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 설정에 대한 시론적 연구 : A Study on Educational Objectives of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소정

Advisor
정원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사회과교육통합 교육과정사회과 통합 교육과정교육과정 목표목표 설정 원리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일반사회전공), 2023. 2. 정원규.
Abstract
Social studies is a subject that fosters knowledge, skills, values, and attitudes necessary to live in a modern democratic society. In modern democratic society, the amou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is increasing rapidly, and society is changing very quickly compared to the past. In addition, various value conflicts are occurring sharply around the world. In order to proper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democratic citizens are required to have the ability to comprehensively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think creatively. In addition, an attitude of empathy or respect is required to wisely cope with value conflicts. Since it is difficult to cultivated these skills and attitudes only with the departmental curriculum, since the 1990s, interest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increasing worldwide.
The domestic social studies department has designed and operated an integrated curriculum since its introduction. But since 2010, it has begun to apply with interest in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earnest. However there is still no proper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teachers are not familiar with the design method or evaluation method of integrated classes. There may be several reasons why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difficult to settle 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but this study noted the lack of consider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In fact, alth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has been operated for a long time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research on what educational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is very insufficient. As a result, at the curriculum level, the goal is unclear, so it is not possible to properly integrat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ince integration is not properly established and objectives are not specified at the curriculum level, teachers also have difficulty in practicing the integrated curriculum.
According to the above problem consciousness, this study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called 'What is the cor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th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first star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objectives of the general integrated curriculum. As a result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the goal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presented in the existing discussions lacked systemicity and specificity and did not reflect the natur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order to supplement this, this study revealed the goals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ased on the meaning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nd the three sources of educational goals (learners, modern society, and subject experts) suggested by Tyler, and presented specific objectives to achieve that goals by dividing them into content elements and behavioral goals. After that, the theoretical basis for how the objectives can be achieved through the integrated curriculum was presen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objectives of the general integrated curriculum,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specifically derived by applying them to social studies education. As a content element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ocial phenomena that can be sufficiently dealt with only with the contents of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were selected. As a result, eight social phenomena such as gender inequality, cultural diversity, and human rights were exemplified.
The behavioral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were presented by dividing them into objectives in terms of knowledge, skill and value·attitude. In terms of knowledge, three objectives were presented: Can recognize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contents of geographical, historical, and general social fields in relation to social phenomena, Can comprehensively understand social phenomena, and Can grasp the essence of social phenomena. In terms of skills, four objectives were presented: Can comprehensively recognize and solve social problems, Can understand and solve social problems from a living point fo view, Can think critically about each perspective of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and When faced with a problem or a new situation, can combine the contents of geography, history, and general society to present new solutions. In terms of value·attitude, three objectives were presented: Can independently make value judgments about social phenomena, Can empathize with people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nd Can respect the existence of people related to social phenomena as they are. And it was revealed that achieving these goals contributes to the cultivation of citizenship that social studies education ultimately pursues.
Finally, the model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uitable for achieving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presented in this study was exemplified. Through this, it was intended to help understand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help implement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he fiel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and practice of a systematic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Until now, the educational objectives pursued by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he secondary social studies department have been unclear, so there have been many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designing the curriculum. In addition, many teachers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 the necessity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but have had difficulty in designing and proceeding classes because they do not know what learning results to derive. Although this study is not sufficien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design and practice of a systematic secondary social studies integrated curriculum by specifically presenting the minimum objectives that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uld pursue. However, in order for this to actually move forward wi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econd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follow-up studies need to be conducted, such as elaborating educational objectives and empirically verifying whether each goal is achieved.
사회과는 학생들에게 현대 민주주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 기능, 가치·태도를 길러주는 교과이다. 현대 민주주의 사회는 과거에 비해 지식과 정보의 양이 급증하고 있으며, 사회 변화가 매우 빠르게 일어나고 있다. 게다가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가치 갈등이 첨예하게 일어나고 있다. 이에 민주 시민에게 급변하는 현대 사회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사태를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창의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가치 갈등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는 공감이나 존중의 가치·태도 역시 요구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능이나 가치·태도는 기존의 분과 교육과정만으로는 길러지기 어렵다는 문제의식이 교육계에 널리 퍼졌고, 이에 199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통합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도입기부터 통합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운영해 왔던 국내 중등 사회과 역시 2010년 이후 통합 교육과정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그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기존에 비해 통합의 강도를 강화한 통합사회 과목이 고등학교 단위에 만들어졌다. 하지만 이 역시 실질적인 통합 교육과정이라 보기 어려우며, 교사들은 여전히 통합적 수업의 설계 방법이나 평가 방법 등에 대해 잘 모르고 있다. 중등 사회과에서 통합 교육과정이 정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겠으나, 본 연구는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고찰과 명시가 부족한 것에 주목했다. 실제로 중등 사회과에서는 오랜 기간 통합 교육과정이 운영되었지만 통합 교육과정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교육 목표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다. 이에 교육과정 차원에서는 지향점이 불분명해 제대로 교육 내용을 통합하지 못하게 되며, 교육과정 차원에서 통합이 제대로 되어 있지 않고 통합의 목표가 명시되어 있지 않다보니 교사들은 통합 교육과정을 실천할 때 어려움을 겪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교육 목표는 무엇인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해당 연구 문제를 위해 우선 통합의 원천에 제한이 없어 통합 교육과정의 본질이 명확히 드러나는 일반적인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 정립에서부터 출발하였다. 선행 연구를 검토한 결과 기존 논의에서 제시하고 있는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는 체계성과 구체성이 부족했으며 통합 교육과정의 본질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하고자 통합 교육과정의 의미와 타일러가 제시한 교육 목표 설정 원천 3가지(학습자, 현대 사회, 교과 전문가)를 바탕으로 통합 교육과정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적을 밝히고, 해당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표를 내용 요소와 행동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후 통합 교육과정을 통해 해당 목표를 어떻게 달성할 수 있는지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일반적인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 정립이 끝난 후, 이를 사회과 교육에 적용하여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도출하였다.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는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내용만으로 충분히 다룰 수 있으며, 각 영역이 상호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사회 현상을 선별했다. 그 결과 젠더 불평등, 문화적 다양성, 인권 등 총 8개의 사회 현상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행동 목표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측면의 목표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지식 측면의 목표로는 사회 현상과 관련하여 지리 영역, 역사 영역, 일반사회 영역 내용의 상호 관련성을 인식할 수 있다, 사회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 현상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이렇게 3가지를 제시하였다. 또 기능 측면의 목표로는 사회 문제를 종합적으로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다, 사회 문제를 생활 세계적으로 인식하고 해결할 수 있다,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 각각의 관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다, 어떤 문제나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지리, 역사, 일반사회 영역의 내용을 결합하여 새롭고 독창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이렇게 4가지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치·태도 측면의 목표로는 사회 현상에 대해 주체적으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다, 사회 현상과 관련된 사람들에 대해 사회적 공감을 할 수 있다, 사회 현상과 관련된 사람들의 존재를 있는 그대로 존중할 수 있다 이렇게 3가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들을 달성하는 것은 사회과 교육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시민성 함양에 기여한다는 것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적합한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모델을 예시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목표에 대한 이해를 돕고, 현장에서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실천을 돕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체계적인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설계와 실천을 위한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에 있다. 지금까지는 중등 사회과에서 통합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교육 목표가 불분명하여, 교육과정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어왔다. 또한 학교 현장에서 많은 교사들은 통합 교육과정의 취지는 이해하고 있으나, 어떤 학습 결과를 도출해야 하는지 몰라 수업 설계 및 진행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본 연구는 충분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하는 최소한의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체계적인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 설계 및 실천의 토대를 마련했다. 다만 이것이 실질적으로 중등 사회과 통합 교육과정의 설계 및 실행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육 목표를 정교화하고 각 목표의 달성 여부를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등 후속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30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515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