직생활실태조사의 설문 데이터를 활용했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및 조절변수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다중회귀분석 및 기초통계를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스마트워크의 각 유형의 활용 여부는 화상회의를 제외하고는 직무만족도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거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재택근무 활용 여부 및 스마트워크센터 활용과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는 음(-)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모바일결재 활용 여부는 양(+)의 상관관계를 가졌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에 이르지는 못하였다. 화상회의 활용 여부만이 직무만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 상황에서 스마트워크를 활용한 업무가 성숙단계에 이르지 못한 상황에서 스마트워크 활용의 장단점이 혼재되어 나타난 결과라고 추정된다.
둘째, MZ세대 여부는 각 유형의 스마트워크 활용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MZ세대 여부는 재택근무 활용 여부와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조절하여 MZ세대일수록 재택근무 활용 여부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MZ세대 여부는 화상회의 활용 여부와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조절하여 MZ세대일수록 화상회의 활용 여부가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MZ세대 여부는 모바일결재 활용 여부와 직무만족 간의 양의 상관관계를 증폭시키는 역할을 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지지되는 결과에 이르지는 못했다.
다섯째, MZ세대 여부는 스마트워크센터 활용 여부와 직무만족 간의 상관관계를 조절하여, MZ세대일수록 스마트워크센터 활용 여부가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다중회귀분석 결과는 MZ세대 여부는 스마트워크 활용 여부에 따른 직무만족을 조절한다는 결론에 이른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워크에 관한 기존의 이론 및 이후 이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된 인터뷰 결과와 부합한다. MZ세대와 기성세대는 육아 및 가사, ICT 수월성, 책임감, 업무 자율성에 대한 시각 등의 특성에서 차이가 있고, 본 연구의 모형을 통해 도출된 통계는 이를 지지한다.
이러한 조절효과는 MZ세대와 기성세대 간에 직무만족을 위한 스마트워크 방식 및 그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스마트워크 정책 수립부터 추진까지 세대 간 특성과 차이에 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다만, 그 연구가 단연도 연구에 그치고 있는 점,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으로 스마트워크의 추진이 급속도로 이루어진 시점에 작성된 통계를 활용하여 그 성숙 기간 등이 고려되지 않은 점 등의 한계는 후속 연구를 통해 발전되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8874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251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