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발달장애를 위한 포용적 관점의 디자인 제안 : Design Suggestions from Inclusive Perspective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내리

Advisor
박영목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포용적 디자인정서적 디자인발달장애통합환경최소제한환경유니버설 디자인자폐스펙트럼장애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미술대학 디자인학부 디자인전공, 2023. 2. 박영목.
Abstract
Although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build a disabled-non-disabled integrated environment in various fields such as welfare, special education, and design, this study is a problem that is not a truly effective solution because it is somewhat ideal or the solution is limited to functional and physical assistance. These problems further lead to the 'stigma' and 'helplessness' felt by the disabled, and this study tried to find various ways to solve them and create an ultimate integrated environment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paradigm of the disabled-non-disabled integrated environment and the current status of research, Chapter 2, Section 1 examines the perspectives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on the social phenomenon in which individualism and the tendencies of othering are becoming stronger, and then examines the specific phenomenon that the goals and methods of disability-non-disability integrated environment in disability welfare and special education. In Chapter 2, Section 2, universal design and inclusive design, which are integrated environment paradigms in the field of design, were examined, and their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In Chapter 3, Section 1,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current statu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existing design cases related to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ase analysis process, I came to have some awareness of the problem, and I was inspired to expand my thinking through literature and case studies that could inspire questions. Accordingly, Chapter 3, Section 2 is develop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sign-dimensional approach and alternative approach, and the direction of future design proposals was set by deriving the frame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environment for disability-free integration.
Chapter 4 goes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ing and elaborating the possibilities through work proposals. In the first design proposal, a design that supports developmental disabilities was presented, but five proposals were made that prevented secondary and tertiary problems caused by disabilities by unraveling multilateral support methods through design. Secondary design proposals start with thinking that reconsiders the frame of product proposals more actively. Under the concept of redefining things through subversive thinking based on empathy,
(1) Broken Window Effect; Don't make it look weird!
: Behavior +Scene, What kind of scene will you direct?
(2) Design for standards, What is standard, normal?: Redefining objects
(3) Design for me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Design for understanding, consolation, and empathy
established the direction of and proposed 12 works.
The 3rd proposal supplemented Time Flow and Body Zari which gained sympathy from the 2nd proposal, and developed into a more refined version by advancing its strengths.

Compared to existing product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t were designed to help alleviate their symptoms and help them adapt to society, the proposal of this study expands the horizons. While the goal of existing products is to adapt to society, the proposal of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differences and live in mutual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goal is to ensure that the use of products that support disability is no longer a stigma by design.
Supportive methods within the existing frame regard those with disabilities as non-mainstream and allow them to enter the category of standards through help, so ultimately it is difficult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to reach an equal position and achieve mutual satisfaction and happiness. When there are thoughts that subvert the existing frame, objects that lead them, and an environment composed of those objects, an effective disability-free integrated environment with ultimate and inner satisfaction can be gradually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the effort to change the frame and the shift in thinking to gain the strength to move forward by touching 'I (the person with a disability)' who is already struggling enough without 'changing anything' on the opposite scale are parallel.
In this way,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ritically look at the reverse side of the mainstream paradigm and overcome the 'stigma' and 'feeling of helplessness' experienced by the disabled who have been helpless despite countless attempts. It is hoped that the attempts in this study will be the starting point of the design for the ultimate integrated environment of both disabled and non-disabled to be built in the future.

Keywords: Inclusive Design, Emotional Design,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clusive Environment,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Universal Design
본 연구는 복지, 특수교육,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에서 장애-비장애 통합 환경 구축에 대한 다양한 시도가 있으나, 다소 이상적이거나 혹은 해결방법이 기능적, 물리적 도움에 국한되어 장애인들에게 진정한 실효적 방안이 되지 못하고 있음에서 한계를 확인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찾기 위해 시작되었다.
장애 복지 분야에서는 정상화 원리(Principle of Normalization)에 근거한 정책이, 특수 교육에서는 통합교육(Inclusive Education)의 패러다임이 조성되고 있다. 최근 통합 교육환경은 수치적 증가되고 있지만 실효적 만족감에 이르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디자인 분야에서도 유니버설 디자인, 포용적 디자인 등 같은 맥락을 갖는 시도가 있어왔지만 대부분의 사례가 신체적, 물리적 어려움에 대응하고, 다양한 어려움에, 다양한 장애 증상과 어려움에 세부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고 있는 아쉬움을 남긴다.
이에 보다 실효적 디자인 제안을 위해 발달장애에 대한 이해와 발달장애 디자인 현황 분석으로 시작한다. 디자인 사례 분석은 (1)정부 운영 사이트 국내외 각 1개, (2)민간 기업 운영 사이트 국내외 각 5개, (3)일반 가구, 유통 기업 6개, (4)환경 컨설팅 사이트 5개로 하여, 발달장애 디자인의 경향과 의의, 한계점을 도출해 보았다. 하지만 궁극적 통합 환경을 위한 실효적 디자인 제안을 위해 사고의 확장이 필요하였고, 다양한 각도에서 선행 사례, 연구를 분석하며 영감을 얻고자 하였다. 첫째는 디자인과 장애의 차원적 접근으로, 산업혁명 이후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마케팅 도구로서 적극적으로 활용되며, 무한한 방법적 발전과 고도화를 이루어 온 디자인의 다각적 차원 접근으로부터 영감을 얻어, 이러한 디자인 차원과 장애의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접근할 때, 실효적 안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라는 가능성이다. 둘째는 다양한 대안적 방법인데, 공감각의 활용, 포용적 디자인의 관점 등 주변 영역에서의 유의미한 사례로부터 대안적 방법으로의 사고 확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렇게 발달장애-비장애 통합환경 구축을 위한 접근의 틀을 도출하였고, 디자인 제안의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하였다.

작품 제안을 통해 가능성을 실제화, 정교화하는 과정을 거쳤다. 1차 디자인 제안에서는 발달장애를 지원하는 디자인을 제시하되, 다각적 차원의 지원 방법을 디자인으로 풀어낸, 특히 장애로 인해 발생하는 2, 3차적 문제를 예방하는 5개의 제안이 이루어졌다. 일반인들에게 거부감을 줄이고 장애인들을 지원하는 방법이지만, 세부적 요구사항에 대응하기 이전에 물건을 사용하면서 얻을 수 있는 상위의 가치가 결여되어 있음을 발견하고 보완점을 모색하였다.
2차 디자인 제안은 보다 적극적으로 제품 제안의 프레임을 재고하는 사고로부터 시작한다. 공감 기반의 전복적 사고를 통한 사물의 재정립이라는 컨셉 하에
(1) Broken Window Effect; 이상해 보이지 않게 하라!
: Behavior +Scene, 어떤 장면을 연출할 것인가?
(2) 표준을 위한 디자인, 무엇이 표준, 정상인가?: 물건의 재정의
(3) 나(장애본인)를 위한 디자인: 이해, 위로, 공감의 디자인
의 방향성을 정립하고 12개의 작품을 제안하였다.
3차 작품 제안은 2차 제안에서 공감을 얻은 Time Flow와 Body Zari을 보완하고, 강점을 고도화하여 보다 정제된 안으로 발전시켰다.

기존의 발달장애를 위한 제품들이 그들의 증상 완화를 돕고, 사회적응 돕기 위해 제작되었던 점과 비교할 때, 본 연구의 제안은 시야를 확장하고 있다. 시야의 확장은 (1)전복적 사고를 통해 사물의 개념을 재정립하는 발상 전환으로부터 시작되었고, (2)발달장애 통합환경의 문제 현상을 파악하고 접근할 때, 디자인 차원 개념을 기반으로 다각적 방향에서, 다차원적으로 바라보는 과정에서 확립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3)발달장애의 문제를 개선하고 증상을 완화하여 일상 환경 적응에 도움을 주려는 기존의 시각에서 한걸음 물러나 다름을 인정하고, 그들의 마음을 이해, 공감하려는 개념적 전환이 통합환경에 대한 시야 확장의 핵심 요소가 되었다. 이러한 시야 확장, 그리고 의학-복지-특수교육-디자인 영역간 지식과 관점의 연결에 기반해 제안된 안들은 장애-비장애 통합환경의 실질적, 실효적 제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비장애인 서로가 다름을 이해하고 상호 만족감 속에 생활할 수 있도록, 그리고 장애 지원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더 이상 낙인이 되지 않는, 장애-비장애의 궁극적 통합 환경을 위한 시작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633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77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