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건축의 석축형기단에 관한 연구 : On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Stylobate on Stoneterrace in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주현태

Advisor
전봉희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단석축석축형기단외부공간지형조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공과대학 건축학과, 2023. 2. 전봉희.
Abstract
한국건축은 여러 건축물이 모인 군집(群集) 체계를 이루며, 전국의 산지 혹은 구릉지에 활발하게 조영되었다. 경사에 의한 입지의 제약은 같은 배치 질서를 가지더라도 각각의 건물군은 고유한 외부공간을 만들었다. 건물군을 배치하기 전에 반드시 경사를 극복하는 과정이 선행되기 때문이다. 이처럼 한국건축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개별 건물 외에 배치와 조정된 대지 형태를 함께 주목해야 한다.

기단(基壇)과 석축(石築)은 지형조정을 위한 주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기단은 건물 사방으로 쌓아 올린 단으로서, 건물 주변의 바닥 면을 들어 올려 그 건물에 위엄을 주며, 각 기둥의 초석과 기초가 움직이지 않게 묶어 주는 동시에 지붕에서 떨어진 빗물이 건물에 튀지 않게 하는 등의 기능을 가진다. 반면 석축은 성토와 절토를 이용해 수직면, 혹은 경사면을 돌로 마감한 것으로, 경사를 평평하게 만들어 기단을 놓기 위한 자리를 만들거나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진다. 두 가지 수단은 규모와 기능은 다르지만, 지형을 조정하기 위한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단과 석축은 문화재의 관점에서 석조물이라는 공통된 특성에 분류되어 한국 건축사를 비롯하여 고고학계, 미술학계 등 다양한 관점에서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목조 건축물은 소실되어도 기초부는 남아있고, 산성 혹은 성곽에서 석축이 확인되며, 석탑, 부도 등에서 기단의 양식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입면의 양식적인 측면과 구축법을 규명하는 것에 집중되어 온 것은 사실이다. 물론 기단과 석축은 시각적으로 드러나, 석조물의 입면에 대한 표현은 위엄을 주며, 조정된 지면이 흘러내리지 않기 위한 구축법 역시 시대에 따라 변화하여 중요한 연구가 되는 것은 마땅하다. 문제는 양식과 구축법은 건축이라는 큰 범주에서 부분에 불과하며, 건축의 본질인 어떠한 공간 요소로서 상호작용하는지는 밝히지 못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건축에서 경사지를 극복하는 태도를 살펴보기 위해 기단과 석축을 지형조정의 차원에서 새롭게 유형을 분류하였다. 그다음 이들의 조합방식을 검토하여 기단과 석축이 통합한 형태를 석축형기단으로 정의하여, 연구대상 315동의 빈도 분석과 시기별 경향을 살펴서 출현 시기를 규명하고 여러 세부 유형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집의 차원에서 건물군을 경사지에 배치할 때, 이 둘이 통합되는 의미를 해석하였다.

기단과 석축은 경사의 정도와 높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형태와 기능에 적응했다. 이들의 적응 모습을 살펴보면 몇 가지 유형으로 구별할 수 있다.

우선 석축은 여러 높낮이가 다른 석축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같은 경사라도 석축의 개수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그 외에 경사를 조정하지 않고 극복이 가능한 경우나 평지의 경우는 석축이 나타나지 않기도 한다. 석축은 세 가지로 분류하였는데, 먼저석축이 없는 경우는 평지에 위치할 때, 혹은 경사의 조정 없이 자연 경사를 그대로 두거나 토축으로 간단하게 마감할 수 있는 경우다. 다진 진흙에 작은 돌을 섞어 쌓거나 목심을 섞은 토축(土築)과 기와편을 섞어가면서 쌓는 전축(塼築)도 있다. 그러나 군집의 중심영역은 석축이 주로 사용된다. 흙을 다져 층단을 구성하는 것은 무너질 우려가 있고, 영역에 진입할 때 마감 면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어 의장적 표현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낮은 석축은 완만한 경사도에 1~2단 정도의 낮게 구축된 것으로 사람이 계단 없이 수직 이동이 가능한 석축이다. 이는 급경사를 조정하는 의미보다 군집 단위에서 계단으로 활용하거나 건축적인 외부공간의 구축을 위해 사용된다. 마지막으로 높은 석축은 상부 면을 사용하고자 할 때, 계단과 같이 별도의 장치 없이는 수직 이동이 불가능한 석축이다. 이는 경사가 큰 지형에 위치하거나 계곡에 위치하는 경우, 건물 배면에 경사면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 주로 사용될 수 있다.

석축은 군집 차원에서 경사면을 다루는 것이라 한다면, 기단은 개별 건물을 위한 것이며, 네 면의 단을 쌓는 형태에 따라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기단이 없는 경우는 건물 사방에 단을 쌓지 않는 것이다. 이는 형태적으로 기단으로 볼 수 없으나 연구의 유형적 접근을 통해 대상을 분류하기 위해 포함하였다. 이는 가장 원시적인 건물에서 굴립주로 기단의 역할을 대체하기도 하며, 건물의 지반과 배수 및 방수 기능을 하기 위해 장초석을 사용하거나 암반 등을 활용하여 지형을 그대로를 활용한 경우가 해당한다. 그 외에 일부 문루와 같이 성곽 상부의 건물에서 석벽이 그 역할을 경우도 포함된다. 평지형 기단은 기단의 네 면의 높이가 유사하고 마감 면을 돌로 쌓은 경우, 그 층수가 일정한 기단을 의미하며, 가장 기본형태의 기단이다. 경사지형 기단은 완만한 경사지를 그대로 두면서 건물이 위치하는 곳을 평평하게 성토한 단으로, 기단의 배면과 전면의 지형은 높이차가 있으며, 측면의 경우는 경사지의 기울기를 그대로 따르는 기단이다. 이는 지형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한 형태며, 경사지에 건물을 둘 때 나타난다. 이러한 유형은 기본적인 유형이고, 미세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연구대상 315동을 조사하여 이 둘의 조합방식을 검토해보면 기단의 입면과 석축의 면이 결합한 형태가 지배적으로 발견되는데, 이를 석축형기단으로 칭하였다. 이러한 형태는 경사지를 조성할 때 기단을 석축의 수직면까지 극단적으로 이동시킨 것이다. 기단의 최소 단위는 사면이 필수적이지만, 석축의 높이를 이용하여 만나는 하나의 면을 생략하고 간단하게 배수로를 구축하여 해결하거나, 낮은 단 혹은 단 자체를 생략할 수 있는 융통성이 생긴다. 이와 더불어 경사지 조정과 기단을 쌓는 단계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서 작업의 효율성을 가질 수 있다. 석축형기단은 기단의 기능을 겸하기 때문에 석축의 폭은 건물의 처마 내밀기에 결정되어 경사를 조정할 때, 건물 주변의 층단의 지점을 결정 짓는 일이기도 하다. 따라서 그 높낮이는 경사에 따라 정도가 달라질 수 있으나, 폭은 건물의 규모와 상관관계를 가진다. 즉, 석축형기단은 목조건축물에 반드시 기단이 구축되어야 하는 특징이 반영된 독특한 형태로 해석된다.

석축형기단은 이 연구대상에 한정하여 고려중기에 출현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석축형기단은 중심건물에 지배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용도나 규모의 구분 없이 경사지의 제약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고려 중기는 목조건축물에서도 중요한 역사적 변화의 시점이다. 이 시기에 기존 선행연구들을 통해 기단부의 변화를 살펴보면 삼국시대의 기단은 각자 다르게 발전되었으나, 공통된 특징은 후대로 갈수록 구성이 단순화되고 세부적인 표현도 간략화된다. 특히 고려시대 이후 가구식기단은 점차 사라지고 궁궐에서는 장대석기단이, 사찰의 경우는 자연석이나 무사석을 이용한 기단이 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의장적 의미가 축소되는 과정은 기단이 간략화되는 변화는 네 면을 온전하게 두는 기단의 형태적 규범에서 자유롭게 되어 석축형기단으로 계통적 변화 겪은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더불어 중요한 측면은 평지에서 경사지로의 입지가 변화하면서 나타나는 석축의 개입이다. 고려시대에 선종의 도입과 산지가람의 유행이 본격화되면서 배치의 정형성이 깨지고, 대규모 공사를 통한 넓은 대지를 확보하는 방식에서 경사지 조정에 유리한 층단구성을 택하게 된다. 결국 경사지의 제약 속에 네 면의 기단을 두고 기능적으로 해결하고 공간을 확장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을 것이며, 경사면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는 석축의 논리가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게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그 대안으로 자연스럽게 기단의 역할을 석축을 구축할 때 동시에 해결하려는 시도가 나타났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기단의 통합화 및 간소화 경향은 기단 입면의 양식적 변화와 의장을 표현하는 방식에서 건물의 기초의 역할을 하는 대지조성의 의미로 변화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의장의 표현에 있어 군집의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곳에는 석축형기단을 사용해서, 정교하고 입체적으로 지형을 조정하여 그 의미를 다른 방식으로 표현한 것으로 보인다.

석축형기단은 기단의 기능을 겸하면서 높이차를 활용하여 공간구성을 유연하게 할 수 있는 형태적 특징이 있다. 이동의 제약이 되는 벽면을 오히려 높이차를 활용하여 성격이 다른 영역을 분절할 수 있는 융통성을 만들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중심영역에 본격적으로 개입하여 공간의 복잡성을 만들고 하나의 배치 논리로 설명이 되지 않는 입지에 따라 고유한 공간을 만들게 하였다. 따라서 마지막 장에서는 석축형기단의 세부 유형을 구분하고 건물군의 차원에서 어떻게 작용되는지 사례들을 통해 그 의미를 해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integration of stylobate and stone terrace, in terms of topographic correction and the types of arrangements in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which appear through the
method of placing it on a slope. In order to attain this particular purpose, 236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and 78 temple ruin site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phenomenon of integrating stone terrace and stylobate in the mid-Goryeo Dynasty was identified. This integrated form was universally used throughout the mid-Goryeo regardless of the use of the buildings. The use of the stylobate was different between the central building and the independent building, and the integrated stylobate on stoneterrace was mainly used in the central building. This stylobate on stoneterrace seems to be caused by the stratification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placing the stylobate on a slope. Subsequently, the form of land composition was further diversified due to functional factors and arrangement orders, and thus the stylobate and stone terrace were used as the means of space composition. This form is an extreme movement of the base to the vertical surface of the stone axis when creating the slope. A slope is essential as the minimum unit of the base, but there is flexibility to omit one surface that meets using the height of the stone shaft and simply build a drainage channel to solve it, or to omit a low end or the end itself. In addition, the step of adjusting the slope and building the base can be solv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obtained. Since the Stylobate on stoneterrace also functions as a base, the width of the stone-shaped base is determined by
the eaves of the building, and when adjusting the slope, it is also necessary to determine the point of the floor around the building. Therefore, the height may vary depending on the slope, but the width is correlated with the size of the building. In other words, the Stylobate on stoneterrace is interpreted in a unique for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that a foundation must be built in a wooden building. The mid-Goryeo period is also an important time of historical change in wooden buildings.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stylobate through previous studies during this period, the stylobate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developed differently, but the common characteristic is that the composition is simplified and the detailed expression is simplified as it goes on to the future generations. In particular, after the Goryeo Dynasty, the furniture stylobate gradually disappeared, and in the case of palaces, the pole stone stylobate was mainly used, and in the case of temples, the stylobate using natural stone or Musa stone was mainly used. This process of reducing the design meaning is thought to have undergone a systematic change to Stylobate on stoneterrace by being free from the morphological norm of the foundation that leaves the four sides intact. In addition, an important aspect is the intervention of stoneterrace as the location changes from flat land to slope. In the Goryeo Dynasty, as the
introduction of Seonjong and the trend of mountainous cultivation began in earnest, the layout was broken, and the formation of layers that were advantageous for adjusting the slope was chosen in a way to secure a large land through large-scale construction. In the end, there would have been a limit to functionally solve and expand the space with a four-sided base in the constraints of the slope, and I think the logic of stone pillars that reasonably adjust the slope would have played a relatively more important role. Therefore, as an alternative, it is thought that an attempt to solve the role of the stylobate naturally appeared at the same time when building a stone construction. This trend of integr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base can be interpreted as a change in the stylistic change of the base of the base and the meaning of land creation that serves as the basis of the building in the way of expressing the design. However, it seems that the meaning was expressed in a different way by adjusting the topography in a sophisticated and three-dimensional manner using a Stylobate on stoneterrace the most important place in the area of the cluster in the expression of the design.
Therefore, in the last chapter, the detailed types of Stylobate on stoneterrace were classified, and the meaning was interpreted through examples of how they worked at the level of the building group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065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94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