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코로나 시대, 학생의 주관적 학업성취도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분석: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by students in the COVID-19 pandemic: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가몽영

Advisor
은기수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코로나19학업성취성별 차이사회경제적 지위사교육원격 수업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2023. 2. 은기수.
Abstract
이 연구는 코로나 시대 한국사회에서 발생하는 교육 격차 실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하므로 학업성취 격차 확대의 요인을 측정하고 이런 요인들이 자녀의 성별에 따라 학업성취 평가에 어떻게 다르게 적용할 것인지를 밝혀 보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한국 여성가족부가 2020년에 청소년 가구 5,027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청소년종합실태조사에 13~18세 응답자로 구성된 836개의 사례를 분석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학업성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에 유의미한 성별 차이가 확인되어 여자일 수록 본인의 학업성취에 대한 평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의 월평균 소득, 부모가 자녀에 관심 정도, 주중에 매일 아버지와 함께 보내는 시간, 주중에 매일 어머니와 함께 보내는 시간, 매주 사교육을 받은 시간 그리고 집에서 원격수업을 들을 수 있는 독립된 학습공간을 유의한 변수로 확인되어 모두 학생이 학업성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친다. 마지막으로 셋째, 이런 요인들 중 주중에 매일 아버지와 함께 보내는 시간, 그리고 주중에 매일 어머니와 함께 보내는 시간만 학업성취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성별차이가 나타났다. 즉, 아버지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 수록 여학생의 학업 성취에 대한 평가가 좋아졌는데 남학생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어머니와 보내는 시간이 많을 수록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본인의 학업성취에 대한 평가가 좋아졌는데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유의한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별, 그리고 가정의 경제적 수준, 부모-자녀의 관계, 자녀의 사교육 참여 정도, 집에서 원격 수업 여건 등에 해당되는 변수들이 학업성취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학업성취 격차를 확대시키고 있음 알 수 있다. 또한 성별에 따라 학생들의 학업성취 평가가 달라져 있으며 부모-자녀의 관계가 학업성취 평가에 끼치는 영향은 여학생집단과 남학생집단에서 다르게 나타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연구는 코로나 시대 한국 사회에서 계속 심화되어 있는 교육 격차 확대 문제를 밝혔으며 성별, 가정배경, 사교육, 원격교육 등 여러가지 영향요인을 분석하므로 교육 불평등의 경로를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고 본다.
This study empirically grasps the educational gap in Korean society during the era of COVID-19, measures the factors that widen the gap in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nvestigates how these factors are applied differently to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depending on gender.
To achieve this purpose, in this study, 836 cases composed of respondents aged 13 to 18 were analyzed in the comprehensive teenager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2020 targeting 5,027 adolescent household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first, a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was confirmed in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it was found that the more females, the higher the evalua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Second, household average monthly income, parents' interest in their children, time spent with father every day on weekdays, time spent with mother every day on weekdays, time spent with private tutoring each week, and independent learning space for distance learning at home. All of them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subjectiv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Lastly, among these factors, only the time spent with the father every day during the week and the time spent with the mother every day during the week show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ir effects on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Which means more time spent with fathers improved the evaluation of female students' educational achievement, but this had no effect on male students. It was analyzed that this significant effect was more.
This study illustrated the problem of expanding the education gap, which continues to deepen in Korean society in the era of COVID-19, and also analyzed various influencing factors such as gender, family background, private education, and remote education. Therefore, it is helpful in identifying the path of educational inequalit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544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3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