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현역병의 의료기관 선택 과정에 대한 연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election Process of Medical Institution for Enlisted Soldiers in S. Korea
일개 전방사단에서 근골격계 질환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아라

Advisor
조원광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현역병의료기관 선택 과정근거이론군 의료전달체계초기 진단 과정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 2023. 2. 조원광.
Abstract
군 병원은 군인의 의료권 보장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장병의 건강 유지와 질병 및 사고 대응을 통해 군의 전투력을 보존하는 군의 주요 조직이자 핵심 인프라이며, 국가 안보를 위한 전략 자원으로서 중요성을 지닌다. 그러나 최근 군 병원의 핵심 이용 계층인 현역병들의 군 병원에 대한 선호가 낮게 평가되고, 군 병원 이용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이다. 반면, 현역병들의 민간병원에 대한 선호는 상대적으로 높으며, 민간병원을 찾는 현역병 수는 매년 10% 이상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인식을 바탕으로 근거이론 방법론을 활용하여 실제 현역병들의 질병 상황에서 어떤 의료기관을 선택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개인적, 사회적 요인과 이들의 상호작용이 선택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군 생활 중 근골격계 관련 질병 발생으로 입원 및 수술치료를 위한 의료기관 선택 경험이 있는 현역병 16명을 대상으로 1:1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고, 근거이론의 분석 절차에 따라 현역병의 의료기관 선택 과정이 어떻게 경험되는지를 탐구 및 분석하였다.
Strauss와 Corbin(1990; 1998)의 근거이론 분석 절차에 의해 개방 코딩을 수행한 결과 총 65개의 개념과 14개의 하위범주, 6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반복적인 축 코딩과 선택 코딩 결과 6개의 패러다임 요소와 핵심범주를 발견하였다.
분석 결과 핵심범주는 현역병의 질병 초기 진단 과정에서의 부정적 제도 경험과 관계 경험은 군 의료에 대한 부정적 인식 강화를 일으켜 현역병의 민간병원 선택 가능성을 높임으로 나타났다. 인과적 조건은 질병 상황이었으며, 그에 따른 중심 현상은 초기 진단 경험에서의 실망감으로 나타났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군/민간병원 효용성 평가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의료기관 선택 결과로 이어졌다. 맥락적 조건과 중재적 조건은 각각 군 의료전달체계와 가족 지원 가능성으로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에 따라, 군 의료전달체계 특수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군 의료전달체계의 구축, 군 의료인력의 전문적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방안 마련, 군 의료에 대한 대상자 이해증진 노력을 제시하였다.
The military hospital plays a pivotal role in guaranteeing the medical rights of enlisted soldiers in South Korea. In addition, it serves as a strategic resource for national security as well as a key institution for preserving the combat power of the military. Nonetheless, in recent years, the preference for military hospitals by enlisted soldiers has declined; the number of patients at military hospitals has decreased. Instead, the number of enlisted soldiers who visit private hospitals has increased by at least 10% every year.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process by which enlisted soldiers select a medical institution for professional medical treatment. Specifical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ways in which various personal and social factors, and their interactions, influence the selection process. For the study, I collected qualitative data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16 enlisted soldiers who had had surgical treatment for their musculoskeletal-related diseases during their service. I analyzed the data following the process that the grounded theory: I extracted 65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6 upper categories through open coding; also, I identified six paradigm elements and core categories through repetitive axis coding and selective cod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First, the soldiers negative interactions with medical institutions and staff in the early diagnosis stage serve as the confirmation of their negative perceptions about military medical care that they have held. Second, after going through the negative interactions in the early diagnosis stage, the soldiers actively engage in comparing the pros and cons of military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which leads to their selection of medical institutions. In this process, the military medical delivery system and the mobilizability of family support influence their selec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offers three suggestions for the military medical policy in South Korea including establishing a reasonable and efficient military medical delivery system, improving the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of military medical personnel, and promoting positive images of military medical care.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721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48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