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version of Classism Attitude Scale(K-CAS) for College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윤정; 김은하; 이은설

Issue Date
2019-02
Publisher
한국산학기술학회
Citation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2, pp.605-621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대한 고정관념과 편견을 측정하는 한국판 대학생용 계층차별주의 태도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 1에서는 관련 문헌, 대학생들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지 자료를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및 전문가 자문을 토대로 주요 구인과 초기예비문항을 제작한 후 44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2에서는 40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총 14문항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연구 1에서 도출된 상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와 하향 계층차별주의 태도의 2개 요인이 자료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결과, 높은 수준의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더불어, 연령, 주관적 계층,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인 믿음, 부정 정서(우울, 불안), 적대감과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통해 준거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연령, 주관적 계층, 가정의 총수입, 및 정당한 세상에 대한 일반적 믿음 외에 K-CAS가 추가적으로 부정 정서(우울, 불안) 변량의 5%를 설명하여 증분타당도도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에서 계층차별주의 관련 개입 및 예방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활용 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점에서 주요 시사점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lassism Attitude Scale for college students (K-CAS) that measures stereotypes and prejudices about socioeconomic class(SES). In study 1,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reviewing classism related theories and literatures, analyzing qualitative data by using Consensus Qualitative Method-modified(CQR-M) and getting experts consultation. With 440 college students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14 items in study 1. In study 2,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with 400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two factor structures, upper classism attitude and downward classism attitude, were confirmed. With the higher level of test-retest reliability, the criterion validity was confirmed by th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age, subjective SES, the general belief in a just world, negative affects (depression and anxiety), hostility, and K-CAS. The incremental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at K-CAS score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5% of total variation in scores of negative affects(depression and anxiety) in addition to the variables, such as age, subjective SES, house income, and the general belief in the just worl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developed and validated K-CAS in this study can be a useful tool for further research and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related to classism.
ISSN
1975-4701
URI
https://hdl.handle.net/10371/190605
DOI
https://doi.org/10.5762/KAIS.2019.20.2.60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