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교육 연구 : A Study on Grammar Education Utilizing Colloquial Expressions Found in Written Text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재

Advisor
구본관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문법 교육구어체 표현구어성문어성구술성문자성언어 인식백워드 설계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국어교육과(국어교육전공), 2023. 2. 구본관.
Abstract
본 연구는 음성 기반 의사소통의 본질적 속성인 구어성에 주목하여,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구어체 표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 방안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구어성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표현의 활용 사이의 정신구조적 작용에 대한 본질적 물음에 터하고 있으며, 인간의 사고(思考)와 언어적 표현의 긴밀한 상호 작용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구체화된다.
구어가 말소리라는 표현 매체로 실현되는 언어로서 자료체 층위의 개념이라면 구어체는 문어 텍스트에서 필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문체의 성격을 지녀 유표성을 띠게 된다. 우리는 특히 인간의 사고가 작동하는 관념 층위의 개념으로서 구어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어성은 구어와 구어체에 구어적인 표현 특성을 부여하는 근원적 자질이기 때문이다.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은 본질적 속성으로서의 구어성 세부 자질을 기준으로 보다 상세화될 수 있다. 이들은 필자의 관념 층위에서 작용함으로써 문어 텍스트에 대화적 속성을 부여하면서 구어체 표현을 실현한다. 1) 맥락의존성은 생략 표현과 인용 표현을 구성하는 데 작용한다. 2) 선조성은 병렬 표현과 서술적 표현, 3) 실시간성은 첨가 표현과 반복 표현의 활용과 관련된다. 4) 상호작용성은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표현이나 비격식적 표현의 활용 기반을 마련해준다.
문어 텍스트에서는 다양한 구어체 표현이 활용됨으로써 다채로운 표현 효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부드러움이나 친근감과 같은 정의적 효과를 부여하거나, 독자와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가 하면,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관점·개성 등으로 대변되는 목소리(voice)를 생생하게 드러냄으로써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구어체 표현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쓰기 맥락이나 언어 규범 같은 문어성 요인과의 복합적인 상호 작용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한편 학습자의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양상을 실체적으로 포착하여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활동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구어성에 대한 인식 층위를 기준으로 표층적/심층적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구어체 표현의 활용 수준을 기준으로 단순한/정교한 활용 양상을 도출하였다. 해당 기준을 적용할 때, 학습자 유형은 크게 여섯 가지로 범주화된다. 제한적 인식형(유형 1)이나 문어체 활용형(유형 2)은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한다. 한정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3)이나 부분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4)은 구어체 표현의 효과가 약한 경우이다. 잠재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5)과 효과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6)은 구어체 표현의 효과가 강한 경우에 포함된다.
구어성과 구어체가 맺는 관계로부터 도출되는 사고와 표현을 향한 본질적 물음은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추동하기 위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통해 구도화되었다. 먼저 문어 텍스트에서의 다양한 구어체 표현을 정교하게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탐구하며,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구어체 표현 활용을 위한 평가 과제와 이에 따른 채점 루브릭을 설계하였다. 끝으로는 교수·학습 국면에서 실행 가능한 학습 경험 및 활동의 실례(實例)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관념 층위에서 작용하는 구어성을 확장적으로 재조명하고, 인간의 사고와 언어적 표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본질적 물음을 토대로 학습자의 영속적인 언어 인식을 추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육 방안을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효과적인 표현을 위한 언어적 자원을 증대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구어체 표현을 능숙하게 부려 쓸 수 있도록 돕는 표현 능력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effectively utilize various types of colloqui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ritten text, focusing on orality, an essential attribute of voice-based communication. This is based on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psychodynamics between the perception of orality and the use of colloquial expressions, and is embodied by exploring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human thought and language.
Spoken language is a concept based on medium of speech at the medial aspects, and Colloquial style has the character of a style intentionally selected by the writer in the written text and therefore is considered marked. In particula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orality as a concept at the conceptual aspects in which human thought process functions. This is because orality is a fundamental feature that gives colloqu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to colloquial style and spoken language.
The Colloquial expression in the written text can be more detailed based on the features of orality as an essential attribute. They realize colloquial expression by giving dialogic attributes to written text by acting on the writers conceptual aspects. 1) Context dependency works to construct ellipsis expressionsand quotation expressions. 2) Linearity is related to the use of parataxis expression and verbal expression, and 3) real-time is related to the use of additive express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4) Interactivity provides the basis for the use of interrogative, imperative, propositive, exclamative expression or inform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can cause various rhetorical effects. It allows writing with power by giving affective effects such as tenderness or familiarity, promoting active interaction with audience, and vividly revealing the voice represented by writers subjective thoughts, perspectives, and individuality. At this time,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complex interactions with literary factors such as writing customs and language cod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duction of written text.
Meanwhi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2 high school learners to analyze and describe learners use of colloquial expressions in written text.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divided into surface/deep percep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orality, and it also could be divided into simple/refined use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colloquial expression. When applying the criteria, the learner types ar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1) limited recognition type, and 2) literac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3) limited orality utilization type, and 4) partial oralit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on written text is weak. 5) potential orality utilization type, and 6) effective oralit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is strong enough.
The essential questions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language, like the one between orality and colloquial expressions, are structured through a backward design model to drive learners enduring understanding. First,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Utilizing Colloquial Expressions Found in Written Text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finely recognize, actively explore,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in written texts. Second, the assessment task and rubric are planned for effective use of colloquial expression. Third, authentic examples of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 designed by a researcher.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design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xtensively re-examines orality working on the human conceptual aspects and guides learners to drive enduring language awareness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thought and language. In addi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at by increasing linguistic resources for effective expression,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expression skills that help learners use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ritten text.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0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63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