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청년 과중채무의 본질과 채무조정경험: 갈망, 불안정성, 그리고 희망 : Surviving at the Margins: Aspirations, Insecurity, and Hopeful Prospect of Young Adults Indebte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백아름; 노혜진; 박정민

Issue Date
2022
Publisher
한국사회복지연구회
Citation
사회복지연구, Vol.53 No.3, pp.139-181
Abstract
이 연구는 채무조정제도를 신청한 청년들이 경험한 채무경험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탐색하였다. 연구참여자는신속채무조정, 프리워크아웃, 개인워크아웃 세 개의 채무조정제도 중 하나를 신청한 청년 10명이고, 이들로부터 수집한자료를 현상학 연구의 절차를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상황적 구조기술에서 드러난 18개의 주제들을 유사성, 공통성 차원에서 유목하여 결집했고, 이를 토대로 7개의 본질적 주제를 구성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무접근성의 확장(금융접근성 확대와 금융지식이 불충분한 상태에서의 채무 보유 증가, 자산 증식을 위한 자본의 필요, 고도화된 금융사기), 지지체계의 결여(공적지원체계의 부족, 가족지원의 어려움: 경제적, 정서적), 독립된 성인에 대한갈망(가족 도움 없이 홀로 서기, 갖고 싶던 직업을 갖는 일, 여가 및 선호를 바탕으로 한 하고 싶은 것 즐기기), 안정적기반에 대한 갈망(불확실한 자산이 아닌 확실한 자산을 보유하려는 욕구, 안정적인 관계로 나아가기 위한 욕구), 인간관계에 대한 회의(친구 아닌 친구, 부정적 평가시선의 두려움), 채무의 두려움과 회한(생활 곳곳으로 침투하는채무의 공포, 매 선택 순간에 대한 회고, 통제 불가한 구조적 상황에 대한 인지, 빚을 지는 것에 대한 인식 변화), 더나은 삶에 대한 갈망(금융활동변화에 대한 자신감, 일상 되찾기: 여가, 직업, 내 삶)이다. 이 연구는 청년들이 과중채무를겪으면서 채무조정의 신청에 이르게 된 과정에서의 경험, 감정과 인식의 변화를 심층 탐색한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학술적, 실천적 의의가 있다.
ISSN
1598-3854
URI
https://hdl.handle.net/10371/189349
DOI
https://doi.org/10.16999/kasws.2022.53.3.139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