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Case Study of Thre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Experiences Assisted by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 한국 초등학생들의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를 활용한 영어 읽기 경험 사례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지윤

Advisor
소영순
Issue Date
2023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하이퍼텍스트하이퍼링크온라인 자료외국어 읽기 학습온라인 읽기 전략정보 활용 전략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 -- 서울대학교대학원 : 사범대학 외국어교육과(영어전공), 2023. 2. 소영순.
Abstract
21세기 정보화 사회에서 지식 정보 처리 능력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2015 개정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지식 정보 처리 역량을 새로운 중심 역량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비대면적 영어 학습 환경이 확대됨에 따라 다양한 온라인 영어 저작물이 개발되어 제공되어왔다. 온라인 저작물은 사전, 영상자료, 백과사전 등의 다양한 자료와 링크로 연결되어 학습자의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선택 및 활용이 가능한 하이퍼텍스트(hypertext)기술이 적용되어 구현되었다. 이에 개별 학습자의 올바른 자료 판단 및 활용 역량에 따른 영어 학습 능력의 차이가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그러나 영어 읽기에 관한 여러 선행 연구들에서 온라인 하이퍼텍스트 자료의 활용은 성인 학습자를 비롯하여 영어 학습 능력이 우수한 학습자에게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구 대상의 범위를 확장하여 EFL 환경의 초등 영어 학습자들이 영어 읽기 활동에서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를 어떻게 사용하고 인식하는지 인지적, 정의적 관점에서 질적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스크린 테스트를 거쳐 세 명의 참가자들이 모집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총 16회의 온라인 영어 읽기 과업을 수행하며 세 개의 온라인 자료(네이버 영어 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유투브)를 활용하였다. 참여자들은 개인적인 필요에 따라 자료를 활용하며 읽기 중 발생한 어려움을 해결하였고, 효과적인 독해를 위한 전략들을 사용하였다. 읽기 과업 직후에는 학습자들의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의 활용 목적과 읽기 과정 전반에 관한 면담이 실시되었다. 온라인 영어 읽기 과업은 줌(ZOOM) 프로그램을 통해 화면 녹화 및 음성 녹음되었으며, 면담 내용은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녹음되었다.
세 명의 학습자들은 영어 수준 및 배경지식, 이해도 측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영어 학습 수준과 필요에 따라 적합한 정보 활용 전략 및 읽기 전략을 발전시켜가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를 활용하며 읽기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과정에서 언어적 지식의 습득, 배경지식의 축적 등의 인지적 변화와 더불어 학습자 개인의 영어 읽기에 대한 흥미(reading interest)와 자신감(self-confidence), 자기 효능감(self-efficacy)를 느끼는 등의 정의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비록, 참여자의 영어 학습 수준에 따라 전략을 사용하는 양상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었으나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제 2언어 학습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일부 한계가 있었으나 초등 영어학습자들이 영어 읽기 활동에서 정보를 주체적으로 활용하며 효과적인 문제 해결에 기여하는 적극적인 읽기를 실천하였다는 점에서 온라인 영어 학습 및 영어 읽기 활동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하이퍼링크 자료의 영향력에 대해 통찰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영어 교육환경에서 하이퍼텍스트 기술과 온라인 정보 매체의 접목을 통해 학생들의 읽기 흥미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Digital literacy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cent computer-assisted learning environment. The 2015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introduced digital literacy as a core ability to develop in English language learners. In accordance with the emergence of digital literacy, various online reading materials embedded with hypertexts were provided to EFL learners, which connected the English reading text with diverse online resources existing outside of the text. As readers effective use of online resources in English reading is the core ability of digital literacy, the importance of hypertexts and hyperlinked resources in English reading was examin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few studies are conducted on young readers use of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in English reading.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use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in English reading and their perception of the use of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Exploring readers use and perception of English reading assisted by hyperlinked online information sources, will provide insights into English reading instruction by determining young readers difficulties in reading English and how they solve the difficulties with the effective use of hypertext materials while reading.
For this study, three 6th grade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ixteen sessions. Throughout the sixteen sessions, students read English science expository texts. Students used three online resources (Naver English Dictionary (NED), Naver Encyclopedia (NE), and YouTube) to assist their reading. Following the reading task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 the students perception of using hyperlinked resources while reading. The use of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in English reading was screen-recorded with Zoom software and the follow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recorded with an iPhone audio-recording program.
The findings suggested that readers mainly used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to support them in addressing lexical difficulties in reading, which in turn resulted in a positive evaluation of the use of online resources in their English reading. By complementing their linguistic deficiencies with the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readers could feel self-confidence and self-efficacy in English reading. The accumulation of experiences in English reading assisted by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also elicited reading interest among readers, which proposed an optimistic view of turning readers into life-long readers.
Throughout the sixteen sessions, readers also developed online reading strategies such as locating the appropriate information they needed or finding an effective way to use hyperlinked resources. Although the degree of the potential of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differed among individual learners due to their differences in language proficiency or prior knowledge, the use of online resources in reading resulted in their overall cognitive and affective change in English reading.
Although this study had some limitations concerning the methodological approach of the research, it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lish reading behavior with the potential benefits of hyperlinked online resources in English learning.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93839

https://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7418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